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난초과 식물인 천마의 사진을 찍기 위해 산에 오르다 실로 오랜만에 반가운 광경을 봤다.

풀이 무성한 어느 묘를 지나는데 느닷없이 까투리 한 마리가 발밑에서 튀어올랐다. 독사가 많은 지역이라 가뜩이나 조심스레 발길을 옮기는 중이어서 내심 놀랐으나 까투리 하는 꼴을 보니 그 녀석은 더 놀란 모양이었다.
갑자기 튀어 올랐다가는 이내 땅에 떨어져 다친 시늉을 했다. 한 쪽 날개와 다리가 부러진 양 이리 비틀 저리 비틀거리며 몸을 파르르 떨기까지 했다. 마치 자기를 잡아보라고 유혹이라도 하듯 주위를 맴돌며 혼을 뺐다.

 

얼마 만에 보는 몸짓인가.

제 딴엔 내 시선을 끌어보려고 부던히도 애쓰고 있었지만, 그 속내를 익히 아는지라 눈길은 이미 발밑을 향해 있었다.

그의 새끼인 꺼병이들을 찾기 위해서였다.

아니나 다를까. 몇 초 안 지나 바짝 엎드린 채 머리를 처박고 있는 꺼병이들이 눈에 들어왔다. 어미의 신호가 떨어질 때까지 무작정 꼼짝 않고 있을 태세였다. 귀엽기는 했지만 한편으론 두려움에 떠는 작은 움직임들이 애처로워 서둘러 자리를 뜨고나니 그제야 어미의 행동과 소리가 달라졌다. 적이 물러갔으니 안심해도 좋다는 공습해제 경보였다.

 

꿩 가족이 보인 일련의 행동들을 생물학에선 의태(擬態)라고 한다.

사람이 나타나자 어미가 다친 시늉을 하며 시선을 자신에게 돌리려고 한 것이라든가 어미의 신호에 따라 일제히 몸을 숨긴 뒤 죽은 척 했던 꺼병이들의 몸동작이 의태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동물이 살아남기 위해 다른 동물 혹은 식물체나 무생물체와 흡사한 색채, 모양, 자세 등을 가지는 게 의태다. 한 마디로 생존을 위한 흉내작전과 위장술이 곧 의태다.

 

새끼들의 안전을 위해 자신의 몸을 방패막이로 삼았던 까투리의 모정, 그 모정의 다급한 신호를 받고 즉시 시체놀이하듯 부동자세를 취했던 꺼병이들의 모습, 그 어찌 생명의 끈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반갑고 흐뭇한 광경이 아니겠는가.

 

의태를 하는 새 중에는 깝작도요란 게 있다. 모래와 자갈이 깔린 하천변에 주로 살면서 꼬리와 몸통을 항시 깝작거리는 이 새도 번식기에 위급상황을 만나면 까투리처럼 즉시 다친 시늉을 해 가족의 안녕을 지킨다. 꿩은 덩치라도 크지만 깝작도요는 덩치도 작은 게 간덩이는 커 천적이 바싹 다가올 때까지 꼼짝 않고 있다가 마주치기 직전 또는 밟혀죽기 직전에서야 별안간 움직여 다친 시늉을 한다.
요즘 보기 드물어진 쏙독새도 의태를 하는데, 쏙독새 하면 떠오르는 기억이 있다. 아주 어렸을 적이다. 마을 뒷산을 오르는데 한 오리나무 아래서 쏙독새 한 마리가 날더니 갑자기 총 맞은 행동을 보였다. 어린 마음에 잡으려고 다가갔더니 약 올리듯 자꾸만 달아났다. 다가가면 날아가고 다가가면 날아가고. 한참 뒤 제자리로 돌아와 보니 낙엽속 둥지안에 품고 있던 흰알 두 개가 있었다. 그 뒤로 새의 의태란 걸 알았다.

 

지난 주말엔 의태가 아닌, 안타까운 죽음을 목격했다.

한 야산길을 지나는데 장끼 한 마리가 '까투리 의태하듯' 풀숲에서 튀어올랐다. 아니 까투리도 아니고 웬 장끼가 저런 행동을 할까, 의아해 했지만 하는 짓이 영락없이 의태 같았다.

그런데 웬걸, 한 5분 가량을 이리 뛰고 저리 뛰더니만 이내 움직임이 없었다. 참 신기하기도 하다며 다가가 보니 상황이 그게 아니었다. 금세라도 죽을 것처럼 온몸이 굳어가고 있었다. 주변을 보니 최근에 씨앗을 뿌린 콩밭이 있었다. 씨앗 도둑을 막기 위해 밭주인이 놓은 극약을 먹은 것이다.

 

약 기운에 졸다가 졸지에 불청객에 놀라 튀어오른 게 마지막 날갯짓이 된 셈이다.

장끼는 그렇게 죽어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