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옷날의 외침 하늘이시여!”(2015.6.20일자 아시아뉴스통신 보도)

 

온 나라가 지쳐가고 있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20일로 꼭 한 달째 이어지면서 온 국민을 지치게 하고 있다.

 

메르스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외식·유통·숙박·관광업 등 모든 분야에 걸쳐 경기가 침체되고 각 분야 종사자들이 큰 타격을 입으면서 지역경제까지 휘청거리고 있다.

 

메르스 확진환자 발생지역이든 아니든 사람으로 붐볐던 거리는 죄다 썰렁하고 식당가, 극장가, 병원가 할 것 없이 거의 개점휴업 상태다.

 

당장 가게세며 직원 월급부터 해결해야 하는 소상공인들의 속 타는 하소연이 뙤약볕보다 더 뜨겁다.

 

여기에 더해 봄부터 이어진 최악의 가뭄으로 들녘과 산야도 타들어 가고 있다. 댐과 저수지, 하천 수위가 하루가 다르게 내려가면서 농심도, 땅도 쩍쩍 갈라져만 간다. 거북등처럼 드러난 농경지에선 절망의 한숨소리가 폐부를 찌른다.

 

공사장에 있어야 할 중장비가 한 가닥 물줄기를 찾느라 하천바닥을 연일 파들어 가고 있고 레미콘을 싣고 공사장을 오가야 할 레미콘 차량이 물 한 방울 없어 모가 말라비틀어져 가고 있는 논바닥에 생명수를 쏟아내느라 바쁘다.

 

또 화재 발생에 대비하고 있어야 할 소방차가 가뭄 해갈부터 도와야겠다며 메마른 농경지에 소방 호스로 물을 뿌리고 있다. 화재도 화재지만 농부들 가슴에 붙은 가뭄 불부터 끄고 봐야겠다는 다급한 배려에서다.

 

검붉게 타 버린 콩, 고구마 등 작물과 이제 막 심었건만 노랗게 변해버린 모, 그나마 댈 물이 없어 아직까지 모내기를 못한 논바닥을 그저 바라봐야만 하는 농부들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돼 주기 위해 중장비, 레미콘차, 소방차가 하천과 농경지를 오가는 진풍경을 낳고 있다.

 

이번 가뭄은 비단 농부들뿐만 아니라 하천 변에서 식당업, 펜션업, 캠핑장업 등을 하는 이들에게도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가뜩이나 메르스 여파로 예약 손님이 뚝 끊긴 판에 하천수까지 바닥을 보여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여름 성수기가 코앞이건만 하천수위는 점점 빠르게 내려가고 메르스 상황은 갈수록 악화일로이니 눈앞이 깜깜하다. 희망이 절벽이라며 볼멘소리들이 높다.

 

우선 당장의 해갈이 시급한데 큰비 소식은 감감하다. 비 소식은 있지만 신통치 않다.

 

워낙 가뭄의 골이 깊은 데다 예상 강수량은 찔끔 수준이니 되레 가뭄만 더 탄다며 걱정만 키우는 상황이다. 다음 주부터 장맛비 소식이 있으나 가 봐야 한다며 별 기대를 않는 눈치들이다.

 

마른장마를 점치는 소리도 간간히 들려와 불안감을 키운다. 완전 해갈이 되려면 100mm 이상 큰비가 지역에 따라 한 번 내지 두 번은 와야 한다는데 마른장마라니 기가 찰 노릇이다.

 

보다 못한 지역민들이 곳곳에 모여 기우제를 지내며 하늘이시여!’를 외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농협, 각 군청, 농민단체, 지역의회 등이 나서서 정성을 다 하는 모습이 측은할 정도다.

 

엎드려 두 손 모은 그들의 간절한 기도가 다음 주 북상 소식이 있는 장마 전선을 더욱 끌어 올려 중부 이북지역의 가뭄 해갈에 도움을 줬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아울러 비가 오면 높은 습도 때문에 메르스 바이러스의 생존력이 떨어진다는 미국 국립보건원의 연구 결과처럼 이번 장맛비가 한반도를 강타하고 있는 메르스 펀치까지 잠재울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일 년 중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인 단옷날에 기우제를 지내는 심정으로 하늘이시여!”를 외쳐본다. 비록 마음 속의 외침이지만 가뭄도 메르스도 모두 씻겨갈 비를 기대하며.

비에 울고 웃는 사람들

 

 

비는 와도 걱정 안 와도 걱정이다. 올해 같은 변덕스러운 날씨 아래에선 더 더욱 그렇다.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치를 떨게 했던 비였는데, 이젠 비가 그립다는 사람들이 있다. 비 그친 지 보름도 안 지났는데 벌써 이곳 저곳에서 가뭄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과수와 고추, 벼 농사를 짓는 농가들이야 따사로운 햇볕이 반갑기 그지 없지만 다른 작물을 기르는 농가들은 내심 야속하다는 눈치다. 전례없던 '지난 여름비'의 후유증으로 아직도 맘고생하는 사람들이 많고 또 한여름 같은 쨍쨍한 날씨를 고맙게 여기는 이웃들이 있기에 대놓고 "비야 내려라" 외치지는 못하지만, 속으로는 제발 비좀 와줬으면 하고 간절히 바라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혹자는 "비 그친 지 얼마나 됐다고 비 타령이냐" 할 지 모르나 작금의 농촌 현실은 그게 아니다.
우선 채소 농가가 그렇다. 배추와 무, 브로콜리, 양배추 같은 채소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요즘 때 아닌 물 전쟁을 치르고 있다. 지난 비 이후 계속되는 이상고온으로 이제 막 갓 심은 채소들이 비비 꼬이면서 말라 죽어들어 가자 밤낮 없이 하천수를 끌어다 밭고랑에 대고 지하수를 퍼올려 스프링쿨러를 돌리는 등 고생이 여간 아니다. 콩 작물 역시 이파리가 누렇게 타들어갈 정도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하천을 터전 삼아 살아가는 사람들도 사정이 영 좋질 않다. 10여일 전까지만 해도 벌건 흙탕물이 지겹기만 했던 그들이었는데 지금은 믿기지 않을 정도로 낮아진 수위로 되레 손을 놓은 채 하늘만 바라보고 있다. 극과 극을 오가는 그들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비가 쏟아질 땐 불어난 물 때문에 그물질이며 다슬기잡이며 엄두를 못 냈는데 비가 그치자마자 언제 그랬냐며 거짓말처럼 하천물이 잦아든 요즘에 와서는 그물을 쳐도 빈 그물이요 다슬기잡이를 나가도 빈 바구니이니 이래저래 한숨타령 뿐이다. 물가 생활 몇 십년만에 올 같은 해는 처음이란 어부들이 부지기수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산에 기대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걱정이 가장 심각하다. 바야흐로 버섯철은 왔건만 모두가 '버섯 먹은 사람'들처럼 행보가 조용하다. 예년 같으면 싸리버섯이 쏟아지네, 밤버섯과 솔버섯이 지천이네 떠들며 이산 저산 정신없이 나돌아다닐 시기지만 올핸 그야말로 조용하다. 지난 비에 버섯 포자들이 다 사그라져 버섯들이 나지 않는다는 얘기도 있고, 최근의 무더위와 가뭄 탓에 나오던 버섯들도 쏙 들어갔다는 얘기도 있다. 추석 때만 되면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던 송이버섯도 올핸 꿩 구워 먹은 소식이다. 단양, 괴산 등 일부 지역에선 한 두 송이 비치기 시작하긴 했다지만 싹수가 노랗단다.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소위 꾼들이라는 사람들 대부분이 고개를 가로 저을 정도로 올해 전망이 별로 밝질 않다. 송이 특성상 고온과 가뭄에 민감하기에 요즘 같은 날씨라면 재작년과 재재작년 같은 흉년이 들기 십상이란다.
만일 그같은 전망대로 올해마저 송이가 흉년 든다면 산사람들의 사정은 말 그대로 최악이다. 한철 벌어 일년을 먹고 사는 그들이기에 송이 자체가 생명줄이요 송이 산출량에 따라 살림살이와 밥그릇 사정이 좌지우지 되기에 그렇다. 하여 싹수가 노랗다는 소문은 그들에겐 청천벽력이나 다름없다. 작년 전반기에 다소 송이 맛을 봤을 뿐 송이다운 맛을 본 게 4년 전이니 그 심정 어떻겠는가.
모든 게 최첨단을 걷는 시대다. 그럼에도 여전히 하늘바라기 신세들이 많은 것 또한 현실이다. 비가 오면 오는 대로, 안 오면 안 오는 대로 고스란히 영향을 받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기에 유난히 별스럽게 느껴지는 요즘 날씨다. 아, 하늘이여!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이가 사람 잡네  (0) 2011.12.18
귀뚜라미 울 무렵의 농촌   (0) 2011.12.18
등칡과 등나무, 바로 알자  (0) 2011.12.18
기상이변과 곤충  (0) 2011.12.18
어느 백사의 죽음  (0) 2011.1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