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시나무꽃 피는 계절의 단상

 

 

1601년 프랑스에 미국으로부터 블랙 로커스트(Black Locust)란 나무가 들어왔다.

들여온 사람은 Jean Robin과 그의 아들. 그후 100여년이 지나 이 나무는 저명한 식물학자 린네에 의해 로비니아 수도아카시아(Robinia pseudoacacia)란 학명이 붙여졌다. 로빈이 들여온 아카시아 비슷한 나무란 뜻이다. 열대수종 아카시아를 닮았지만 아카시아는 아니다란 의미도 있다.

그후 1875년 오스트리아 비엔나 세계박람회에 참가했던 일본인 쓰다가 수도아카시아 가로수를 보고 종자를 들여온 게 일본의 첫 도입 계기가 됐고 그것이 1878년 한 농업잡지에 니세아카시아란 일본이름과 明石屋樹란 한문이름으로 소개됐다. 일본어로 니세아카시아 즉 가짜아카시아라 부른 것은 종소명인 pseudoacacia를 그대로 번역한 때문이다. 문제는 아카시야노키(明石屋樹)란 일본식 한문명이 우리나라에 소개되면서 아까시나무란 모호한(?) 한국명을 낳고 나아가 아카시아란 그릇된 이름으로 부르는 빌미가 됐다는 점이다.

어쨋거나 아까시나무는 일본보다 16년 늦은 1891년 일본인에 의해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오게 됐는데 그 목적이 조경용이었다. 다름 아닌 사까키란 사람이 중국 상하이에서 묘목을 가져다 인천공원에 심은 것이다. 그뒤 1898년 일본출정철도감부가 인천 월미도에 조림한 것을 비롯해 1940년까지 무려 1억그루 가까이 심어졌다.

해방후에도 아까시나무는 계속 심어져 한때 인공조림수의 10%에 이를 만큼 사방·조림공사가 꾸준히 이뤄져 오다가 산림녹화가 어느 정도 마무리된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공식재가 중단됐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 3번째의 아까시나무 대국이 됐다.

그러나 아까시나무에 대한 국내 인식은 정반대다. 도입된지 100년 넘는 유일한 나무이자 우리나라 조림역사의 산증인인 대표수종이 되레 쓸모없는 나무로 푸대접 받는 신세다. 기껏해야 양봉가들의 밀원수 내지 땔나무 정도로만 인식될 뿐 가구용 고급목재나 건축용 목재, 동물사료용으로 널리 이용하면서 줄곧 식재면적을 넓히고 있는 다른 나라들과는 전혀 딴판이다. 원산지인 미국조차 새로운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우리 다음으로 넓은 식재면적을 갖고 있는 헝가리도 목재수요량의 80%를 아까시나무로 대체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우리나라서 아까시나무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은 데는 2가지 원인이 있다. 하나는 일제 강점기때 들여왔다는 부정적 시각이고 또 하나는 조상묘를 해치는 나쁜 나무란 인식이다. 일본인이 들여온 나무가 조상묘를 파고드는 것도 미워죽겠는데 뽑아도 뽑아도 계속 돋아나니 좋아할 리 만무란 얘기다.
그러나 그게 다가 아니다. 일제때 그들이 자체분석한 보고서를 보면 헝가리의 성공사례를 들어 아까시나무의 긍적적인 면이 부각돼 있다. 재질의 내구성이 좋아 농기구재로 그만이며 토양개량 효과가 있어 산림황폐화를 막는데도 효과적이라고 소개된 것이다. 수탈의 상징인 철도 침목을 만들고 우리 산야를 망치기 위해 들여왔다고 믿는 우리들로서는 한번쯤 곱새겨볼 만한 대목이다.

또 한가지 아쉬움은 민둥아까시나무에 대한 푸대접이다. 우리나라 산림청은 1960년대 세계 최초로 가시없는 민둥아까시나무를 개발하고도 가치를 이해 못해 활용은커녕 방치하고 있었는데 미국서는 이를 다량 번식해 귀중한 사료자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기막힌 일이다. 천안제일고 교정에 쓸쓸히 서있는 민둥아까시나무 원종들을 떠올릴 때마다 아까시나무 대국이면서 아직도 생태교란종 논란만 거듭하고 있는 우리 현실이 부끄러워 손톱밑이 가시 찔린 것처럼 아려온다. 아~까시여!

 아까시나무가 우리 나라에 처음 심겨진 것은 1891년 일본인 사까끼가 중국 상하이에서 묘목을 구입해다 인천 공원에 심은 것이 효시다.

따라서 우리 나라 아까시나무 도입의 첫째 목적은 조경 혹은 관상용이라 할 수 있다.

이후 1898년 일본 철도회사가 인천 월미도에 다량 식재했는데, 이 때의 목적은 철도침목으로 활용키 위해서였다.

그후 한일 합방이 되자 총독부가 사방용과 연료용 등의 목적으로 원산지인 북미와 중국으로부터 종자를 수입해다 전국에 심기 시작했는데, 그 절정기인 1926년부터 1940년 사이에는 무려 9천3백98만 그루가 심겨졌다.

14년 동안 1억 그루 가까이 심겨진 셈이다. 

해방 후에는 한국전쟁으로 황폐해진 전국의 산야를 복구키 위해 대대적으로 심겨져 한때 인공조림한 나무의 10%에 육박할 정도로 많이 식재됐으며 그후에도 사방,조림용으로 계속 심겨져 오다 산림녹화가 어느 정도 끝난 198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인공식재가 중단됐다.

 

일본에 아까시나무가 도입된 것은 우리 나라보다 약간 이른 1875년 일본인 쓰다가 오스트리아 비엔나 만국박람회에 참가했다가 가로수로 심겨진 아까시를 보고 종자를 구입해 온 것이 시초다. 도입 초기 일본에 소개된 아까시나무의 이름은 '니세아카시아' 즉 '가짜아카시아'였다.

이때 '가짜'란 말을 붙인 것은 학명인 'Robinia pseudo-acacia L'의 pseudo를 그대로 번역한 때문이다.

학명, 특히 종소명에 수도(pseudo)가 붙은 것은 열대지역의 진짜 아카시아와는 다르다는 뜻이다.

이후 일본에서는 明石屋樹 즉 '아까시야 노끼'로 불려졌으며 이 명칭이 우리 나라에 들어와 '아까시나무'로 정착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식물명의 한국명은 그 동식물을 첫 번째로 학계에 발표한 학자의 뜻을 따라주는 게 관행으로 돼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아카시아나무'란 이름 대신  '아까시나무'로 이름 지어져 학계에 처음 소개됐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의 '아카시아'란 명칭은 Acacia 계통의 학명을 나타내는 용어일 뿐이며 정확한 한국명은 '아까시나무'다.

즉, 아카시아 혹은 아카시아나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말이다.

 

아까시나무에 대한 우리 나라 사람들의 인식은 매우 좋지 못하다.

일제 침략기에 일본인에 의해 처음 들여와진 데다 장소 가리지 않고 뿌리를 내리는 엄청난 생명력과 번식력으로 경작지는 물론 조상의 묘까지 마구 침투해 들어와 망나니짓을 하니 좋아할 사람 아무도 없다.

하지만 앞서 소개한 대로 아까시나무가 우리 나라에 최초 도입된 것은 조경 혹은 관상용이요 그 이후 일제 강점기 때에도 사방과 연료용으로 주로 심겨졌을 뿐(당시 일본 국내에서도 식재가 권장되었슴)이며 실제 산림녹화에도 크게 공헌해 왔다.

더욱이 오늘날에는 우리 나라 꿀 생산량의 70%를 아까시나무서 채취할 만큼 중요한 밀원으로 자리잡아 있다.

그러나 어찌됐건 아까시나무는 우리 나라 귀화식물의 대표격으로 기존 식물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쳐 왔을 뿐만 아니라 '동구 밖 과수원길 아카시아 꽃이 활짝 폈네~'라는 노랫말처럼 국민가요 또는 동요 속에 끼어들거나 추억 속에 잠재된 채 국민정서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도입 1백 여 년만에 우리 나라 전역에 완전히 터를 잡은 아까시나무.

한 많은 우리 역사처럼 그 동안 우여곡절도 많았지만 치렁치렁 매단 하얀 꽃의 자태와 코끝에 스며드는 매혹적인 향기로, 5월하면 생각나는 계절의 전령사로서 아련한 우리 고향의 정취를 대변해주는 건 사실이다.

40대 이상의 어른들에겐 어릴 적 사방공사용으로 쓰일 어린 묘목이나 씨를 받아 학교에 가던 기억을 새삼 떠올리게 하는 그 아까시나무가 지금 막 꽃망울을 터트리고 있다.

어머니의 버선코처럼 생긴 독특한 꽃모양이 유난히 인상적인 그 아까시나무가 짙은 향기를 내뿜기 시작한 것이다.

 

그 향기를 맡으니 아련한 추억과 함께 또다시 버릇처럼 이런 생각이 머릿속을 맴돈다.

왜 하필 '아까시나무'라고 한국명을 지었을까?

나뭇가지에 '까시'(가시)가 나 있어 찔리면 '아'프기 때문에 '아까시'나무라고 한건 아닌지...

우리 국민 대부분이 '아까시'와 '아카시아'를 구분않고 혼동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 나무 이름을 '버선나무'라는 새이름을 지어주면 어떨는지.

어머니의 하얀 버선코를 닮은 꽃잎을 보면 볼수록 '버선나무'란 이름이 꼭 어울릴 것같다는 생각을, 철이 들고 난 이후부터 지금까지 늘 떨궈내지 못하고 버릇처럼 해오고 있다.

어머니 버선코를 닮은 버선나무....

향기가 좋은 버선나무꽃...

아니면 버선꽃나무?

어쨋든 올해도 하얀 아까시나무꽃 향기와 함께 여름은 우리곁에 와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