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학자들이 경고해 온 소위 '미래의 충격'이 우리 앞에 바싹 다가와 있다.
그 동안 학자들의 입을 통해 귀가 따갑도록 들어온 지구온난화에 따른 생태변화가 이미 우리 나라에서 진행돼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학자들은 지난 1세기 동안의 지구 평균기온이 섭씨 2~3도 가량 올라간 것을 들어 얼마 안가 지구 생태계가 크게 교란될 것이라는 경고를 오래 전부터 해 왔다.
하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학자들이 주장한 '얼마 안가'라는 기간이 일반인들에게는 그저 '먼 미래'로만 느껴졌고, 그래서 생태계의 교란 역시 현 세대에는 쉽사리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믿어왔다.
그러나 그 미래의 충격은 일반인들의 체감기간보다 훨씬 더 이르고 강하게 찾아와 지구촌 곳곳을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한반도의 생태계에도 그와 같은 징후가 잇따라 속출하고 있다.
더워지는 육지, 올라가는 해수온도로 인해 이른바 기후의 아열대화가 가속돼 급기야 한반도 생태계를 뿌리째 뒤흔들어 놓고 있는 것이다.
최근 국내 관련 기관 연구원들과 학자들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계속돼 온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지난 10년 사이 한반도 근해의 연평균 수온이 섭씨 0.68도 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수치는 1916년 이후 80년 동안의 연평균 수온 상승률(0.07도)보다 무려 10배 가량 큰 것이다.
이 같은 수온 급상승은 그 동안 온대기후를 보여온 우리 나라 근해의 기후를 수온 차이가 그다지 심하지 않은 아열대 기후로 점차 바꾸어 놓아 멸치, 오징어, 고등어와 같은 난류성 어종들의 어획량은 크게 늘어나고 있는 반면 한류성 어류인 대구와 명태는 10년 전 어획량의 10분의 1수준으로 급감시키고 있다.
기후의 아열대화는 육지에서도 동시에 이뤄져 많은 생태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실례로 곤충학자이자 현직교사로 재직중인 서울 경희여고 김성수씨의 연구보고서(지구온난화와 곤충분포 변화)에 따르면 우리 나라 토착곤충인 상제나비, 붉은점모시나비, 산부전나비, 은점표범나비,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등 15종의 나비들이 그 동안 높아진 기온에 적응치 못해 이미 멸종했거나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반면 일본 남서부와 중국 남부, 동남아, 호주 등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주로 서식하는 연노랑흰나비 등 11종의 외래 나비들이 한반도로 이동해와 곳곳에서 채집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보고서는 또 나비의 뒤를 이어 열대 및 아열대 지방의 병해충들도 조만간 우리 나라로 대거 몰려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렇듯 한반도 평균기온의 급상승은 이 땅에 오래 전부터 뿌리를 내리고 살아온 각종 토종 생물들의 씨를 말리는 대신 외국 생물들의 국내 유입을 부채질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다소 긍정적인 시각을 내비치기도 한다.
즉, 기온변화로 인해 비록 한류성 어류는 감소했지만 난류성 어류는 오히려 늘어났고 또 나비와 같은 새로운 곤충의 유입으로 생물종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은 한반도의 자연재산이 그만큼 많아졌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시각을 가진 사람들도 앞으로 기온 상승의 정도가 어떻게 전개될지, 또 그로 인해 입게될 인간의 피해는 어떤 것인지 등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우려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
자고 나면 기온은 자꾸만 올라가고, 그로 인해 우리와 삶을 같이 해온 토종들은 하나둘씩 자취를 감춰가고 있다.
그런 반면 지금까지 보도 듣도 못한 외래 생물들은 점차 늘어나 우리 주변의 생태계를 '낯선 생태계'로 만들어 가고 있다.
상황이 이러하니 말 그대로 얼마 안가 한국특산종이란 생물은 찾아볼래야 좀처럼 찾아볼 수 없는, 그래서 자연도감이나 표본을 통해서만 그들을 만나볼 수 있는, 그런 상막한 세상이 다가오고야 말 것이란 생각이 머리 속을 떠나지 않는다.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종플루 극복 슬기로운 지혜가 필요하다 (0) | 2020.10.14 |
---|---|
지구온난화(2)-우리 바다가 심상치 않다 (0) | 2020.09.17 |
지구온난화(1)-빨라야 산다 (0) | 2020.09.17 |
머리없는 사마귀 '무두웅(無頭雄) ' (0) | 2020.09.17 |
빛바랜 속담 (0) | 202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