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학회 참석 중인 한국교원대 박시룡 교수, 현지반응 등 긴급 전해와
[충북=아시아뉴스통신] 김성식기자 기사입력 : 2015년 11월 30일 14시 52분
![]() |
지난 7일 전남 군산시 회현면 만경강 해안습지에 이어 24일엔 전남 신안에서 관찰됐다 25일 돌연 일본 오키노에라부 섬으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된 한반도(충남 예산) 방사 황새 K0008(B49). 사진은 만경강 습지에서 촬영한 모습.(사진제공=한국교원대학교 황새생태연구원) |
한반도 남쪽 해안에서 날아올라 무려 1077km를 34시간 동안 쉬지 않고 비행한 끝에 지난 25일 일본 오키노에라부 섬에 상륙한 ‘1년생 한국 황새’가 전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29일 일본 도쿄도미술관 대강당에서 열린 ‘일본 황새야생복귀 10주년 기념 포럼'에 참석차 일본에 머물고 있는 한국교원대학교 황새생태연구원 박시룡 교수(64)는 30일 “이 포럼에 참석중인 전 세계 황새 전문가들이 한국에서 날아든 이 소식에 모두 깜짝 놀랐다”고 전해왔다.
박 교수는 “시속 32km 속도로 쉬지 않고 34시간을 비행한 이 한국산 황새가 만일 일본 오키노에라부섬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기력이 없어 죽었을 것”이라며 일본 현지 학자들도 모두 놀라워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두루미와 기러기들은 원래 장거리 이동 비행을 한다. 하지만 이들 새도 이 황새처럼 34시간을 쉬지 않고 비행하는 법은 없다.
보통 시베리아에서 날아오는 두루미나 기러기들은 한국까지 3000~4000km를 한두 달 걸려 날아온다. 길게 비행해도 한 번에 3~4시간 비행 후 반드시 먹이 활동을 위해 쉰다. 에너지를 비축하기 위해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런 새들은 모두 혼자 날지 않는다. 혼자 날면 어디에 안전한 쉼터와 먹이터가 있는지 정보를 받을 수 없어 결국 낙오돼 죽고 만다. 그래서 이 새들은 장거리 비행의 리더를 통상 어미새 혹은 경험이 많은 나이든 새가 맡고 있다. 특히 이번 B02(개체식별번호)와 같이 올해 태어난 어린 새들은 반드시 부모와 함께 장거리 여행 경험이 있어야 가능하다. 그래서 새들의 장거리 비행은 태어난 첫해 어미로부터 학습하는 것이 조류학의 이론”이라고 부언했다.
박 교수는 “이번 한국 황새 B02의 대한해협 횡단은 세계 조류학사에 ‘불가사의한 일’로 남을 만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일본에서 열리는 황새포럼에서 “지난해 3월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건너와 경남 김해 화포천 늪에서 발견된 암컷 일본 황새 '봉순이(일본 일련번호 J0051)'와는 비교할 수 없다. 봉순이는 200~300km를 여러 섬을 거쳐 2~3일에 날아왔다.
그러나 이번 한국 황새 B02의 비행은 매우 경이로운 사건이다. 이것은 인류가 왜 황새를 복원하고 보호할 가치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일이다”라고 역설했다.
이에 따라 한국교원대 황새생태연구원은 세계조류학회에 이 내용의 논문 투고를 앞당기기로 결정했다.
![]() |
K0008(가락지 번호 B02. 수컷. 2015년생)의 일본 이동 경로.(자료제공=한국교원대학교 황새생태연구원) |
앞서 지난 26일 한국교원대 황새생태연구원은 9월3일 충남 예산황새공원에서 방사한 8개체의 황새 가운데 한 마리가 이달 25일 일본 오키노에라부 섬(오키나와 섬에서 북쪽으로 약 60 km에 위치)에 상륙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방사한 황새들은 2시간마다 현재의 위치를 송신하는 위치추적기를 달고 있어 한국교원대 황새생태연구원과 예산황새공원 연구팀이 이동경로와 서식지 사용 등을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있다.
일본에 상륙한 황새는 전남 신안군 안좌면 구대리에 있던 K0008(가락지 번호 B02. 수컷. 2015년생) 개체로 지난 24일 오전 9시 남쪽 해안에서 이륙해 이튿날인 25일 오후 7시에 일본 오키노에라부 섬에 안착했다.
이 황새는 무려 1077 km 거리를 약 34시간 동안 쉬지 않고 비행했다.
'한반도 황새 복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독.속보)일본 상륙 ‘한국황새’ 연락 끊겨…위치·생사여부 파악 안 돼 (0) | 2019.12.21 |
---|---|
박시룡 교원대 교수, 북한에 황새복원 공동추진 전격 제안 '관심' (0) | 2019.12.21 |
충남 예산에 방사한 ‘한반도 황새’ 일본 첫 상륙 (0) | 2019.12.21 |
한국교원대, 북한ㆍDMZ에도 황새복원 추진 (0) | 2019.12.21 |
한국교원대, 황새아랫마을 조성 사업 본격 나서 (0) | 2019.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