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자연-임용묵의 다큐파일⑤

(2016년 5월1일자 아시아뉴스통신 보도기사. 원문보기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08458)

 

여름이 다가오면서 온 산야가 생명의 숨결로 가득 차오르고 있다. 산과 들, 하천이 그 어느 때보다도 생명력 넘치는 몸짓으로 꿈틀대고 있다.

아시아뉴스통신에서는 생태·자연분야 블로거이자 우리 주변의 자연을 앵글에 담아오고 있는 임용묵 생태사진가를 일주일에 한 두 차례씩 지면으로 초대해 그의 시각으로 본 우리 자연의  모습을 독자에게 전하고 있다.

바쁜 일상에 쫓겨 자연에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도시민들에게는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선사하는 청량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편집자 주>

 

 

은행나무 암꽃과 수꽃. 은행나무는 우리 주변에 흔히 있지만 꽃이 피어야만 암수 구별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암꽃은 매우 작고 특이하게 생겼다. 도토리 끝처럼 뾰족한 부위로 꽃가루가 수분이 이뤄진 뒤 꽃가루방으로 이동해 수정 적기를 기다렸다가 수정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기간이 무려 130~140일이 걸린다고 한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동심의 꽃 '꽃마리'. 꽃마리는 크기가 10~30cm 정도의 두해살이풀이다. 들이나 길가에 흔히 자라 들꽃에 입문하는 이들이 초기에 관심을 갖는 꽃이다. 꽃차례가 어린 고사리 순처럼 말려있다가 시계태엽이 풀리듯이 꽃을 피운다고 해서 '꽃말이'로 불리다 차츰 꽃마리로 불렸다고 한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모과나무 꽃. '과일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는 말이 있듯 모과나무의 열매는 못 생겼지만 꽃은 그 어느 꽃에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예쁘다. 이같은 반전이 모과나무의 매력이다.모과가 그 생김새와 다르게 향과 효능이 좋은 것도 또 다른 매력이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개불알'이란 독특한 이름이 붙은 선개불알풀 꽃. 우리 식물에 '개불알'이란 명칭이 붙은 것은 일제강점기 일본인 식물학자 마키노 도미타로가 당시 붙인 일본명 '이누노후구리(犬陰囊 개의 음낭)'를 그대로 번역해 부르면서 비롯됐다. 최근 국내 학자들에 의해 '개명'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소나무 암꽃. 소나무는 암꽃과 숫꽃이 한 나무에 피나 꽃의 위치가 수꽃보다 암꽃이 더 높은 자리에 핀다. 다른 나무의 꽃가루를 받아들이기 위한 진화이다. 4월에서 5월사이 송화가루가 흩날리면 소나무들은 수분과 수정 과정을 거쳐 열매(솔방울)을 맞는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살갈퀴 꽃. 덩굴성 콩과식물로 예전엔 어디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던 식물이나 요즘은 일부러 찾으러 다녀야 볼 수 있다. 전체적인 모습이 완두콩과 비슷해 애완두란 별칭을 갖고 있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