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자연-임용묵의 다큐파일⑥
(아시아뉴스통신 2016년 5월8일자 보도기사 원문보기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10805)
초여름이 되면서 온 산야가 생명의 숨결로 가득 차오르고 있다. 산과 들, 하천이 그 어느 때보다도 생명력 넘치는 몸짓으로 꿈틀대고 있다.
아시아뉴스통신에서는 생태·자연분야 블로거이자 우리 주변의 자연을 앵글에 담아오고 있는 임용묵 생태사진가를 일주일에 한 두 차례씩 지면으로 초대해 그의 시각으로 본 우리 자연의 모습을 독자에게 전하고 있다.
바쁜 일상에 쫓겨 자연에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도시민들에게는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선사하는 청량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편집자 주>
![](https://t1.daumcdn.net/cfile/blog/254CD83B572E9AF221)
청주의 대표적 희귀수종 '가침박달'의 꽃. 1938년 노스님이 절터를 찾던 중 현 청주 화장사(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부근의 한 우물터 주변에 아름다운 흰 꽃 군락지를 발견해 절을 짓게 됐다고 전해 온다. 전국적으로 희귀해 1979년 천연보호림 32호로 지정돼 보호하고 있다. 불교에서는 가장 높은 경지의 깨달음을 상징하는 '깨침꽃'으로 불러지고 있다. 화장사는 해마다 5월1일을 전후해 가침박달꽃축제를 열고 있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https://t1.daumcdn.net/cfile/blog/24605F33572E9B2A31)
이팝나무 꽃. 멀리서 보면 이밥(쌀밥)을 수북이 담은 밥그릇을 연상케 한다해서 이밥나무로 불렸다가 훗날 이팝나무가 됐다는 설이 전한다. 또 꽃이 입하(入夏) 전후에 피기 때문에 입하나무로 불리다가 이팝나무가 됐다는 얘기도 있다. 지금은 가로수로 많이 심어 늦봄에서 초여름이면 흰꽃을 흐드러지게 피운 이팝나무를 흔히 볼 수 있다.(사진제공=임영묵 생태사진가)
![](https://t1.daumcdn.net/cfile/blog/2564BB33572E9B532F)
도입종 자주받침꽃. 북미 원산의 목련목 받침꽃과의 낙엽관목으로 1950년대 국내 수목원이 도입했다. 잎, 줄기, 뿌리 등 전체적으로 향기를 내뿜어 아로마틱 가든 혹은 포푸리로 활용된다. 아메리카 원주민도 수피를 이용했으며 오늘날에도 가끔 계피 대용으로 활용한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https://t1.daumcdn.net/cfile/blog/27611333572E9B8032)
골프공을 닮은 공조팝나무 꽃. 꽃 핀 모습이 공을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 공조팝나무다. 실제 만개한 꽃을 보면 마치 골프공을 반으로 쪼개 엎어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중국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꽃에는 아스피린 성분이 함유돼 있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https://t1.daumcdn.net/cfile/blog/23418339572E9BA702)
마로니에 꽃.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의 상징목이 된 도입종 낙엽교목이다. 본래는 유럽 남부 지중해 연안이 원산인 나도밤나뭇과의 서양칠엽수다. 덕수궁의 마로니에는 1913년 네덜란드 공사가 고종에게 선물한 것으로 유명하다. 1970년대 가수 박건이 부른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의 마로니에 길은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길을 일컫는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https://t1.daumcdn.net/cfile/blog/2774B338572E9BE519)
양귀빗과의 피나물 꽃. 줄기를 자르면 피 같은 황적색의 즙액이 나오기 때문에 피나물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피나물을 일명 노랑매미꽃이라 부른다. 하지만 유의해야 할 것은 피나물과 매미꽃은 비슷하지만 엄연히 구별되는 식물이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