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출현하면서부터 시작된 것이 수렵(사냥)이다.

 

그 만큼 수렵은 고대인들에게 있어 목숨을 부지하기 위한 절대적인 생존수단이었다.

 

고대인 스스로 들짐승을 잡아먹지 못하면 굶어죽거나 거꾸로 그들의 먹이가 될 수 있는 긴박한 상황 속에서 그들이 생각해 낸 것이 짐승을 잡는 방법, 즉 수렵방법이요 사냥도구였다.

 

따라서 수렵은 야생열매를 따먹는 채집활동과 함께 가장 오래된 인류의 생존수단이었다.

 

그러나 인류문명이 발달하면서 수렵의 가치는 절대적인 생존수단에서 점차 놀이 또는 무인들의 심신단련을 위한 방법으로 변모해갔고 또 한편으로는 약렵(藥獵:녹용 등을 얻기 위한 사냥)과 같은 돈벌이 수단으로 자리잡아 갔다.

 

역사적 기록으로는 기원전에 이미 그리스에서 왕족이나 무인계급들이 토끼나 멧돼지 사냥을 하였다고 전하며 중국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에,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기원전 1200년경에 각각 매사냥을 했다고 전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구려 시대에 왕이 관원들과 함께 수렵을 즐겼다는 기록이 있으며 통일신라시대에는 화랑들이 무예를 익히고 심신을 단련하는 수단으로 산천을 돌아다니며 수렵을 즐겼다고 전한다.

 

고려시대에 와서는 왕이 수렵하는 것이 연례행사로 자리잡았으며 특히 매를 기르고 훈련하는 응방과 응사까지 두어 사냥에 나섰다.

 

수렵은 사용하는 도구에 따라 전통적으로 총기수렵과 그물수렵, 함정수렵 등으로 나뉘는데 그 종류별로 각기 지켜야할 엽도(獵道)가 있어 이를 준수해가며 짐승을 잡아왔다.

 

예를 들어 총기수렵인 경우 새끼를 데리고 있는 짐승은 절대로 쏘지 않아야 하며 땅에 있는 날짐승은 하늘로 날린 다음 쏘는 것이 하나의 법도였다.

 

그러나 이러한 엽도도 세월이 흐르면서 서서히 잊혀져 오늘날에 와서는 서치라이트에 불법 개조된 인마 살상용 총기까지 동원한 싹쓸이식 남획이 일년 내내 판을 치고 있고 겨울철만 되면 온갖 산야에 독극물과 올무, 덫이 즐비하게 놓여져 들짐승을 옴쭉달싹도 못하게 하고 있다.

 

매년 봄이 되면 들짐승들은 새끼를 낳는다.

 

그러나 많은 짐승들이 지난 겨울을 나면서 인간에 의해 짝을 잃었거나 상처를 입은 까닭에 새끼를 낳지 못하고 방황하기 일쑤다.

 

인간의 보신주의가 휩쓸고 간 자리에 '겨울의 상처'만 깊게 남아 들짐승들로 하여금 슬픈 계절을 맞게 하고 있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