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군, 올 겨울 평균기온 1.9도 상승 '피해 다발' 우려
겨울철 기온 높아 알집 발생빈도 높고 조기 발생 예상돼
"적기 방제 통해 초기 밀도 낮추는 게 가장 급선무" 당부
[충북=아시아뉴스통신] 김성식기자기사입력 : 2017년 02월 24일 14시 09분
![]() |
<충북 영동군농업기술센터가 이번 겨울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갈색날개매미충과 꽃매미 등의 피해가 우려된다며 적기 방제를 적극 당부하고 있다. 사진은 영동군농업기술센터의 월동해충 방제 현장지도 장면.(사진제공=영동군청)> |
이번 겨울 동안 비교적 따뜻한 날씨가 이어진 탓에 농민들만 바빠지게 됐다.
갈색날개매미충과 꽃매미 같은 월동해충의 알집의 발생빈도가 높아진 데다 조기 부화 및 발생이 예상되는 등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농민들은 피해를 적게 하려면 부화 및 발생 초기에 맞춰 적기 방제를 해야 한다.
24일 충북 영동군은 갈색날개매미충과 꽃매미 등 월동해충 피해가 올 농사철 극성을 부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적기 방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영동군농업기술센터(소장 윤주황)에 따르면 올해 겨울철(12월~1월)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1.9도 높은 섭씨 0도로 비교적 따뜻한 기온이 이어지고 있어 이들 월동해충의 알집 발생 빈도가 전년에 비해 늘어났다.
이에 군은 월동해충의 부화 및 발생이 전년과 평년에 비해 빨라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영농교육과 현지출장을 통해 적기 방제의 중요성을 지역 농민들에게 알리고 있다.
봄철 잎눈과 꽃눈이 터질 무렵부터 과원 해충 발생도 서서히 증가하므로 약해의 위험성이 없는 시기에 약제를 살포해야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생육기의 방제 노력도 절감할 수 있다.
군은 온난한 기후로 월동 해충의 출현시기가 앞당겨 질 수 있으므로 방제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현장지도를 강화, 농가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또한 집중 예찰활동을 벌여 충해 방지에 주력하기로 했다.
이정서 작물환경팀장은 “월동 후 해충이 발생하면 급속도로 확산할 수 있으므로 월동 해충의 적기 방제로 초기밀도를 낮추는 것이 생육기 방제를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고 강조했다.
'자연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리산국립공원, 문장대 복원사업 '빛 발하다' (0) | 2019.12.22 |
---|---|
영동군, 불법어업행위 칼 빼들었다…'배터리꾼' 등 3건 고발조치 (0) | 2019.12.22 |
일제강점기 끊긴 '보은 말티재 마루금' 잇다 (0) | 2019.12.22 |
(단독)'여름 진객' 매미가 먹거리로 싹쓸이 당하고 있다 (0) | 2019.12.22 |
(포커스)"청주 유일의 송절동 백로서식지 보존해야" 여론 (0) | 2019.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