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생태계 변화의 잇단 신호탄일까요?

최근 내륙도시 충북 청주시 관내 미호강(미호평야)에 재두루미 24마리가 날아와 약 3주 동안 머물다 간 데 이어 이번에는 노랑부리저어새가 4마리 나타났습니다.

청주시 도심을 관통하는 무심천까지 드나들던 이들 노랑부리저어새는 5일간 머물다 다른 곳으로 이동했습니다.

미호강에는 지난해 1마리에 이어 올해로 두번째 출현입니다. 

무심천에는 첫 출현입니다.

최근 미호강과 그 지류인 무심천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소개합니다. 

동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Uqti6xiEeFU

충북도 “미호천, 무심천, 백곡저수지 고병원성 여부 2~3일 소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방역 모습./아시아뉴스통신DB


[아시아뉴스통신=백운학 기자] 충북도는 지난 14일 청주시 미호천(흥덕구 옥산면)과 무심천(흥덕구 원평동), 진천 백곡저수지(진천읍 상신리) 철새도래지에서 채취된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검사결과 H5형 조류인플루엔자(AI) 항원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도는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AI SOP)에 따라 항원이 검출된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10km 지역을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설정했다.
 
도는 예찰지역 내 전업농 78호(닭 70호; 오리 8호)에 대해 긴급 예찰·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상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도는 현장에는 방역본부 초동방역팀(3팀 6명)을 긴급 투입해 검출장소 주변에 차량 및 사람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고 광역방제기 등 방역장비를 총동원하여 인근농로 및 가금농가 진입로 등에 대해 긴급소독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고병원성 여부 등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는 2~3일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며 “농가에서는 철저한 소독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baek3413@hanmail.net

미호종개 운명 '가는모래' 존속여부가 좌우
현존 서식지 대부분 하상변화로 멸실위기
모래 사라진 서식지 이미 미호종개 절종

 

■하상구조의 변화


미호종개가 사라지는 두 번째 원인은 '하상구조의 변화'이다.

 

여기서 두 번째 원인이라고 한 것은 하상구조의 변화가 전편에 소개한 '수질 악화' 보다 덜 심각하거나 덜 중요해서가 아니라 설명하는 순서에 따라 두 번째라는 표현을 썼을 뿐이며, 그 심각성이나 중요성 면에서는 수질 악화에 버금가는 '주된 원인'임을 밝혀둔다.


그동안 서식현장을 직접 취재하면서 느낀 점도 그렇고 현장 답사에 동행했던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도 대체로 이에 동의한다. 오히려 전문가들 중에는 수질 악화보다 더 심각한 영향을 끼쳐 미호종개를 사라지게 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하상구조의 변화를 꼽는 이도 있다.


하상구조의 변화 가운데서도 가장 치명적인 요인은 바로 '가는모래가 없어지는 현상, 즉 저질(底質·bottom material) 구조의 변화'라 할 수 있다. 한 마디로 말해 하천에 가는모래가 없어지면서 미호종개도 자취를 감춰가고 있다는 얘기다.

 

순천향대 미호종개 복원사업단의 일원으로서 지난 1년여 동안 본보 취재팀과 함께 현장 답사에 나섰던 생태 전문가 이순재씨(BLS테크 기술이사)의 말이다.


"그동안 수많은 현장 답사 결과 미호종개가 발견된 지점은 반드시 가는모래로 저질이 이뤄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는모래가 아닌 굵은모래나 자갈로 이뤄진 하상에서는 지금까지 단 한 마리의 미호종개도 발견하지 못했다. 현존 서식지의 상황을 감안할 때 미호종개가 사라지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역시 가는모래가 없어지면서 저질구조가 바뀌어 미소서식처가 망가진 점을 들 수 있다."


미호종개와 가는모래와의 관계는 그간 여러 차례 강조한 바 있다. 미호천에서 미호종개라는 신종을 처음 발견하게 한 결정적인 모티브가 된 것이 '희고 고운 모래'였으며, 신종 발표 이후 지금까지 발견된 모든 서식처의 저질이 가는모래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은 미호종개가 가는모래를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시사해 준다.<국립중앙과학관 홍영표박사(미호종개 복원사업단 연구원)의 이번 조사결과 미호종개는 0.15~0.6mm 크기의 고운모래가 깔린 하상을 특히 좋아하는 것으로 확인됨.17회 보도> 

 

미호종개의 서식처
현존하는 미호종개 서식처들은 대부분 극히 적은 양의 모래로 소규모 사이트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언제 사라질 지 모르는 백척간두의 상황에 놓여있다. 이들 소규모 서식지에 사는 미호종개의 운명은 특히 하상의 가는모래가 언제까지 존재하느냐에 따라 좌우될 만큼 매우 긴박한 상황이다. 사진은 대전 갑천의 서식처(월평공원 부근)./자연닷컴

 

먹이를 먹고 있는 미호종개
미호종개는 먹이를 섭취할 때 주로 가는모래를 주둥이로 흡입했다가 아가미 쪽으로 내보내면서 먹이를 걸러먹는 습성이 있다. 또한 휴식을 취하거나 천적을 피해 몸을 숨길 때도 가는모래 속으로 재빨리 파고 드는 등 가는모래가 많이 깔린 하상을 유난히 좋아한다./자연닷컴
 

 
취재팀이 이번에 확인한 미호종개의 생태에서도 가는모래와는 뗄래야 뗄 수 없는 특이한 생활습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먹이를 섭취할 때 주로 가는모래를 주둥이로 흡입했다가 아가미 쪽으로 내보내면서 먹이를 걸러먹는 습성이라든가, 휴식을 취하거나 천적을 피해 몸을 숨길 때 가는모래 속으로 재빨리 파고 드는 습성, 자연 상태에서 산란 장소를 택할 때 가는모래의 하상을 찾는 습성 등은 미호종개의 삶 자체가 가는모래가 있어야만 영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미호종개의 이같은 습성과 관련해 가장 최근(2006~2007년)에 확인된 6곳의 서식지 상황은 오늘날 미호종개가 처한 '멸종 직전의 현실'을 그대로 대변하고 있다.

 

다시 말해 가는모래가 거의 사라진 현 서식지 상황을 감안할 때 미호종개는 얼마안가 멸종될 수밖에 없는 최악의 처지에 놓여있음을 실감케 한다. 말 그대로 올 데까지 다 온 백척간두의 상황이다.


미호종개의 본적지격인 미호천의 팔결교 지점(충북 청원 관내)은 물론 상류쪽(진천 관내) 농다리지점과 대전 갑천, 충남 공주 유구천, 청양 지천 등의 서식지는 모두 한 사이트당 수십 ㎡밖에 되지 않는 지극히 작은 규모의 미소서식지가 불과 한 두 곳씩만 확인되고 있을 뿐이며, 서식 개체수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진천 백곡천(백곡저수지 인접지)의 집단 서식지는 다른 서식지에 비해서는 규모도 크고 서식 개체수도 많은 편이지만 이곳 역시 하천 유수량과 바로 아래 저수지의 수위 변동 등 주변상황에 따라 가는모래로 이뤄진 서식 사이트 규모가 크게 변하고 모래량도 갈수록 줄어드는 등 악화일로에 있다.

 

갈수기의 백곡천 집단서식지
진천 백곡천의 미호종개 집단 서식지는 인근 백곡저수지의 수위 및 하천 유수량에 따라 미소서식지의 위치와 규모가 크게 변하는 등 상황변화가 심해 '미호종개의 앞날'이 불안한 상태다. 이곳 서식지의 저질을 이루는 가는모래는 대부분 저수지 안으로 밀려나 있기 때문에 백곡저수지가 만수위가 되면 극히 좁아진 사이트(저수지 수면에 잠기지 않은 미소서식지)에 수천 마리 이상의 미호종개들이 모여들어 조그만 환경 변화에도 전멸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자연닷컴
 


미호종개의 '안방'이라고 할 수 있는 미소서식지의 위치가 계속 변하고 있는 것도 미호종개가 모래(특히 가는모래로 이뤄진 모래톱)를 따라 서식장소를 옮기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실례로 청양 지천의 경우 지난 1986년에는 충남 청양군 운곡면 작천리 수역에서 미호종개가 발견됐으나 지난해와 올해 실시한 조사에서는 작천리 수역에서 하류쪽으로 멀리 떨어진 청양군 장평면 구룡리와 부여군 은산면 회곡리 경계지역에서 발견됨으로써 서식지가 하류로 밀려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수계를 통틀어 현재 가는모래로 이뤄진 서식장소(미소서식지)가 완전히 사라짐으로써 미호종개가 이미 절종된 서식지(하천)들도 여러 곳에 이르고 있다. 과거 채집 기록상 미호종개 서식지로 알려졌던 대전 유등천과 충북 진천·음성의 초평천, 증평 보강천, 청주 무심천 등이 그 본보기다.


이들 하천을 포함해 미호종개 서식지에서 모래, 특히 가는모래가 없어지고 있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무엇보다도 골재채취로 인한 직접적인 유실을 들 수 있다. 또한 작은 모래 알갱이들이 하천수에 휩쓸려 하류로 끊임없이 유실되고 있는 것도 큰 이유중의 하나다.


여기에 더하여 과거에 비해 산림이 우거지고 농지개간이 줄어드는 등 여러 여건 변화로 인해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토사량이 현저히 줄어듦으로써 새로 생겨나는 모래량이 크게 감소한 것도 하나의 원인이다. 아울러 수질 악화로 인해 모래톱이 뻘 등 각종 오염원으로 뒤덮여 제구실을 못할 경우도 미호종개에게는 삶의 터전을 빼앗기는 치명타일 수 밖에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