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들이여, 부디 용기 내시길…

 

"남들은 날씨가 풀렸다고 좋아하는데 우린 되레 죽을 지경입니다."
한겨울 날씨에서 봄날씨로, 불과 며칠 사이에 두 계절을 오가는 변덕스런 날씨 탓에 과수농가들의 속이 말이 아니다. 피해 때문이다. 그렇다고 대놓고 하소연할 입장도 못 된다. 전국을 강타하고 있는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때문에 속으로만 가슴을 태우고 있다.

 사정은 이렇다. 수십 년 만의 강추위로 가뜩이나 과수목의 동해가 있지 않을까 걱정이 태산 같았는데 갑자기 설 연휴를 맞아 예년보다 푹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나무 곳곳이 갈라터지는 상렬(霜裂)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먼저 농가 얘기부터 들어보자. "진작에 가지치기 작업을 했어야 하는데 그동안 추위 때문에 엄두도 못 내다 설 연휴가 지나자마자 밭에 나가 일을 하려는데 나무마다 가지가 갈라터지니 속이 뒤집힐 일 아닙니까."
 괴산군에서 2만여㎡의 과수(사과, 복숭아)농사를 짓고 있는 김모씨(55)의 말이다. 그는 30년 가까이 과수농사를 짓고 있지만 올 같은 해는 처음이라며 혀를 내둘렀다. "연일 영하 10~20도를 밑도는 날씨가 이어지다가 갑자기 영상의 날씨로 바뀌니 과수나무인들 견뎌낼 재간이 있겠습니까."

 

 상렬 피해의 원인은 순전히 변덕스런 날씨 때문이라는 김씨. 그의 설명을 정리하면 이렇다. 상렬이란 겨울철 기온변화로 나무줄기의 바깥층 목질부가 세로 방향으로 갈라터지는 현상을 일컫는단다.
 상렬은 낮과 밤의 기온변화가 큰 2~3월경에 주로 굵은 가지의 남쪽 부위에서 일어나는데, 낮에는 태양광선에 가열됐다가 밤중 대기온도가 영하로 급격히 떨어지면 목질부의 세포내 수분이 부피가 늘어나면서 나무줄기를 갈라터지게 한다는 것이다. 현재 상렬 피해가 가장 심한 나무는 복숭아 나무란다.

 

 과수 농가들의 시름은 상렬 그 자체에만 있는 게 아니다. 그에 따른 2차 피해를 더 우려하고 있다. 갈라진 틈새로 부후균 등 각종 병원균이 침투해 결국 나무를 죽게 만든다니 보통 심각한 게 아니다.
 더군다나 과수농가 대부분이 연 2년째 날씨로 인한 피해를 입고 있다. 지난해 겨울에도 폭설과 강추위로 동해를 입었던 과수목에 설상가상으로 병충해 등 2차 피해가 발생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던 그들이다.
 지난해 역시 피해가 가장 심했던 수종은 복숭아 나무였다. 나무 자체가 얼어 죽거나 얼었던 부위에 나무좀이 침투해 결국 말라죽는 피해가 속출했다. 당시 취재차 찾아간 한 과수농가는 "죽을 둥 살 둥 일해봤자 남는 것은 빚 뿐이다"며 "날씨 변덕에 농사짓기가 겁난다"고 울먹였던 적이 있다.

 

 땅은 정직하다고 했다. 뿌린 대로 거둔다는 말도 있다. 그러나 이젠 옛말이 됐다. 제 아무리 노력하고 애써봤자 '날씨 한 방'에 허사가 되기 십상이니 농심인들 변하지 않을 리 만무다.
 수확을 눈 앞에 둔 딸기밭 비닐하우스가 하룻밤 새 내린 눈 폭탄으로 폐허가 되는 일이 비일비재하고 여름이면 폭우와 강풍으로 애써 지은 농작물이 졸지에 애물단지로 변하는 일이 다반사가 됐다.
농심은 천심이라고 했는데 그 천심을 낳는 하늘은 갈수록 무심해지고 있다. 농촌을 떠나지 못하는 농심은 있으되 농촌에 애착을 갖는 농심은 점점 사그라지고 있다.

 

 한 쪽에선 구제역과 AI 폭탄으로 농심이 무너지고 또 한 쪽에선 날씨 폭탄으로 가슴에 피멍 든 농심이 울고 있다. 제발 올해 만큼은 좋은 일만 있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에서 써붙였을 어느 한 농가 대문의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이란 글귀가 되레 '한의 천둥소리'로 다가와 가슴을 때린다.
 이 땅의 농부들이여, 그래도 마지막 용기를 잃지 마시길. 파이팅!.

성난 카우보이와 멧돼지

 

 

"1970년 무렵 나는 너무나 많은 소들을 갖게 돼 지붕도 없는 축사에 100~200 마리씩 가두어 놓고 기르기 시작했다. 그리고는 가능한 한 빠른 시간 안에 가장 크고 살찌게 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동원했다.
우선 소의 식습관을 바꾸기 위해 풀 대신 조섬유와 곡물, 농축 단백질을 먹였다. 하지만 불행히도 이런 식사는 소의 소화기관을 상하게 했다. 많은 소들이 탈장으로 고생했고 나 또한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만 했다.
그러면서도 계속 소를 사들였다. 어떤 땐 20여 곳에서 한 번에 100마리씩 들여오기도 했다. 서로 다른 곳에서 온 소들을 한 우리에 넣어 기르다 보니 이번엔 질병이 문제였다. 해서 사용하게 된 것이 항생제였고, 들끓는 파리떼를 없애기 위해서는 다량의 살충제까지 뿌려댔다.
소들을 더욱 빠르게 성장시키기 위해 호르몬을 사용하기도 했다. 당시 가장 빈번히 사용한 성장호르몬은 DES(디에틸스틸베스트롤)이었다. 나는 이 호르몬을 임신한 소의 유산을 위해서도 사용했다. 그 무렵 나는 화학약품이라면 무조건 좋은 줄로 알았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소 한 마리의 무게를 1,100파운드 되도록 만드는데 30개월 걸리던 것을 15개월로 단축시켰고 농장을 4O배나 키웠다. 하지만 정작 수지타산을 맞추는 것은 갈수록 어려워졌다. 화학물질 자체가 비쌌고 매년 보다 많은 화학비료와 항생제를 사용해야만 그 전 해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무리 애를 써도 소들은 병들거나 죽어나갔다."

 


미국 몬태나에서 대규모 축산업을 하다가 신경종양에 걸려 죽을 고비를 넘기고서야 비로소 산업축산의 폭력성을 깨닫고 채식주의자가 된 하워드 F. 리먼의 <성난 카우보이>란 책을 일부 요약한 내용이다. 카우보이에서 축산업자로, 동물권리운동가로, 채식주의자로 변신해 온 리먼은 1996년 그 유명한 '오프라 윈프리 쇼'에 출연해 소가 소를 먹는 현실을 폭로하면서 광우병이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해 주목 받았던 인물이다.


당시 리먼이 겨냥한 것은 광우병이지만, 그의 주장과 논리는 오늘날 축산업에 몸담고 있는 전세계 농민과 국가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는 <성난 카우보이>를 통해 사용하지 말아야 할 화학약품 등을 아무런 죄의식 없이 사용해 온 제 자신을 스스로 폭로하고 아울러 그것을 방임해 온 국가에게도 일부 책임을 묻고 있다. 사육두수가 적었을 땐 없던 걱정거리들이 점점 사육두수가 많아지면서 자꾸만 생겨나고, 또 그런 반면 욕심은 더욱 커져 보다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는 축산현실을, 체험을 통해 통렬히 지적하는 한편 그릇된 축산업이 지구를 어떻게 절망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가고 있는지를 싸잡아 지적하고 있다.

 


그래서일까. 잊을 만하면 불거져 나오는 가축 전염병들, 특히 요즘 한창 시끄러운 우리나라 구제역(비록 광우병은 아니지만)을 바라보면서 문득 떠오른 것이 리먼의 <성난 카우보이>요, 언제나 하세월인 우리의 방역대책이다.
왜 또 발생했을까. 올해만도 1월과 4월에 이어 벌써 세 번째다. 구제역으로 시작해 구제역으로 끝나는 느낌마저 든다. 언론에선 단골메뉴까지 생겨났다. 자고 나면 '빠르게 확산'이란 굵직한 타이틀과 함께 여지없이 생매몰 광경이 내비쳐진다.


치료약은 없고 예방약도 오히려 만들면 전파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일부러(?) 만들지 않는다는, 그래서 일단 발병하면 일정 반경내 가축들을 모조리 매몰한다는 우리나라의 현실. 이런 와중에 멧돼지는 도심으로 내려와 수시로 날뛴다. 마치 축사 안의 가축들도 언젠가는 뛰쳐나와 날뛰는 날이 있을 것이란 시위라도 하듯 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