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날씨, 심각한 이상징후다

 

올해 날씨가 예사가 아니다. 심하게 말하면 기고만장이다. 갈 데까지 가보자는 듯 실로 위세가 대단하다.
언젠가도 얘기했듯 올핸 음력상 입춘이 없다. 지난해 음력에 입춘을 빌려줬기 때문이다. 해서 지난해엔 입춘이 두 개인 쌍춘년(혹은 양두춘)이었던 반면 올핸 무춘년이다.
속설에 쌍춘년은 길하고 무춘년엔 불길하다는 얘기가 전한다. 일부에선 올해 날씨를 그 탓으로 돌리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게 간단한 상황이 아니다.
새해벽두부터 유례없는 추위와 폭설이 몰아치더니만 봄이 돼서는 잦은 비와 한파, 이상난동이 뒤죽박죽으로 이어졌고 급기야 4월 하순엔 눈까지 내리면서 103년만의 4월 한파를 기록했다.

 

뿐만 아니다. 정작 비가 많은 장마철엔 되레 마른 장마가 이어졌고 그런 가운데 중부지방은 '속 타는 주말 비'가 6주 연속(7월 마지막주 건너뛰고는 7주 연속) 계속됐다. 장마철에 비가 너무 많이 와도 탈이지만 너무 안 와도 탈이다. 충북의 대표적인 하천인 달천엔 올 들어 단 한 번도 '큰물'이 흐르지 않았다.
더위는 또 어떤가. 목하 불볕 더위가 한반도를 달달 볶아대고 있다. 7월 한 달만 해도 26일이나 평년기온을 웃돈 데 이어 8월 들어서도 줄창 폭염이다. 말 그대로 전례없는 된더위다. 한번 올라간 수은주는 낮이나 밤이나 내려올 줄 모르고 있다. 가마솥 더위니 찜통 더위니 하는 표현만으로는 실제 체감온도의 반도 못 표현할 정도다.
더워 죽겠다는 말처럼 정말로 더위로 인해 죽는 사람까지 생겨나고 있다. '날씨가 사람 잡는다'는 말은 이럴 때를 두고 하는 말이다. 사람이 죽을 지경인데 소,돼지,닭 등 가축들은 말하면 뭣하겠는가. 하루에도 몇 번씩 생과 사의 문턱을 넘나든다. 바깥 기온이 연일 30도를 훨씬 넘으니 축사 안은 불가마다. 몸이 단 축산업자들은 밤낮없이 초비상이다. 대형 송풍기를 있는 대로 틀고 지하수를 수시로 뿌려대지만 역부족이다.
얼마나 초비상 상황인지 말도 못 붙일 정도다. 엊그제엔 모 지역의 축사 두 곳을 찾아가 말을 걸었다가 호된 면박만 당했다. 불난 집에 기름 끼얹느냐고 왕짜증을 냈다. 인터뷰 도중에 가축이 죽으면 책임 질거냐는 말까지 들었다. 오죽하면 그럴까 하고 발길을 돌렸다.

 

날씨 탓에 복장 터지는 사람들이 또 있다. 농민들이다. 지난 겨울과 봄에 입은 냉해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으니 속 좋을 리 만무다. 폭서에 웬 냉해 얘기냐고 할지 모르나 현지 상황은 심각하다.
옥수수 농가의 경우 이식기에 찾아든 한파로 묘가 얼어죽어 2~3차례 더 파종한 것도 억울해 죽겠는데 정작 수확기를 맞아 옥수수를 따 보니 수확량마저 예년에 비해 훨씬 적게 나타나는 등 2차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겉으로 보기엔 멀쩡한 옥수수자루가 껍질을 벗겨보면 알맹이가 형편없이 차 있거나 아예 옥수수자루 끝이 3~5 갈래로 갈라진 기형을 하고 있으니 수확량이 줄어들 수밖에.
과수원도 예외가 아니다. 비싼 인건비 들여 열매솎기 작업에 봉지씌우기 작업까지 마친 과수들이 수확철을 눈앞에 두고 돌연 나무 전체가 고사하거나 낙과, 기형과가 생겨나면서 과수농가들의 속을 시커멓게 타들어가게 하고 있다.

 

연초부터 꼬이기 시작한 날씨, 단지 그것을 탓하는 게 아니다. 심각해진 기후변화와 그로 인한 피해를 말 그대로 심각하게 받아들이자는 얘기다. 작금의 기후는 마치 산(山) 날씨 같아졌다. 극과 극을 내달린다. 한 해에 수십 년 만의 추위와 수십 년 만의 더위가 함께 찾아오기도 한다.
중요한 건 그런 기후 불확실성의 시대를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하는가이다. 그게 이 시대의 최대 화두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