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 잡던 시절의 작은 소망을 생각하며

 

 

나 어릴때 작은 소망은/ 계곡에 숨어있는 개구리 잡아 노랗게 구워서/ 다리는 뚝 떼어 소금찍어 내가 먹고/ 검은 알은 엄마 드리고/ 콧노래를 부르며 노는 것이었다네/ 나 어릴때 작은 소망은/ 진달래 먹고 찔레 꺾어먹으며/ 냇가에 나가 버들피리 꺾어불며/ 가재와 미꾸라지 잡아 고무신에 담고/ 다슬기 잡으며 노는 것이었다네….
강순병시인의 '작은 소망'이란 시의 일부다.

 

그렇다.

1960~70년대만 해도 이 땅의 코흘리개 아이들은 무시로 들과 산 찾아 개구리 잡고 꽃과 열매 따 먹으며 놀았다. 그게 생활이요 삶이었다. 지금이야 먹을거리가 지천하고 놀거리도 많지만 그 때만 해도 자연이 곧 주전부리 창고요 놀이터였다.

우선 봄이 되면 너도나도 산을 찾았다. 칡뿌리 때문이었다. 굵직한 알칡을 토막내 주머니에 잔뜩 넣고는 턱이 얼얼하도록 씹고 다녔다.

개구리잡기도 성행했다. 장순병시인은 계곡에 사는 산개구리 잡아 구워먹는 게 작은 소망이었다고 했지만 그 시절 흔히 잡아먹던 개구리는 논과 개울가에 살던 참개구리였다. 지금은 참개구리든 산개구리든 함부로 잡아먹을 수 없지만 그 땐 물고기잡이처럼 예사로 여겼다.
진달래와 찔레순,삘기(띠의 어린순),아까시꽃,감꽃도 빼놓을 수 없는 추억의 주전부리였다. 또한 꿀맛이 일품인 원추리와 꿀풀, 한번 손 댔다 하면 입주위가 새까맣도록 따먹던 버찌와 오디, 손가락에 가시 찔리는 것도 잊은 채 정신없이 따먹던 산딸기와 멍석딸기, 도토리 익을 무렵이면 누렇게 익어 알이 빠지던 개암, 늦서리 내려야 쭈글쭈글 익던 고욤도 잊지못할 계절의 별미였다.

모내기철이면 으레 써레질하는 논으로 달려가 올미 주워먹고 여름이면 저수지에 들어가 마름 따다 삶아먹는게 일이었다. 또한 동네앞 논둑에선 동무들과 쭈그리고 앉아 껌풀(떡쑥) 뜯어 한입 물고는 "껌이 되라" 주문하며 오물오물 씹던 빛바랜 추억도 있다.
뿐만 아니다. 소나무 속껍질인 송기를 먹는다고 어린 가지 꺾어 겉껍질 벗긴 다음 앞니에 대고 하모니카 불듯 좌우로 빨고 다녔으며 무의 꽃대인 장아리를 먹기 위해 무밭을 기웃거리고 아까시나무 새순을 잘라 입에 물고다니기도 했다.

심지어 이런 일도 있었다. 보리와 밀에 생긴 깜부기병을 무슨 귀한 먹을거리인 양 보는 대로 입에 털어넣고는 볼에 묻은 깜부기가루가 우스워 깔깔대기까지 했다. 또 가을이면 벼메뚜기 말고도 풀무치,방아깨비 잡아 구워먹고 벌집 따다가 애벌레를 볶아먹어도 누구 하나 뭐라 하지 않던 게 그 시절이다.

 

40~50년 전의 일을 알지 못하는 세대들은 웬 뜬금없는 얘기냐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농작물 외에는 웬만한 건 대부분 자연에서 구했던 그 시절엔 늘 먹고 겪었던 실제 상황이다. 세월이 바뀌고 먹을거리,놀거리가 풍부해진 오늘날 굳이 그 옛날의 먹을거리,놀거리로 되돌아가자는 얘기가 아니다. 다만 그 때 그 시절 어린이들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며 그곳에서 먹을거리,놀거리를 스스로 찾아냄으로써 자연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즐겼음을 말하기 위함이다.
돈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고 맛있는 음식과 놀이기구를 즐길 수 있는 요즘 어린이들. 하지만 개구리를 보면 외계동물 만난 것처럼 자지러지고 산에 가면 산딸기를 보고도, 들에 가면 오디를 보고도 무엇인지조차 모르는 그런 어린이들이 허다하기에 결코 남의 일 같지가 않아서 하는 말이다.

 

부모들이여, 요즘의 모광고처럼 학부모만 되려 하지 말고 하루만이라도 진정한 부모가 되어 자녀들과 함께 자연을 찾아보면 어떨까 싶다. 자연처럼 있는 그대로를 깨우쳐주는 것도 없쟎은가. 지금 산야엔 오디,산딸기같은 자연의 메뉴가 그득하다.(2010년 6월 15일)

"대낮에도 밤나무/양반동네 상나무/오줌싸고 쉬나무/방귀뽕뽕 뽕나무/대끼이놈 대나무/화가나도 참나무…"
며칠전 속리산에 올랐다가 산중턱의 뽕나무를 보면서 문득 떠오른 구전동요다.

정확한 가사는 기억나지 않지만 어릴적 입이 닳도록 주절거린 때문인지 노랫가락은 아직도 생생하다.
더욱이 오디가 익을 때면 친구들과 어울려 입과 손이 까맣도록 오디를 따먹고는 연신 나오는 방귀를 이 노랫가락에 맞춰 뿜어대면서 '방귀 뽕뽕 뽕나무' 부분을 더 크게 외치며 깔깔거리던 일이 생각나 똥끝이 찌릿하다.

하기사 오디를 많이 먹으면 방귀가 잘 나와 방귀나무란 뜻의 뽕나무가 됐다는 속설은 훨씬 뒤에 알았지만 어쨋거나 어릴적 오디를 많이 먹으면 신기하게도 방귀가 잦았던 건 사실이다.
또 그땐 왜 그렇게 뽕나무에 백랍이 많았던지 뽕밭에 들어가면 하얀 거미줄 같은 분비물이 머리와 옷에 잔뜩 달라붙어 온몸이 끈적거리던 기억이 엊그제 같다.

백랍의 실체 역시 나무 수액을 빨아먹는 일종의 나무이(뽕나무이)란 사실을 안 것도 머리통이 크고 난 뒤이지만 지금도 백랍을 뒤집어썼던 그때 모습을 생각하면 온몸이 스믈거려 움찔해진다.
밭 오디는 이미 다 지고 산 오디만 자잘하게 남은 요즘 웬 뜬금없는 뽕나무 타령인가 하면 지금의 우리나라 현실이 자꾸만 '상구지계(桑龜之戒)의 교훈'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


'옛날 바닷가에 노모를 모시고 사는 어부가 있었다. 어느날 바다에 나가 그물을 거두는데 그날따라 무엇이 잡혔는지 쉽게 딸려오질 않았다. 한참 동안 씨름한 끝에 간신히 그물을 끌어올리니 난생 처음 보는 커다란 거북이였다.
처음엔 두려워 놓아줄까 생각했지만 노쇠한 어머니를 위해 삶아드리는 게 좋겠다 싶어 지게에 지고 집으로 가 솥에다 불을 지폈다. 그러나 어찌된 일인지 불을 아무리 때도 거북이는 삶아지지 않고 살아움직였다.
생각 끝에 놓아주기로 하고 다시 지게에 지고 바다로 가던 중 언덕에서 쉬게 됐다. 하루종일 거북이와 씨름한 탓에 하도 피곤해 잠시 눕는다는 것이 그만 잠이 들고 말았다. 한참을 자는데 뽕나무가 꿈에 나타나 "거북이는 뽕나무로 삶아야 잘 삶아지는데 그것도 모르느냐"며 이내 사라지는 게 아닌가. 정신이 번쩍 든 어부는 마지막으로 뽕나무가 일러준 대로 해보기로 하고 옆에 있던 뽕나무를 베어 집으로 가 거북이를 다시 삶기 시작했다. 그러자 신기하게도 조금전까지 삶아지지 않던 거북이가 흐물흐물 잘도 삶아지는 게 아닌가. 결국 뽕나무 덕에 아들은 효도하고 노모는 거북이를 먹고 원기를 되찾아 오래 살았다'는 이 우화에서 상구지계(桑龜之戒)란 고사성어가 생겨났다.

 
뽕나무가 서로에게 불리한 약점만 일러주지 않았어도 거북이도 살고 자신도 살았을 터인데 그만 그 비밀을 말한 바람에 거북이는 물론 자신도 죽게됐다는 이 우화는 자신의 처지는 망각한 채 상대방의 처지와 약점만 드러낼 경우 결국 둘 다 화를 입게 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오늘날 우리사회는 어떤가.

민생은 절망의 늪을 마냥 헤매는데 양극으로 갈라진 목소리는 연일 상대방 비난에만 열 올리며 밖으로 겉돌고 있다.

사회통합,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할 국회는 있는 둥 마는 둥 제 할 일조차 까마득히 잊고 있고 정부 역시 매번 큰 실망만 안기고 있다.

우리 사회에 상생의 길, 화합의 길은 있기나 한 것인지 도무지 끝간 곳 없이 양끝을 향해 치닫기만 한다.

갈수록 깊어지는 사회의 골을 바라보면서 이러다가 우리 모두 상구지계의 뽕나무와 거북이가 되는 건 아닌지 심히 걱정된다.

"대끼이놈 대나무/화가나도 참나무"

꼭 우리사회를 향해 던지는 화두같아 섬뜩할 따름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