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자긍심 제고 계기돼야(충청타임즈 2010,6,15일자 보도 기사내용)
'속리산을 한글의 메카로' 추진 움직임
한반도의 실담어는 세계언어의 모태
한글학자 강상원박사(세종한림원학회장)가 주장하는 실담어는 현재 한반도와 만주일대서 사용하고 있는 전통 토속사투리(크샤트리아)로서 본래 왕족언어이며 범어(산스크리트어)와 유럽언어의 모태일 뿐만 아니라 불교어도 여기서 파생됐다고 보고 있다. 또한 한자도 실담어를 음역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실담어의 음운과 주요 원리는 7음(아,설,순,치,후,반설,반치)과 평상거입의 4성, 실담 50자문에 근거해 배열된 36자모(子母), '(주) ㅣ(곤) ㅡ(일) 3재의 가획원리 등이다. 이중 주 곤 일 삼재의 가획원리를 ·(천) ㅣ(인) ㅡ(지) 3재로 대체해 자음과 모음을 만들고 거기에 자음합용병서 원리를 더해 초성과 종성을 표기함으로써 훈민정음이 탄생했다는 논리다.
실담어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려면 훈민정음 창제초기의 한문고전, 즉 동국정운,훈몽자회,신증규합 등과 능엄경언해,용비어천가,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 같은 언해에 사용된 언어를 생각하면 된다. 다시말해 그 당시 사용된 언어가 바로 실담어다.
범어와 유럽언어가 실담어와 상관관계에 있음을 입증하는 몇 가지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말의 아리랑은 범어로는 ari(사랑하는 님)와 langh(서둘러 떠나다)을 합친 말이며 머슴은 범어로 ma(관리하다)와 sime(힘)이 합친 말로 표현된다. 또 우리말 고리는 영어의 coil(돌돌 감다)과, 고맙다는 comate(친구, 동료)와, 구부리다는 curve(곡선, 구부리다)와 관계된 것을 볼 수 있다. 강박사는 실담어와 범어,한반도 전통 토속사투리간의 상관관계를 알려면 옥스포드 사전(Sanscrit English Dictionary)의 20만 단어를 통달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신미대사와 훈민정음, 실담어의 관계
강박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훈민정음은 실담어의 원리에 기반해 창제됐다고 주장한다. 즉, 훈민정음엔 실담어의 체계와 원리가 고스란히 들어있다는 의미다. 이는 또 실담어를 모르면 훈민정음을 창안할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충북 영동 태생으로서 속리산 법주사 복천암에 주석하던 신미대사가 훈민정음 창제의 주역이었다는 주장도 이에 근거하고 있다.
신미대사가 훈민정음 창제를 주도했음을 입증하는 단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 법주사 복천암에는 신미대사가 직접 실담어로 쓴 진언문과 부적이 전해지고 있다.<사진 참고>
신미대사의 실담어 친필과 부적(복천암 소장)
이는 신미대사가 당시 실담어를 실제 활용할 수 있을 만큼 능통했음을 알려주는 결정적인 단서다. 강박사에 따르면 당시 집현전 학사들 가운데 실담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은 오로지 신미대사 한 사람 뿐이었다고 한다.
또 영산김씨세보 권1에는 본명이 수성(守省)인 신미대사는 세종조에 집현원(집현전) 학사를 역임했으며 속리산 복천암에 주석할 때 세조가 친히 찾아와 혜각존자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전토(땅)까지 주었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사진 참조>
'집현원 학사' 기록이 전하는 영산김씨세보(복천암수암실기 수록)
강박사와 함께 신미대사의 훈민정음 창제 주역설을 주장하고 있는 복천암 월성스님은 이에 대해 "억불숭유 시대에 유학자가 아닌 불가 승녀로서 집현전 학사를 지낸 유일한 인물이라는 점과 실담어에 능통한 유일한 학자였다는 점, 세자 신분으로서 부왕인 세종의 명을 받아 신미대사와 함께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했던 세조가 즉위후 한 달여나 걸리는 먼길을 친히 찾아와 극진한 예우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이는 신미대사가 훈민정음 창제를 주도했음을 여실히 입증하는 단서"라고 강조했다.
속리산은 훈민정음의 메카다
신미대사가 훈민정음 창제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속리산 지역을 훈민정음의 메카로 만들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보은 수정초교 조철호 교장은 "강박사와 월성스님의 노력으로 신미대사의 높은 공적이 밝혀지고 그 가운데 속리산 법주사 복천암이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진 이상 속리산 지역을 훈민정음의 메카, 훈민정음의 본향으로 만들 가치와 필요성이 있다"며 "관내 기관 단체장들과 합심해 추진위를 구성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조교장은 또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전국단위의 학생 글짓기 대회와 사투리 대회를 여는 등 각종 이벤트를 마련해 지역의 자긍심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주겠다"고 밝혔다.
속리산 주민 박경수씨(한국자연공원협회 이사)는 "지역내 도로표지판과 상가 간판, 음식점 메뉴판 등을 훈민정음체로 바꾸고 도안도 새로 하는 등의 특화사업을 추진한다면 국립공원과 관광지로서의 옛명성을 되찾을 수 있는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속리산지역을 한글의 메카로 조성할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복천암 월성스님과 수정초교 조철호교장.
'속리산과 한글,신미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언어는 한반도 토속사투리에서 파생됐다 (0) | 2010.06.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