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모래에 붙은 규조류 가장 많이 섭식"
위 내용물 조사 최초시도 식성 밝혀내
녹조·남조·동물성플랑크톤도 함께 먹어
-----(25)미호종개의 먹이특성
자연생태계에서 미호종개는 무엇을 먹고 살까.
이같은 궁금증을 밝혀내는 일은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온 미호종개의 생태를 규명하고 나아가 미호종개의 '생태적 지위'를 살피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관건 중의 하나다.
어느 한 생물 종이 자연생태계에서 무엇을 먹고 사느냐의 문제는 그 생물 종 자체가 갖는 생태적 특성과 깊은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생물 종이 서식하고 있는 단위 생태계내에서의 생태적 지위를 결정 짓는다.
미호종개 역시 마찬가지다.
미호종개의 먹이특성은 또 미호종개가 자연생태계에서 '맡은 역할'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미호종개가 현 서식지에서 생산자 역할을 하느냐, 소비자 역할을 하느냐, 또 피식자 역할을 하느냐, 포식자 역할을 하느냐, 혹은 분해자 역할을 하느냐, 경쟁자 역할을 하느냐 등등의 문제를 결정짓는 중요한 잣대다.
미호종개의 먹이특성은 또한 다른 생물, 특히 현존 서식지에서의 동서종(同棲種)들과의 상호작용 내지 상호관계를 유추할 수 있는 중요 근거를 제공한다. 여기서의 상호작용(혹은 상호관계)에는 경쟁과 포식 등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 미호종개의 먹이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했다. 따라서 이번에 국립중앙과학관 이상명박사(자연사연구팀)가 실시한 미호종개의 먹이특성 연구는 미호종개의 생태적 특성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 아울러 현존 서식지에서 갖는 생태적 지위 및 역할을 살피는데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 최초의 업적으로 꼽힌다. 다음은 이박사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본 미호종개의 먹이특성이다.
위 내용물 조사 최초 시도
미호종개의 식성 조사를 위한 위 내용물 조사가 최초로 시도됐다. 국립중앙과학관 이상명박사가 미호종개 시료로부터 위를 분리해 내는 모습과 현미경 분석을 하고 있는 모습. /자연닷컴
■미호종개의 식성조사
순천향대 방인철박사(해양생명공학과)팀이 문화재청으로부터 허가를 얻어 채집한 시료를 대상으로 위(胃)의 내용물을 조사한 결과 여름철(2006년 8월)에는 규조류가 7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 다음으로는 녹조류가 20%, 남조류와 동물성 플랑크톤이 각각 5%씩 차지했다.
규조류 중에는 Cymbella속이 75%를, Navicula속이 25%를 차지했고, 녹조류 중에는 Scenedesmus속이 90%, Cosmarium속이 10%를 차지했다.
남조류는 모두 Phormidium속이 차지했으며 동물성플랑크톤은 Lepadella속이 60%, Trichocerca속이 40%를 차지했다.
초겨울인 11월에 미호종개의 위 내용물을 조사한 결과 8월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위 내용물 중 가장 많이 차지한 것은 규조류로 전체의 77%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녹조류 15%, 남조류와 동물성 플랑크톤 각각 4%씩 조사됐다.
규조류 중에는 Cymbella 속이 70%를 차지했으며 나머지 17%는 Melosira속이, 13%는 Navicula속이 차지했다. 녹조류는 Scenedesmus속이 87%, Cosmarium속이 13%로 나타났고, 남조류는 Phormidium속이 60%, Oscillatoria속이 40%를 차지했다. 동물성 플랑크톤은 Trichocerca속이 55%, Lepadella속이 45%로 조사됐다.
이같은 분석 결과로 볼 때 미호종개는 가는모래에 붙어있는 부착 규조류를 주로 먹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규조류 중에서도 Cymbella 계통의 조류를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규조류 다음으로는 Scenedesmus 속의 녹조류를 많이 먹고 있으며, 소량으로 조사된 남조류와 동물성플랑크톤은 부착조류를 먹을 때 함께 섭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따라서 미호종개는 현 서식지에서 잡식성의 1차 소비자 역할을 하는 동시에 동서종인 점줄종개나 참종개 등과는 먹이경쟁 관계를, 유입 외래어종인 베스 등과는 피식 및 포식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호종개의 먹이
미호종개는 가는 모래에 붙어있는 부착 규조류를 주로 먹되 규조류 중에서도 Cymbella 계통의 조류를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규조류 다음으로는 Scenedesmus 속의 녹조류를 많이 먹고 있으며, 남조류와 동물성플랑크톤도 함께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1)규조류(Cymbella속) (2)규조류(Navicula속) (3)녹조류(scenedesmus속) (4)동물성플랑크톤(Lepadella속)./자연닷컴
/김성식 생태환경전문기자(충청타임즈)
'천연기념물 미호종개 기획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미호종개가 사라지는 이유(2) (0) | 2020.07.07 |
---|---|
<26>미호종개가 사라지는 원인(1) (0) | 2020.07.07 |
<24>미호종개의 생활사 (0) | 2020.07.07 |
<23>미호종개의 초기생활사 (0) | 2020.07.07 |
<22>미호종개의 산란행동(2) (0) | 202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