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자연-임용묵의 다큐파일⑨ (아시아뉴스통신 2016년 5월29일자 보도기사.원문보기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21306)
(아시아뉴스통신=김성식기자) 기사입력 : 2016년 05월 29일 11시 56분
![]() |
산딸나무의 꽃. 흰색의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꽃잎이 아니라 잎이 변형된 포엽(苞葉)이다. 둥그렇게 생긴 꽃차례(꽃의 배열상태)가 사실상 꽃이다. 열매가 산딸기처럼 빨갛게 익기 때문에 산딸나무란 이름이 붙여졌다. 한자명은 사조화(四照花)인데 이는 ‘사방을 비추는 나무’란 뜻이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
본격적인 여름철이 되면서 온 산야의 푸르름이 짙을 대로 짙어졌다. 그러면서 그 안에 깃든 생명의 고동소리도 그 어느 때보다 높게 울려퍼지고 있다. 산과 들, 그 어디를 둘러봐도 온통 생명력으로 넘쳐난다.
아시아뉴스통신은 충북 청주에서 활동하면서 주로 우리 주변의 자연을 앵글에 담아오고 있는 임용묵 생태사진가를 일주일에 한 차례씩 지면으로 초대해 그의 시각으로 본 우리 자연의 모습을 독자에게 전하고 있다.
바쁜 일상에 쫓겨 자연에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도시민들에게는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선사하는 청량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편집자 주>
![]() |
수레국화의 꽃.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다. 관상용으로 들여와 야생으로 퍼져나가 도로변 절개지에서 흔히 자라고 있다. 꽃은 대개 6~7월에 피는데 변이가 심해 다양한 색을 띠고 있다. 꽃은 본초명으로 ‘시차국’이라 하여 약재로 이용된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
![]() |
흰매발톱꽃. 원 자생종보다도 개량된 품종이 더 많이 알려져 있을 정도로 변이가 심한 게 매발톱꽃이다. 매발톱꽃이란 꽃모양이 매발톱을 닮았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꽃색과 모양이 얼마나 다앙한 지 오죽하면 매발톱꽃만으로도 정원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을 정도다. 일부에서는 이 꽃의 꽃말을 '버림받은 애인'이라고 소개하는데 이는 이 꽃이 수분할 때 자기 꽃가루보다 다른 개체의 꽃가루를 더 좋아하기 때문에 생겨난 것으로 보여진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
![]() |
자주달개비 꽃. 북미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는 관상용으로 들여왔으나 차츰 야생 상태에서 겨울을 나면서 야생화 하고 있다. 본초명으로 자로초라 하여 약재로 이용하며 식물학에서는 세포실험 할 때 많이 활용하고 있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
![]() |
수염패랭이 꽃. 본래 우리나라 북부지방과 백두산 등 고산지대에 분포하던 석죽과의 야생화였으나 원예종으로 개발되면서 보편화 됐다. 꽃과 열매가 달린 전초를 그늘에 말려 약재로 쓰고 있다. 원예품종이 많고 변종이 많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
![]() |
쪽동백나무 꽃. 같은 때죽나뭇과의 때죽나무 꽃과 흡사하나 잎이 넓고 꽃자루가 짧다. 또 때죽나무 꽃은 일정한 배열 없이 달리나 쪽동백나무는 두 줄로 나란히 달리는 특징이 있다. 쪽동백나무의 목재는 결이 고와 세공용으로 이용되고 열매는 기름을 짜 동백나무 기름처럼 이용한다. 쪽동백나무란 이름도 그래서 붙여졌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
'충북의 자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북의 자연-임용묵의 다큐파일⑩ (0) | 2016.06.07 |
---|---|
충북의 자연-임용묵의 다큐파일⑧ (0) | 2016.06.07 |
충북의 자연-임용묵의 다큐파일⑦ (0) | 2016.06.07 |
충북의 자연-임용묵의 다큐파일⑥ (0) | 2016.05.08 |
충북의 자연-임용묵의 다큐파일⑤ (0) | 2016.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