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날씨, 심각한 이상징후다

 

올해 날씨가 예사가 아니다. 심하게 말하면 기고만장이다. 갈 데까지 가보자는 듯 실로 위세가 대단하다.
언젠가도 얘기했듯 올핸 음력상 입춘이 없다. 지난해 음력에 입춘을 빌려줬기 때문이다. 해서 지난해엔 입춘이 두 개인 쌍춘년(혹은 양두춘)이었던 반면 올핸 무춘년이다.
속설에 쌍춘년은 길하고 무춘년엔 불길하다는 얘기가 전한다. 일부에선 올해 날씨를 그 탓으로 돌리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게 간단한 상황이 아니다.
새해벽두부터 유례없는 추위와 폭설이 몰아치더니만 봄이 돼서는 잦은 비와 한파, 이상난동이 뒤죽박죽으로 이어졌고 급기야 4월 하순엔 눈까지 내리면서 103년만의 4월 한파를 기록했다.

 

뿐만 아니다. 정작 비가 많은 장마철엔 되레 마른 장마가 이어졌고 그런 가운데 중부지방은 '속 타는 주말 비'가 6주 연속(7월 마지막주 건너뛰고는 7주 연속) 계속됐다. 장마철에 비가 너무 많이 와도 탈이지만 너무 안 와도 탈이다. 충북의 대표적인 하천인 달천엔 올 들어 단 한 번도 '큰물'이 흐르지 않았다.
더위는 또 어떤가. 목하 불볕 더위가 한반도를 달달 볶아대고 있다. 7월 한 달만 해도 26일이나 평년기온을 웃돈 데 이어 8월 들어서도 줄창 폭염이다. 말 그대로 전례없는 된더위다. 한번 올라간 수은주는 낮이나 밤이나 내려올 줄 모르고 있다. 가마솥 더위니 찜통 더위니 하는 표현만으로는 실제 체감온도의 반도 못 표현할 정도다.
더워 죽겠다는 말처럼 정말로 더위로 인해 죽는 사람까지 생겨나고 있다. '날씨가 사람 잡는다'는 말은 이럴 때를 두고 하는 말이다. 사람이 죽을 지경인데 소,돼지,닭 등 가축들은 말하면 뭣하겠는가. 하루에도 몇 번씩 생과 사의 문턱을 넘나든다. 바깥 기온이 연일 30도를 훨씬 넘으니 축사 안은 불가마다. 몸이 단 축산업자들은 밤낮없이 초비상이다. 대형 송풍기를 있는 대로 틀고 지하수를 수시로 뿌려대지만 역부족이다.
얼마나 초비상 상황인지 말도 못 붙일 정도다. 엊그제엔 모 지역의 축사 두 곳을 찾아가 말을 걸었다가 호된 면박만 당했다. 불난 집에 기름 끼얹느냐고 왕짜증을 냈다. 인터뷰 도중에 가축이 죽으면 책임 질거냐는 말까지 들었다. 오죽하면 그럴까 하고 발길을 돌렸다.

 

날씨 탓에 복장 터지는 사람들이 또 있다. 농민들이다. 지난 겨울과 봄에 입은 냉해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으니 속 좋을 리 만무다. 폭서에 웬 냉해 얘기냐고 할지 모르나 현지 상황은 심각하다.
옥수수 농가의 경우 이식기에 찾아든 한파로 묘가 얼어죽어 2~3차례 더 파종한 것도 억울해 죽겠는데 정작 수확기를 맞아 옥수수를 따 보니 수확량마저 예년에 비해 훨씬 적게 나타나는 등 2차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겉으로 보기엔 멀쩡한 옥수수자루가 껍질을 벗겨보면 알맹이가 형편없이 차 있거나 아예 옥수수자루 끝이 3~5 갈래로 갈라진 기형을 하고 있으니 수확량이 줄어들 수밖에.
과수원도 예외가 아니다. 비싼 인건비 들여 열매솎기 작업에 봉지씌우기 작업까지 마친 과수들이 수확철을 눈앞에 두고 돌연 나무 전체가 고사하거나 낙과, 기형과가 생겨나면서 과수농가들의 속을 시커멓게 타들어가게 하고 있다.

 

연초부터 꼬이기 시작한 날씨, 단지 그것을 탓하는 게 아니다. 심각해진 기후변화와 그로 인한 피해를 말 그대로 심각하게 받아들이자는 얘기다. 작금의 기후는 마치 산(山) 날씨 같아졌다. 극과 극을 내달린다. 한 해에 수십 년 만의 추위와 수십 년 만의 더위가 함께 찾아오기도 한다.
중요한 건 그런 기후 불확실성의 시대를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하는가이다. 그게 이 시대의 최대 화두다.

올해가 '입춘 없는 무춘년(無春年)'이라더니…

 

범띠 해인 올핸 입춘이 없는 무춘년(無春年)이라더니 그 말이 기막히게 들어맞았다. 봄은 왔었는데 겨울 품을 벗어나지 못한, 봄 아닌 봄이었기 때문이다.
화창한 날씨를 보이다가도 걸핏하면 추위가 찾아와 103년만의 4월 한파란 새기록을 세우더니만 급기야 며칠전엔 속리산에 눈까지 내렸다. 4월 하순에 눈이라니, 이변도 보통 이변이 아니다. 속리산 자락에 핀 산벚꽃을 개칠하듯 하얗게 내린 눈을 바라본 사람들은 뜬금없는 광경에 혀를 내둘렀다.


지금이 어느 땐가. 내일(5일)이면 입하다. 여름문턱에 들어서는 날이니 절기상으론 엄연히 초여름이다. 더구나 보름뒤엔 더위가 시작돼 여름기분이 든다는 소만이다. 그때면 식물들도 하루가 다르게 자라니 본격적인 여름이다.
그런데 작금의 날씨는 어떤가. 5월 들어 예년기온을 되찾았다는 날씨가 마치 어린애가 온·냉탕을 오가며 뛰놀듯 기고만장이다. 낮이면 햇볕이 쨍하다가도 저녁과 아침이면 수은주가 마냥 내려간다.


농민들은 올해들어 줄곧 죽을상이다. 유례없던 겨울추위 끝에 봄을 맞았으나 우수에서 곡우까지 봄절기 다가도록 봄 같지 않은 봄날씨가 천방지축 이어져 큰피해를 입는 바람에 절망을 옆에 끼고 산다. 이미 얼어죽은 과수목과 담배묘,고추묘,감자싹 등은 이제 신물이 나 쳐다보기도 싫단다.
우리주변의 초목·곤충들은 또 어떤가. 만개해야 할 꽃들은 피는 도중 얼어붙어 시커멓게 변하기 일쑤고 나뭇가지에선 새이파리들이 흡사 사람머리에 기계충 걸린 것처럼 듬성듬성 돋고 있다. 제초제를 뿌린들 그런 흉한 모습을 할까. 매년 이맘때면 지천으로 날아들던 벌과 나비는 정신없는 기온변화에 혼이 빠진듯 제몸 추스르기 바쁘다. 어쩌다 보이는 벌과 나비는 힘겨운 날갯짓으로 측은지심을 부른다.
봄이 실종된 게 어제 오늘의 일만은 아니다. 겨울에서 봄을 건너뛰고 곧바로 여름날씨로 치달은 게 어디 한두 해 있었던 일인가. 다만 올해의 경우엔 겨울날씨에서 곧바로 여름날씨로 건너뛰질 않고 이상저온 현상이 장기간 그리고 더욱 잦게 이어지면서 생태리듬의 도미노현상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점이 다르다. 입하가 코앞인데 벚꽃과 목련꽃이 벌어지고 개나리가 이제서야 피는 지역이 부지기수다. 절기가 이른 것도 있지만 날씨영향이 더 크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무춘년의 위력을 다시금 생각해보지 않을 수없다. 더군다나 무춘년엔 불길하다는 속설까지 있으니 세상사 돌아가는 꼬락서니와 함께 적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올해의 무춘년은 지난해(음력 2009년 소띠 해)에 입춘을 빌려준(?) 결과다. 지난해엔 음력으로 1년 사이에 입춘이 2개였다. 이른바 양두춘(兩頭春)의 해였다.
속설에서는 양두춘엔 길하고 무춘년엔 불길하다고 전한다. 속설을 꼭 믿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가뜩이나 경험칙으로 보면 속설이 길사엔 잘 맞지 않고 흉사엔 비교적 잘 맞는 까닭에 앞으로 남은 2010년이 더욱 걱정된다.

지금까지 얼마나 시끄럽고 다사다난했는가. 불과 3분의 1년이 지났을 뿐인데 마음은 연말에 와있는 느낌이다. 하나가 잠잠해지면 또 다른 하나가 불쑥 튀어나와 세상을 놀라게 한다. 사회적 긴장의 연속이다. 천안함 참사로 놀랐던 가슴 간신히 추스르고 나니 이번엔 또 구제역이 전국을 불안지대로 만들고 있다.
달력(음력)에도 입춘이 없고 기후상으로도 봄날씨가 실종된 유별난 해라서 그런지 세상사까지도 유별나게 돌아가는 것 같아 씁쓸하다. 부디 계절에 맞는 날씨, 절기에 맞는 생태리듬이 하루빨리 회복되고 더이상 가슴 덜컹 내려앉는 일이 생기지 않는 남은 한해가 되길 기대한다. 마지막 봄날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