신종플루 극복 슬기로운 지혜가 필요하다
물고기 생태에 푹 빠져 있던 9년전 일이다.
한 선배가 찾아와 물고기를 알려면 미생물부터 알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개발한 광합성미생물(PSB) 배양법까지 알려줬다. 법대 출신으로 사시준비를 하던 분이 어떻게 그 분야의 박사가 됐냐고 물었더니 답이 재미있었다.
고향인 음성서 머리를 식히고 있을 때였단다. 논둑길을 걷다가 우연히 새끼 미꾸리를 발견하고는 옛 생각에 한참을 쳐다보고 있는데 무언가를 자꾸 잡아먹더란 것이다.
하도 신기해 물속을 살펴봤지만 육안으론 아무 것도 보이지 않더라는 것. 해서 그날부터 공부는 뒤로 한 채 관찰에 몰두한 결과 새끼 미꾸리는 윤충을 잡아먹고 그 윤충은 보다 작은 광합성미생물(이하 PSB) 등을 잡아먹는 사실을 밝혀냈단다. 그 선배는 그후 미생물업계의 대부가 됐음은 물론이다.
선배가 다녀간 뒤로 PSB와의 씨름이 시작됐다. 수 톤의 쌀겨와 석회를 배합해 균체를 증식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조건이 맞으면 증식이 잘 되다가도 조건이 맞지 않으면 한순간에 약화돼 다른 미생물이 번성하는 등 변화무쌍했다.
배양한 미생물을 활용해 물벼룩을 생산할 때도 변화무쌍함은 여전했다.
한 번은 이런 일도 있었다. 비닐하우스 안에서 PSB로 물벼룩을 생산하고 있었는데 다행히도 조건이 잘 맞춰져 물보다 물벼룩이 많을 정도로 대성공이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하룻밤 새 상황이 돌변했다. 그 많던 물벼룩은 온데 간데 없고 물빛마저 변해 있었다. 전날 저녁 PSB 먹이를 많이 준 게 조건을 변하게 한 것이다.
하지만 그런 경험들 덕에 많은 걸 깨달았다. 그 중 가장 크게 깨달은 것은 이 세상 모든 생명체들은 상호경쟁을 통해 삶을 영위하되 거기에는 반드시 '조건 혹은 환경'이 관여한다는 사실이다. 제 아무리 작은 미생물일 지라도 각기 살아남기 위해 경쟁을 벌이며 조건에 따라 어떤 건 번성하고 어떤 건 쇠퇴하는 것이다.
경쟁은 미생물과 생물, 생물과 생물간에도 벌어진다. 또한 경쟁과정에서는 병원체처럼 상대방에게 침입해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 한 가지 깨달은 것은 작은 미생물일수록 몸을 쉽게 변형시켜 생존능력을 키운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조건이 악화됐을 경우 작은 미생물일수록 재빠르게 몸을 변형시켜 내성을 키운다는 얘기다.
실례로 물고기에 병이 왔을 때 기생충 보다는 바이러스가 약제투여에 더 강하다. 그만큼 치료가 어렵다. 기생충은 약제투여라는 조건악화에 대응해 몸을 변형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작은 반면 바이러스는 쉽게 변형시켜 내성을 만들 수 있는 재주가 월등하기 때문이다. 몸집 차이다.
목하 신종플루로 인해 온나라가 불안하다. 바이러스 대란이다. 갈수록 기승부리는 현 시점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내성을 가진 변종바이러스의 출현이다.
행여나 그래선 안 되겠지만 개발된 항바이러스제가 한순간에 효용성을 잃기 때문이다. 이는 최악의 상황이다.
내성은 어설픈 치료가 주원인이다. 자가진단 자가처방이 위험한 까닭이다. 5일 먹으라는 치료제를 대충 먹을 때 문제 된다.
중요한 게 또 있다. 앞의 경쟁 논리처럼 그들이 쇠퇴 않고 계속 확산되는 것은 인간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환경)'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방역활동은 이 점에 초점을 둬야 효과적이다. 국가 전염병 위기단계가 심각단계면 말 그대로 붉은(Red) 단계요 최고 단계다. 모든 조처에 머뭇거릴 겨를이 없다.
극히 작지만 경쟁에서 이기는 방법을 태생적으로 갖고 있는 바이러스. 신출귀몰한 변신력을 가진 그들을 이겨내려면 보다 슬기로운 지혜가 필요하다. 지금 이 순간.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온난화(3)-다가선 미래의 충격 (0) | 2020.09.17 |
---|---|
지구온난화(2)-우리 바다가 심상치 않다 (0) | 2020.09.17 |
지구온난화(1)-빨라야 산다 (0) | 2020.09.17 |
머리없는 사마귀 '무두웅(無頭雄) ' (0) | 2020.09.17 |
빛바랜 속담 (0) | 202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