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자연-임용묵의 다큐파일②

(2016년 4월11일자 아시아뉴스통신 보도기사. 원문보기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00099)

 

생명의 계절 봄이 오면서 온 산야가 꿈틀대고 있다. 산과 들, 하천 그 어느 곳에서나 겨우내 움츠렸던 생명들이 기지개를 켜며 저마다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아시아뉴스통신에서는 생태·자연분야 블로거이자 생태사진을 주로 앵글에 담고 있는 임용묵 생태사진가를 일주일에 한 두 차례씩 지면으로 초대해 그의 시각으로 본 우리 자연의 신비스러운 모습을 독자에게 전하려 한다.

바쁜 일상에 쫓겨 자연에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도시민들에게는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선사하는 청량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편집자 주>

 

 

전래동화 도깨비방망이 이야기에 나오는 개암나무의 암꽃(왼쪽)과 수꽃. 한 나무에서 같은 시기에 피는데 암꽃은 매우 작아 관심있게 보지 않으면 지나치기 쉽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으름덩굴의 앙증맞고 귀여운 꽃. 열매가 바나나와 비슷하게 생겨 한국바나나라고도 불린다. 또한 벌어진 열매의 묘한 모습에서 임하부인(林下婦人)이란 별칭도 얻었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개나리가 아닙니다. 개나리와 같은 과(물푸레나뭇과)이지만 줄기와 꽃, 이파리가 분류학적으로 서로 다르다. 산개나리는 특히 지구상에서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한국특산종이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붉은대극은 숲속 바위지대에 자라면서 이른 봄이 되면 가녀린 줄기들을 수줍게 올리며 봄소식을 전한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황매화.자생지가 한국이다 일본이다란 논란이 있으며 죽도화라고도 불린다. 야생은 드물고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예전에 담뱃불을 붙일 때 이용했다 해서 부싯깃나물이라고 불릴 정도로 잎에 흰섬유가 많이 나 있다. 오죽하면 이불솜을 뒤집어쓴 듯하다 해서 솜나물로 불린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