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철에 물고기를 잡아보면 대부분은 잡는 순간 알 또는 정자를 몸밖으로 내 쏟는다.
온 집안을 쏘다니며 주부들의 가슴을 걸핏하면 콩알가슴으로 만들어 놓는 바퀴 벌레도 알을 실었을 때 잡으면 죽기 직전 영락없이 알을 깔린다.
사람도 병에 걸려 쇠약해지면 이성을 더 밝힌다는 얘기가 있고 목을 매 자살하거나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사람들도 숨을 거두는 순간 무의식적이지만 방정행위와 비슷한 행위를 한다는 얘기가 있다.
도축장의 소나 돼지들도 그같은 본능적인 방정행위를 하긴 마찬가지다.
그 뿐만이 아니다.
'쓸모 없는 소나무 솔방울만 잔뜩 맺는다'는 말처럼 식물인 소나무 역시 영양상태가 나빠지거나 수세(樹勢)가 약해지면 서둘러 솔방울을 많이 맺는다.
이렇듯 미물이건 사람이건 위급한 상황이 닥칠 때 종족보존행위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은 어찌 보면 그 종족보존행위 자체가 모든 생명체에 내재된 본연의 임무요, 하늘이 부여한 지고지순의 대임(大任)임을 입증해 준다.
이와 관련해 한 가지 관심을 끄는 실험결과가 나와 있다.
그것은 무두웅(無頭雄), 즉 '머리잘린 수컷'이란 소름끼치는 단어를 낳은 사마귀의 짝짓기에 관한 실험이다.
이 실험결과는 과거 2백여 년 동안 전세계 생물학계를 지배해 온 이론으로서 '사마귀 수컷은 짝짓기할 때 대부분 암컷에 의해 머리가 잘려지며 오히려 머리가 잘린 후 더욱 강렬하게 짝짓기 행위를 하고 마침내는 새끼들의 영양원이 되기 위해 스스로 암컷에게 잡혀 먹힌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은 최근 미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대학 연구팀이 실시한 반증실험을 통해 사실이 아닐 수 있다는 주장에 부딪혀 있다.
다시 말해 최근의 실험은 과거 학자들이 사마귀의 짝짓기 장면을 관찰할 때 실험실 조명을 너무 밝게 해 암컷으로 하여금 이성을 잃게 했거나 암컷에게 충분한 먹이를 주지 않아 수컷을 잡아먹었을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론이야 어떻든 실제에 있어서는 머리가 잘려진 채 암컷 등에서 떨고 있는 무두웅의 사마귀가 가을철이면 더러 눈에 띈다.
이 때 신기한 것은 암컷 등을 타고 있는 수컷 사마귀는 비록 머리는 잘려져 암컷의 먹이가 됐지만 짝짓기가 끝날 때까지 자신의 짝짓기 기관을 암컷의 그것에 맞댄 채 계속해서 작짓기 행위를 하며, 암컷 역시 짝짓기를 마칠 때까지는 수컷을 잡아먹지 않고 있다가 그것이 완전히 끝난 후에야 비로소 수컷을 잡아먹는다는 점이다.
필자는 이 같은 장면을 볼 때마다 이상야릇한 동변상련(?)과 함께 이 시대 남자들의 '고개숙인 뒷모습'을 떠올린 바 있다.
연쇄부도다 구조조정이다 하여 가는 곳마다 고개 숙인 남자요 어깨 쳐진 남자뿐인 요즘, 무두웅의 사마귀가 자꾸만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은 무슨 연유일까.
그것은 곧 나라 경제와 사회 발전을 위해 죽어라 일해 왔건만 대접은 커녕 하루아침에 내쫓김을 당해야 하는 이 시대 남자들의 신세가 '씨 주고 몸까지 바쳐야 하는 수컷 사마귀의 신세'와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리라.
자신의 생명과도 같은 일터에서 쫓겨나 거리를 방황하는 고개 숙인 남자들의 뒷모습은 차라리 머리가 없어 보인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마냥 풀이 죽은 채 '머리 쳐 박은 자라 모습'을 하고 있다.
그들 가운데에는 또 심한 자멸감과 자괴지심에 집을 뛰쳐나와 노숙생활을 하며 통한의 나날을 보내는 이들도 부지기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원 칼날은 조금도 무뎌질 기세를 보이지 않고 갈수록 날카로워지니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가장들이 무두웅 신세가 될 지 걱정이다.
환경호르몬인가 뭔가 하는 죽음의 재들은 자꾸만 정자 수를 줄여 '남자 구실'을 빼앗아 가고 사회 경제 분위기는 삶의 의욕과 일터를 빼앗아 왕따 아닌 왕따로 만드는 극도의 위기 시대.
무슨 업보를 짊어졌길래 이 불운의 시대에 하필 태어나 이 시대의 잘못이란 잘못은 몽땅 다 뒤집어쓰고 숨 한번 크게 쉬지 못하는지.
오호 애재라.
남자들이여, 그대들의 이름은 정녕 '시대의 희생양'일 뿐이란 말인가.
(이 글은 1990년대 말 IMF 시기에 쓴 글임)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온난화(2)-우리 바다가 심상치 않다 (0) | 2020.09.17 |
---|---|
지구온난화(1)-빨라야 산다 (0) | 2020.09.17 |
빛바랜 속담 (0) | 2020.09.17 |
농약은 요술방망이가 아니다 (0) | 2020.09.17 |
입맛과 생태파괴 (0) | 2020.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