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옷날의 외침 하늘이시여!”(2015.6.20일자 아시아뉴스통신 보도)

 

온 나라가 지쳐가고 있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20일로 꼭 한 달째 이어지면서 온 국민을 지치게 하고 있다.

 

메르스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외식·유통·숙박·관광업 등 모든 분야에 걸쳐 경기가 침체되고 각 분야 종사자들이 큰 타격을 입으면서 지역경제까지 휘청거리고 있다.

 

메르스 확진환자 발생지역이든 아니든 사람으로 붐볐던 거리는 죄다 썰렁하고 식당가, 극장가, 병원가 할 것 없이 거의 개점휴업 상태다.

 

당장 가게세며 직원 월급부터 해결해야 하는 소상공인들의 속 타는 하소연이 뙤약볕보다 더 뜨겁다.

 

여기에 더해 봄부터 이어진 최악의 가뭄으로 들녘과 산야도 타들어 가고 있다. 댐과 저수지, 하천 수위가 하루가 다르게 내려가면서 농심도, 땅도 쩍쩍 갈라져만 간다. 거북등처럼 드러난 농경지에선 절망의 한숨소리가 폐부를 찌른다.

 

공사장에 있어야 할 중장비가 한 가닥 물줄기를 찾느라 하천바닥을 연일 파들어 가고 있고 레미콘을 싣고 공사장을 오가야 할 레미콘 차량이 물 한 방울 없어 모가 말라비틀어져 가고 있는 논바닥에 생명수를 쏟아내느라 바쁘다.

 

또 화재 발생에 대비하고 있어야 할 소방차가 가뭄 해갈부터 도와야겠다며 메마른 농경지에 소방 호스로 물을 뿌리고 있다. 화재도 화재지만 농부들 가슴에 붙은 가뭄 불부터 끄고 봐야겠다는 다급한 배려에서다.

 

검붉게 타 버린 콩, 고구마 등 작물과 이제 막 심었건만 노랗게 변해버린 모, 그나마 댈 물이 없어 아직까지 모내기를 못한 논바닥을 그저 바라봐야만 하는 농부들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돼 주기 위해 중장비, 레미콘차, 소방차가 하천과 농경지를 오가는 진풍경을 낳고 있다.

 

이번 가뭄은 비단 농부들뿐만 아니라 하천 변에서 식당업, 펜션업, 캠핑장업 등을 하는 이들에게도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가뜩이나 메르스 여파로 예약 손님이 뚝 끊긴 판에 하천수까지 바닥을 보여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여름 성수기가 코앞이건만 하천수위는 점점 빠르게 내려가고 메르스 상황은 갈수록 악화일로이니 눈앞이 깜깜하다. 희망이 절벽이라며 볼멘소리들이 높다.

 

우선 당장의 해갈이 시급한데 큰비 소식은 감감하다. 비 소식은 있지만 신통치 않다.

 

워낙 가뭄의 골이 깊은 데다 예상 강수량은 찔끔 수준이니 되레 가뭄만 더 탄다며 걱정만 키우는 상황이다. 다음 주부터 장맛비 소식이 있으나 가 봐야 한다며 별 기대를 않는 눈치들이다.

 

마른장마를 점치는 소리도 간간히 들려와 불안감을 키운다. 완전 해갈이 되려면 100mm 이상 큰비가 지역에 따라 한 번 내지 두 번은 와야 한다는데 마른장마라니 기가 찰 노릇이다.

 

보다 못한 지역민들이 곳곳에 모여 기우제를 지내며 하늘이시여!’를 외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농협, 각 군청, 농민단체, 지역의회 등이 나서서 정성을 다 하는 모습이 측은할 정도다.

 

엎드려 두 손 모은 그들의 간절한 기도가 다음 주 북상 소식이 있는 장마 전선을 더욱 끌어 올려 중부 이북지역의 가뭄 해갈에 도움을 줬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아울러 비가 오면 높은 습도 때문에 메르스 바이러스의 생존력이 떨어진다는 미국 국립보건원의 연구 결과처럼 이번 장맛비가 한반도를 강타하고 있는 메르스 펀치까지 잠재울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일 년 중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인 단옷날에 기우제를 지내는 심정으로 하늘이시여!”를 외쳐본다. 비록 마음 속의 외침이지만 가뭄도 메르스도 모두 씻겨갈 비를 기대하며.

청개구리가 몰고온 희우(喜雨) 타는 농심 달랬다

 
우리 조상들의 자연관과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말 가운데 관천망기(觀天望氣)란 게 있다. 하늘을 보고 날씨를 내다보는 것을 일컫는다.

아침 하늘에 무지개나 노을이 생기면 비가 오고 햇무리와 달무리, 새털구름이 생기거나 마파람이 불어도 머지않아 비가 올 징조로 내다봤다. 반면 저녁 하늘에 무지개 또는 노을이 생기거나 하늬바람이 불면 곧 날씨가 좋아질 것으로 여겼다.
하늘만 바라본 게 아니다.

동물들의 행태를 관찰해 날씨를 점치고 그에 대비하는 지혜가 있었다.

대표적인 동물이 청개구리다. 즉, 주변에 청개구리가 나타나 울어제키면 영락없이 비가 온다고 믿었는데 그것도 막연히 비가 온다고 믿은 게 아니라 ‘하루 한나절 안으로 비가 온다’고 믿었으니 꽤나 구체적이다.
뿐만 아니다.

청개구리가 아닌 여느 개구리가 처마밑으로 기어들고 길바닥의 개미가 줄을 지어 이동하거나 제비와 잠자리가 낮게 날아다녀도, 또 물고기가 물 위로 주둥이를 내밀고 뻐끔거려도 비가 올 징조로 보고 서둘러 비설거지를 했다.

자연을 바라보고 날씨를 예측한 것이니 ‘관연망기(觀然望氣)’인 셈이다.
이 관연망기가 때론 놀라울 만큼의 정확도를 보일 경우가 있다. 그만큼 잘 맞는다는 얘기다.

지난 주말의 일이다.

금요일인 19일 아침 일찍 약속이 있어 괴산군 칠성면의 한 어부 집에 들러 대문을 들어서려는데 마당 한 편의 감나무에서 갑자기 청개구리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둘 다 손을 내밀며 인사를 막 하려던 참이어서 우선 짧게 인사말을 주고 받고는 습관처럼 “비가 오려나 봅니다”고 했더니 그 어부 역시 같은 말을 건넨다.

마치 약속이라도 한 양 거의 동시에 같은 말이 나오자 서로 신기한 듯 눈길이 마주쳤는데 그 어부 한 술 더 떠서 “청개구리가 우는 걸 보니 30시간 안에 비가 올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의 예측은 그 이튿날 확인됐다. 영락없이 비가 내린 것이다.

그것도 정확히, 그 어부의 관연망기 대로 30시간 안에 빗방울이 떨어졌다. 옛 어른들이 말하던 ‘하루 한나절’을 구체적인 시간개념으로 바꿔 ‘30시간 안에’ 비가 올 것 같다고 예측한 것이 정확히 맞아 떨어졌으니 이 어찌 놀랍지 않은가.
그러나 아이러니한 건 그날 기상청의 일기예보는 어김없이(?) 빗나갔다. 20일 오전 8시 발표 괴산 등 충북지역 일기예보는 “강수확률이 오전 20% 오후 60%로 밤부터 비가 올 것”으로 내다봤는데 엉뚱하게도 이른 오전부터 비가 내렸다. 그러니 예보를 믿고 주말 나들이에 나섰던 사람들만 비범벅이 됐다.

어쨋거나 이번 비는 누가 뭐래도 타들어가던 들녘과 산야에는 꿀같은 단비였다. 비록 완전한 해갈은 안됐지만 연일 땡볕에 나가 채소밭에 물 주던 농부들에겐 한없이 고마운 희우(喜雨)요 택우(澤雨)였다.
이번 비를 더없이 반가워한 사람들은 보은,괴산,단양,제천 등 송이 산출지역 농민들이다. 한낮기온이 섭씨 30도를 넘는 늦더위에 극심한 가뭄까지 겹쳐 송이철인 데도 송이가 나지 않자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가던 그들이었는데 늦게나마 낮기온도 누그러뜨리고 땅까지 적셔줄 비가 내렸으니 이 보다 더한 감우(甘雨)가 어디 있겠는가.

비록 시기 적절한 적우(適雨)는 아니었지만 모처럼만에 내린 비를 약비(藥雨)요 복비(福雨)라며 연신 고마워하는 그들이다.

그렇기에 아무쪼록 이번 비로 모든 작물이 풍작되고 버섯 생산량도 늘어나서 더욱 더 얼굴이 펴지길 기대한다.

한가지 더 바란다면 주말께부터 더위가 수그러들어 예년 기온을 되찾겠다는 기상청 전망이 이번엔 정말 맞아떨어지길 기대한다.
거미가 줄을 치지 않으면 비가 온다는데 또 비가 오려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