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이변과 곤충

 

야생곤충의 생활사를 관찰하다 보면 뜻밖의 상황을 접하는 경우가 많다. 겉으로 보기엔 멀쩡한 알이 부화시기가 지났어도 부화할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든가, 생각지도 못한 엉뚱한 종이 태어나 눈을 의심케 하기도 한다. 앙증맞게 생긴 어린 사마귀의 부화과정을 촬영하기 위해 몇날며칠을 기다렸건만 도대체 새로운 생명의 기미가 보이질 않아 알집을 헤집어 봤더니 속이 텅 비어 있다거나 가까스로 새 생명이 태어나긴 했는데 종이 다른 사마귀수시렁이가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가 그런 사례다.
또 애벌레에서 성충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에서 돌연 죽음을 맞는다든가 반쯤 날개돋이한 상태에서 도중에 허물벗기를 멈추거나 날개돋이는 마쳤으나 상태가 불완전해 곧바로 생을 마감하는 경우도 있다. 오랜 기간 애벌레로 땅속 생활하다가 어렵사리 땅밖으로 기어나와 성충이 되려던 순간 훼방꾼인 개미를 만나 졸지에 숨을 거두는 매미 애벌레와 반쯤 날개돋이한 채 미처 배부분을 탈피 못해 풀이삭에 매달린 채 죽는 잠자리 애벌레, 머리와 몸통은 멀쩡하게 태어났지만 속날개가 불완전해 가뜩이나 짧은 성충 시기를 더욱 앞당겨 마감하는 풍뎅이가 그 같은 경우다.
그런가 하면 날개돋이를 마쳐 이제 막 첫 비행을 앞둔 순간 천적에게 속절없이 잡혀 먹히는 불운도 있다. 알-애벌레-번데기 과정을 거쳐 날개돋이까지 마쳤으나 날개를 말리는 과정에서 돌연 천적인 사마귀 눈에 띄어 당랑권의 희생이 되는 나비들이 그 예다.
야생곤충의 세계는 이처럼 삶 자체가 모험이요 각 단계의 성장 과정마다 위험과 역경의 연속이다. 1초 앞을 장담치 못하는 그 숱한 위험과 역경을 벗어나 성충으로서의 대임(종족 번식)을 마쳐야 비로소 한 세대의 생활사가 마무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곤충의 세계에도 나름대로의 생존전략이 있다. 진화하는 과정에서 유전자에 새겨진 지혜다.
호랑나비를 예로 들어보자. 짝짓기를 마친 암컷은 부지런히 탱자나무나 산초나무 등의 운향과 식물을 찾는다. 알을 낳기 위해서다. 굳이 그들 나무를 찾아가는 것은 알에서 태어날 애벌레를 위한 배려다. 호랑나비 애벌레는 그들 나무 이파리 외엔 절대 먹질 않는다. 알을 낳아도 잎 뒷면에 붙인다. 천적의 눈을 피하기 위해서다. 생존 전략은 그 뿐만이 아니다. 부화한 애벌레는 1령에서 4령까지 새똥 같은 위장색을 띤다. 5령도 푸르스름한 보호색을 띤다. 또 어느 정도 자란 애벌레는 위기가 닥치면 머리에서 노란 뿔 같은 것을 내밀어 고약한 냄새를 풍긴다. 번데기로 변할 때도 한 가닥의 실을 토해내 자신의 몸을 지탱할 수 있도록 나뭇가지에 붙잡아 맨다. 마치 아기를 업을 때 포대기를 둘러매는 모양새다. 기막힌 지혜다.
창과 방패의 논리 같은 곤충의 세계는, 그래서 들여다 보면 볼수록 신비스럽기만 하다. 하지만 그러한 신비와 지혜도 앞서 말한 뜻밖의 상황에선 그저 무색할 뿐이다. 더구나 기상악화와 같은 악조건을 만나게 되면 더더욱 속수무책이다. 올해처럼 큰비와 거센 바람이 잦을 경우엔 그야말로 나약한 존재일 수밖에 없다. 사람도 맥없이 당하는데 그들이라고 온전할 수 있겠는가. 재앙 수준의 엄청난 시련을 겪게 된다. 곤충알에 내리치는 빗방울 하나의 위력이 사람 머리위로 4륜구동 승용차 한 대가 날아드는 것과 같은 정도이니 요즘 끊임없이 내리붓는 물폭탄 아래선 어떻겠는가.
가는 곳마다 부화 안 된 각종 곤충알과 탈피 또는 날개돋이 도중에 죽거나 불완전하게 우화해 힘겹게 살아가는 곤충들이 유난히 많은 올해. 곤충의 세계에도 지난 겨울의 혹한 이후 계속되고 있는 기상이변의 여파가 '현재진행형 재앙'으로 나타나고 있다.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에 울고 웃는 사람들  (0) 2011.12.18
등칡과 등나무, 바로 알자  (0) 2011.12.18
어느 백사의 죽음  (0) 2011.12.18
풍뎅아 풍뎅아 빙빙 돌아라!  (0) 2011.12.18
매미 소리  (0) 2011.12.18

사람마음은 참 간사하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모두가 지긋지긋한 비에 넌더리 내더니만 반짝해진 햇볕에 언제 그랬냐며 희색을 띤다.
이번의 '줄 비'가 오기 전엔 어땠나.

 "무슨 놈의 날이 이렇게 더워"하며 짜증들 내더니만 갑작스런 겹장마와 함께 기온마저 떨어지니까 언제 그랬냐며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는 둥 호들갑 떨지 않았는가.

어디 그 뿐인가. 알곡이 채 영글지도 않았었는데 전례없는 대풍이니 해가며 선이자 갚듯 이구동성 떠들지 않았는가.  

우리 주변엔 요즘 악몽 꾸는 이들이 많다.

이른바 날씨 대란으로 피해 입은 사람들이다. 아니 피해 정도를 넘어서 재앙을 입은 사람들이다.
그런 사람 가운데엔 한 철 벌어 1년 먹고 사는 사람들, 예를 들어 피서대목에 잔뜩 기대 걸고 없는 돈 투자했다가 되레 거덜난 사람도 있고, 몇 년만에 공사 하나 맡았다가 공기(工期)를 못 맞춰 졸지에 빚더미에 오른 이도 있다.

출하 직전의 과일들이 자고 나면 온 밭 가득 떨어져 수확을 포기한 채 망연자실한 사람, 고추는 익어 따야겠는데 하염없이 내리는 비에 밭고랑도 못들어가고 줄담배만 태우다 한 해 농사 망친 사람, 집앞 비닐하우스가 돌풍에 휘말려 엿가락처럼 휘어진 채 하늘로 치솟아도 손 하나 대지 못하고 기절초풍한 사람 등등 피해도,사연도 갖가지다.
가슴에 한이 맺히면 피멍이 든다고, 어디에 하소연도 못한 채 메마른 눈물 한숨으로 달래며 속으로 분을 삭히는 그들이다.
큰 지진이 나 집이 무너지고 태풍으로 강물이 넘쳐나 소,돼지 떠내려가야만 재앙이고 천재인가. 크든 작든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빚어진 피해라면, 아니 적어도 사람 손으론 어쩔 도리가 없는 피해라면 당연코 재해요 재앙이 아닌가. 그들이라고 일부러 피해를 입고 싶었겠는가.

그건 아니다.

뭔가 잘못 돼도 크게 잘못됐다.

그들이 새까맣게 탄 가슴을 한숨으로 달랠 때 정부는 뭘 하고 지자체는 뭘했나. 정부 일 하고 지자체 일 하는 사람들이 사는 곳엔 비도 안 오고 바람도 안 불었나.
기상청은 뭘하는 덴가. 비가 몇날 며칠이고 줄창 내릴 때 사람들마다 하던 말이 있다. "도대체 이 비가 언제 끝난답니까. 비가 온다고만 할 뿐 언제쯤 끝날 것 같다는 예보 하나 없으니 원…."
알만 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다.

정부는 얼마 전 일기예보의 선진화란 명목으로 엄청난 돈 들여 최신기기를 도입하고 인적 시스팀도 새롭게 했다고 자랑 아닌 자랑을 한 것을.

그러나 그 자랑 이후 기상청의 덕을 봤다는 이가 있었는가. 오히려 오보가 많아지진 않았는가.            

필자는 이번 기상이변을 '대재앙'이라 부르고 싶다.

온갖 분야에 가시적인 피해가 큰 것도 큰 것이지만, 이번 기상이변의 가장 큰 위력은 사람들의 인식을 일거에 뒤바꿔놓았다는 점이다.

'날씨가 이럴 수도 있다'는 데 대한 두려움과 혼돈이 그동안 각인돼 온 우리나라 기상 인식을 한 순간에 무너뜨린 것이다.
한반도 기후가 온대에서 아열대로 가고 있다는 주장이 이번에 처음 나온 얘기는 아니다. 그러나 믿질 않았다.

하지만 이번 기상이변으로 많은 이들이 생각을 바꿨다.
안 바뀐 건 정부요 지자체다.

이번 날씨대란이 있을 때 최소한의 노력은 보였어야 했다. 어느 지역에 어떤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지, 그 정도는 어떤지 파악하고 방안마련에 나섰어야 한다.

당시 시간이 없었다면 햇볕이 난 직후, 아니 지금이라도 해야 한다. 그러나 조용하다. 너무 조용하다.
지역 머슴이라 자칭하던 국회의원, 지방의원들은 다 뭐하는가.

대선주자들은 자신들의 '큰꿈'만 생각지 말고 민초들의 '작은꿈'도 생각해야 한다.

 

그들이 엄청난 걸 바라는가.

작은 관심과 위로의 말 한 마디면 죽다가도 살아날 사람들이다.

추석은 코앞인데 그들은 안중에도 없다.
지금 그들은 가을 걱정, 수확 걱정이 아니라 벌써부터 추운 겨울 생각하며 긴 한숨 내쉬고 있다.

남들 다 반기는 이 가을하늘 아래….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루봉 사람들과 진달래  (0) 2008.04.23
서로 다른 봄의 소리  (0) 2008.04.14
물꼬와 대운하  (0) 2007.09.04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0) 2007.06.08
지금 농촌은 망종(芒種)이다  (0) 2007.06.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