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자연-임용묵의 다큐파일⑩ (아시아뉴스통신 2016년 6월6일자 보도기사. 원문 보기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24610 )  

 

(아시아뉴스통신=김성식기자) 기사입력 : 2016년 06월 06일 10시 42분

 

 

중국에서 유입된 위성류. 본래는 중국의 위성(渭城)이란 지역에 자생하는 버드나무(柳)라 하여 위성류(渭城柳)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우리나라에는 씨가 조류를 따라 서해안으로 유입돼 자생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시화호와 소래갯벌이다. 5월과 8~9월 두 번 꽃이 피는데 8~9월에 피는 꽃에서만 열매가 달린다. 충북지역에는 드물게 관상수로 심겨져 있다. 충북 괴산군 소수면에서 촬영.(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본격적인 여름철이 되면서 온 산야의 푸르름이 짙을 대로 짙어졌다. 그러면서 그 안에 깃든 생명의 고동소리도 그 어느 때보다도 높게 울려퍼지고 있다. 산과 들, 그 어디를 둘러봐도 온통 생명력으로 넘쳐난다.

아시아뉴스통신은 충북 청주에서 활동하면서 주로 우리 주변의 자연을 앵글에 담아오고 있는 임용묵 생태사진가를 일주일에 한 차례씩 지면으로 초대해 그의 시각으로 본 우리 자연의 모습을 독자에게 전하고 있다.

바쁜 일상에 쫓겨 자연에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도시민들에게는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선사하는 청량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편집자 주>

겹빈도리 꽃. 꽃잎이 여러 겹 겹쳐 핀다고 하여 만첩빈도리라고도 부른다. 범의귀과에 속하는 식물로 줄기의 속이 비어 있어서 빈도리란 이름이 붙여졌다. 겹빈도리의 꽃이 지고나면 손잡이가 달린 팽이처럼 생긴 앙증맞은 열매가 달린다. 충북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에서 촬영.(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감자 꽃. 농가에서는 감자 꽃이 피면 덩이줄기인 감자 씨알이 작아진다고 하여 일찌감치 순을 잘라주기 때문에 꽃이 피는 것을 잘 볼 수 없다. 프랑스에서는 한때 왕궁에서 감자를 관상용으로 심었다고 전해진다. 감자 꽃이 지면 토마토와 비슷하게 생긴 작은 열매가 달린다. 충북 괴산군 칠성면에서 촬영.(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추억의 고욤나무 꽃. 고욤은 감처럼 생겼지만 크기가 매우 작은 데다 떫고 씨투성이여서 먹기가 쉽지 않다. 오죽하면 '고욤 일흔이 감 하나보다 못하다'란 속담이 생겨났을까. 고욤나무의 목재는 감나무처럼 고급 가구재로 쓰인다. 동의보감에 '고욤의 꼭지는 딸국질을 멎게 한다'는 기록이 있다. 충북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에서 촬영.(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다래나무 꽃. 다래나무의 열매인 다래는 맛이 좋아 예부터 즐겨먹던 산과실의 대명사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는다. 다래나무의 줄기는 잘 썩지 않아 생활도구의 재료로 이용돼 왔다. 창덕궁 안에는 수령 약 600년 된 다래나무(천연기념물 제251호)가 있다. 충북 괴산군 칠성면에서 촬영했다.(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어성초의 꽃. 삼백초과의 다년생 풀로 정식 명칭은 약모밀이다. 중국의학대사전에 어성초로 표기돼 있다. 어성초란 '물고기 비린내가 나는 풀'이란 뜻이다. 실제로 이 풀의 잎을 만지면 역겨울 정도로 물고기 비린내가 난다. 10가지 병에 쓰인다는 의미의 '십약초'라고 불릴 만큼 여러 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충북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에서 촬영.(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고광나무의 꽃. 흰꽃이 밤에도 환하게 비친다고 하여 고광나무란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어린 순은 오이냄새가 나 '오이순나물'이라고 부른다. 조선산매화, 동북산매화라는 이명을 갖고 있다.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담동에서 촬영.(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국수나무 꽃. 줄기를 잘라 벗기면 국수가닥 같은 하얀 줄기가 나온다 하여 국수나무란 이름이 붙여졌다. 가지의 색깔이 처음에는 적갈색을 띠지만 묵을수록 하얗게 변한다. 가느다란 줄기는 싸리나무 대용으로 이용돼 왔다.충북 괴산군 문광면에서 촬영.(사진제공=임용묵 생태사진가)

감꽃과 마른 장마

 

 

감나무는 참으로 묘하다.

감을 열매 맺지만 그 씨는 이상하게도 감나무가 아닌 돌감나무나 고욤나무를 잉태한다. 다시 말해 감씨에서는 감나무가 나지 않는다. 돌감나무나 고욤나무가 난다.
제 아무리 크고 튼실한 씨를 골라 심어도 결과는 같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세상사 이치가 감나무에서만큼은 예외다.

열리는 결과물 즉 감과 돌감, 고욤만을 놓고 보면 더욱 그렇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 보면 그럴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한 마디로 감나무의 본바탕이 돌감나무 혹은 고욤나무이니 그 씨에서 돌감나무나 고욤나무가 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 수 있기 때문이다.
감씨는 그 자체로 묘목을 만들면 열매가 퇴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해서 예부터 좋은 감나무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접붙이기를 해왔다. 근연종인 돌감나무 또는 고욤나무를 대목으로 하여 원하는 감나무의 새순이나 눈을 접붙여 크고 맛있는 감이 열리도록 한 것이다.
맛있는 수박을 얻기 위해 박이나 호박묘에 수박순을 접붙이는 이치와 같다. 다만 수박씨에선 박이나 호박묘가 나지 않고 수박묘가 나는 것만 다르다. 감나무는 그만큼 독특하다.


감나무는 또 꽃을 2년에 걸쳐 피우는 특성이 있다. 매년 6월말경 꽃을 피우지만 그 꽃눈은 이미 전년도 7~8월경에 분화돼 4개의 꽃받침이 될 부분을 만들어놨다가 그대로 월동한 후 꽃잎과 암수술 등을 갖춰 꽃을 피운다.
감꽃은 그 해 여름철 일기를 점쳐주는 꽃으로도 알려져 있다. 즉 감꽃이 피었다가 시든 뒤 곧바로 떨어지지 않고 오래도록 붙어있는 해는 장마철이라도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다고 전해지고 있다. 마른 장마의 징후란 뜻이다.
자연현상을 보고 일기를 점치는 것을 관천망기(觀天望氣)라 하는데 감꽃을 통해 본 올해의 관천망기가 어쩜 그렇게도 꼭 들어맞는지 감탄할 지경이다.

며칠전 일이다.

꽃이 지고 난 뒤에 앙증맞게 커가는 감을 촬영하기 위해 어느 감나무 밭을 찾았는데 많은 감들이 말라붙은 꽃을 그대로 둘러쓰고 있었다.
순간 스쳐 지나간 생각이 옛 어른들의 관천망기요 요즘 날씨, 특히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는 마른장마 현상이었다.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 장마철이 아직은 많이 남았으니 두고 볼 일이지만 지금까지의 일기로 봐서는 감꽃이 점쳐준 그대로다. 장마철에 감질나는 비만 오니 기상청 일기예보보다 되레 정확하단 생각마저 든다.

큰 비가 올 것이라던 지난 주말도 그랬고 월드컵 16강전이 펼쳐지던 2주전 주말도 겁만 잔뜩 줬을 뿐 말 그대로 마른비의 연속이다. 게다가 6월 둘째주 이후 계속 주말에만 비소식이 있고 정작 비는 찔끔거리기만 한다.

충북지역의 대표적인 하천인 달래강은 5월 이후 거의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예년 같으면 이미 한 두 번쯤은 큰물이 내려갔을 테지만 올핸 단 한 번도 물다운 물이 내려가지 않았다. 물은 물대로 탁한 빛을 띠고 있고 곳곳에 이끼와 수초가 무성히 자라 다른 강을 보는 듯하다.
본격적인 피서철이 왔어도 뚝 끊어진 피서객들의 발길에 주변 상인들은 한숨만 짓고 있다. 한 철 벌어 일년 먹고 사는 그들로서는 손해가 막심하다.
생태계도 말이 아니다. 비같은 비가 내려야 물고기들이 산란할 텐데 뱃속에 알만 잔뜩 실은 채 갈팡질팡하는 물고기들이 태반이다. 물고기들의 이동도 뜸하니 어부들은 그물치기를 포기했다. 2007년부터 내리 3년째 가을가뭄으로 버섯철을 망친 달래강변 사람들이기에 그들의 걱정은 벌써 가을을 향하고 있다.

비는 너무 많이 와도 탈이요 너무 적게 와도 탈이다.

장마철이 끝나기 전에 어서 적당한 비가 오면 좋으련만, 언제쯤 그런 약비가 올지 적이 걱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