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야 산다'
육상선수가 머리맡에 붙여놓은 좌우명도 아니요, 그렇다고 해서 소매치기배들이 매일아침 직장(?)에 나가면서 입버릇처럼 뇌까리는 행동수칙도 아니다.
이는 다름 아닌 이 시대의 모든 생물들에게 떨어진 지상 최대의 과제요 그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생존의 길이다.
다시 말해 앞으로는 나무이건 풀이건 동물이건 간에 그들이 살아남기 위해선 빠르게 움직이고 이동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무엇이 그들을 이러한 절체절명의 운명 속으로 몰아 넣었을까.
그것은 바로 지구온난화다.
지구온난화란 무엇인가. 말 그대로 지구가 더워지는 것을 말한다.
그 원인이야 많지만 빙하시대가 끝난 지난 1만년 동안 지구온도는 5도 가량 높아졌고 그 속도는 더욱 가속화돼 불과 1백년 사이에 그같은 기온상승이 일어난다.
그 결과 해수면이 높아져 많은 지역이 바다에 잠기고 한 때 농사를 지어먹던 땅들이 사막으로 변해버려 사람들을 떠나게 했다.
그러나 사람 이외의 생물, 특히 이동성이 적은 동물이나 식물들은 이러한 기온변화에 쉽게 적응 또는 이동하지 못하고 도태돼야 하는 절박한 운명에 처하게 됐다.
더욱이 과거에는 기후변화가 더디게 이루어져 전체 생태계가 적응 또는 이동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있었지만 지금은 상황이 바뀌어져 보다 빠른 적응과 이동을 요구하고 있다.
식물들의 예를 들어보자.
그들은 지구상의 그 어떤 생물들보다 이동성이 적은 까닭에 매우 불리한 상황에 접해 있다.
미국 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식물들은 기온이 1도 올라갈 때마다 위도상으로는 북쪽으로 약 64km 이동해야 하고 고도상으로는 약 55m 이동해야 전과 같은 서식조건을 보상받을 수 있다고 한다.
이를 바꾸어 말하자면 기온이 1도 올라갔을 때 북쪽으로 약 64km 이동하거나 고도상으로 약 55m를 이동하지 않으면 호된 시련을 겪거나 도태될 수밖에 없음을 뜻한다.
우리 나라에서 남방계 식물로 알려졌던 보춘화(춘란)와 사철란 등이 자꾸만 북쪽으로 분포지를 옮겨가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과수 작물의 주 재배지가 바뀌고 있는 것도 역시 같은 이유에서다.
그러나 식물보다 더 '딱한 처지'에 있는 생물이 하천에 사는 민물고기들이다.
민물고기들은 비록 식물보다 자체이동성은 크지만 이 강에서 저 강으로 옮겨갈 수 있는 도강(渡江)능력은 없다.
더구나 식물들은 자체 이동력이 없는 대신 씨앗이나 홀씨를 날려 서식지를 옮겨 갈 수 있지만 물고기들에겐 그러한 능력도 없다.
상황이 이러하니 민물고기들의 개체수가 점차 줄어들 수밖에 없다.
특히 수온변화에 민감한 종들은 이미 멸종위기에 처한 것들도 부지기수다.
우리나라의 냉수성 어종인 산천어와 금강모치가 갈수록 줄어들어 멸종위기에 처한 것이 그 좋은 예다.
자연생태계를 흐트러뜨리는 것은 비단 남획과 남벌, 환경파괴와 같은 인간의 직접적인 간섭에만 원인이 있는 게 아니다.
지구온난화를 부추기는 행위, 즉 이산화탄소와 프레온가스, 메탄가스, 아연화질소와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행위도 이젠 그에 못지않는 커다란 요인이 되고 있다.
인간이기주의는 갈수록 극에 달하고 있고 그로 인해 지구온도는 점차 빠른 속도로 치솟고 있는 어지러운 세상. 그 혼란의 세상에서 생물들은 갈팡질팡해 가며 '살아남기 위한 바쁜 몸놀림'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오로지 살아남기 위해 한없이 내달려야 하는 사막의 작은 동물들처럼...
아니, 붙잡히면 죽을 것이 뻔하기 때문에 뒤도 돌아보지 않고 잽싸게 내 튀는 어느 TV광고 속의 사내처럼...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온난화(3)-다가선 미래의 충격 (0) | 2020.09.17 |
---|---|
지구온난화(2)-우리 바다가 심상치 않다 (0) | 2020.09.17 |
머리없는 사마귀 '무두웅(無頭雄) ' (0) | 2020.09.17 |
빛바랜 속담 (0) | 2020.09.17 |
농약은 요술방망이가 아니다 (0) | 202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