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익 찌익…." 아침부터 요란하다. 새끼가 부화한 지 10여일 지나면서 소리의 톤이 점점 높아진다.
우리집에 동거하는 야생 딱새 얘기다. 어미는 어미대로 먹이 나르느라 정신이 없다. 동 트는 새벽부터 해 지는 저녁까지 잠시도 쉬지 않는다. 먹이를 물어다 주는 중간 중간엔 또 새끼 배설물까지 물어다 버리는 지극정성까지 보인다. 연중 가장 바쁜 어미새들의 몸짓, 작지만 그 무엇보다도 커 보이는 지고지순한 사랑이 펼쳐지고 있다.
산자락에 지어진 조립식 주택. 거실과 주방이 따로 없는, 그런 주방 한 쪽의 가스레인지 송풍기 안이 딱새가 둥지 튼 공간이다. 송풍기 구조상 내부를 들여다 볼 수는 없지만, 사실상 한 주방 한 거실에서 그들과 함께 사는 셈이다. 출입만 달리 할 뿐이다. 그들은 벽바깥 쪽 배기구가 유일한 출입구다.
송풍기 안과 밖이란 차이만 있을 뿐 한 지붕 아래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다 보니 서로의 움직임이 소리로 전달된다. 야생과 인공의 사이엔 얇은 철판만 존재한다. 새들에 대한 호기심을 늘 품고 살던 어린시절 같았으면 벌써 무슨 꿍꿍이를 써서라도 그들이 몇 마리인지 얼마나 컸는지 직접 확인하고야 말았겠지만, 지금은 소리 듣는 것만으로도 재미있고 또 소리로써 그들 속사정까지 꿰뚫고 있다.
그들과의 동거가 이미 10년째 되는 데다 1년에 2번 가량 새끼 치니 한식구나 다름없다. 게다가 어릴적부터 나름대로 체득한 경험까지 있어 소리만 들어도 그들의 생활사는 '내 손 안에 있소이다'다. 이제 막 짝짓기 할 때의 소리와 알을 낳고 품을 때, 부화한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 줄 때, 새끼가 다 커 둥지를 떠날 때의 소리가 약간씩 다르다. 위급 상황에선 또 다른 소리를 낸다.
조류학에선 이를 Song과 Call로 구분하는데, Song은 말 그대로 지저귐이요 Call은 상대방을 부르거나 다른 신호를 보내기 위한 소리다. 새끼가 먹이 달라고 보채는 소리와 천적을 알리는 위험신호도 Call에 속한다.
경험으로 판단하건데 지금의 딱새가족은 어미를 포함해 모두 6~7마리로 추정된다. 또 새끼들은 일주일 뒤면 이소(離巢)할 것으로 보인다. 둥지 떠나는 날이면 늘 그래왔듯이, 아침부터 둥지 안팎이 유난히 소란스러워질 것이다. 어미는 바깥세상을 향해 첫 날개 펴는 새끼들에게 어서 용기내라고 부지런히 Call하고, 새끼들은 두려움반 호기심반으로 계속 소리(CAll) 지르다가 어느 순간 날갯짓하면 이소 과정은 끝난다.
야생 딱새와 동거해 오면서 배운 게 있다. 하나는 새끼들의 학습과정이다.
예들 들어 새끼들이 처음엔 작은 인기척에도 놀라 그것이 어미 소리인 양 예민하게 반응하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차츰 무뎌져 나중엔 큰 소리에도 꿈쩍 않는다는 점이다. 이 번만 해도 그렇다. 처음 부화해선 물 트는 소리, 가스불 켜는 소리, TV 소리도 어미 소리로 착각해 짹~짹~ 반응하더니만 며칠 지나선 같은 벽의 욕실문 여닫는 소리에도 무덤덤해졌다. 단 며칠 만에 어미 소리를 각인한다는 증거다.
또 하나는 아무리 작은 딱새라도 어느 정도 사리분별은 한다는 점이다. 낯선 사람과 차량은 경계하면서 나와 내 차는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사나운 개도 목줄에 묶여 있으면 무서워하지 않는다. 마냥 새대가리가 아니란 말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건 그들에게도 믿음이 있다는 점이다. 온갖 소리가 코앞에서 들리는 인공적인 공간을, 그것도 송풍기 팬이 언제 돌아갈 지 모르는 위험천만한 공간을 계속해서 보금자리로 삼는다는 것 자체가 믿음 아니겠는가. 이 점이 내가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송풍기를 돌리지 못하는 이유이다.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이 자연에게 무시당하는 시대 (0) | 2011.07.25 |
---|---|
어느 장끼의 마지막 날갯짓 (0) | 2011.07.25 |
농부들이여, 부디 용기 내시길… (0) | 2011.02.09 |
달천의 왕우렁이알 동면, 예삿일 아니다 (0) | 2011.02.09 |
청양고추의 처량한 신세를 잊지 말자 (0) | 201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