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대 황새생태연구원, "일본 측 비협조…우리정부가 나서야“ 주장

[충북=아시아뉴스통신] 김성식기자기사입력 : 2016년 01월 13일 16시 46분

<지난해 11월 일본으로 건너가 그곳 항공기에 부딪혀 죽은 것으로 알려진 '한국방사 황새 K0008'의 국내 생전 모습./아시아뉴스통신DB>

지난해 11월 일본 오키노에라부섬으로 이동했다가 일 항공기에 부딪혀 죽은 것으로 알려진 ‘한국방사 황새(K0008.산황)’의 사망원인이 사고 발생 40여일이 지나도록 밝혀지지 않고 있다.


현재로썬 일본 측의 협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인데 결국 미궁으로 빠질 경우 향후 한반도 황새복원프로젝트 추진에 큰 차질이 우려된다.


13일 한국교원대학교 황새생태연구원은 “지난해 12월20일 주한 일본대사관을 통해 ‘한반도 방사 황새’의 사망원인 조사 요청과 함께 가고시마현 공항항만과에 죽은 황새의 자료를 요청한 바 있다”며 “하지만 일본 측으로부터 아직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이어 “현재까지 일 요미우리신문 마츠다 기자의 사과성 글만 있을 뿐 정확한 사고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향후 우리나라 황새복원 사업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마츠다 기자는 당시 비행기가 오키노에라부섬 공항에 착륙할 때 기류에 의해 황새가 빨려 들어가 부딪혀 죽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현재 충남 예산군 황새방사지 근처 30km 반경에서 미군훈련기 수십대가 매주 정기적으로 저공비행 훈련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연구원은 “현재 미군훈련기의 예당저수지 저공비행은 오키노에라부공항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 오키노에라부공항은 하루에 4편 정도 운항할 정도로 매우 한적한 공항인데 비해 현재 예당저수지 상공 20~30m 높이에서 비행하는 미군전투훈련기들은 속도도 오키노에라부공항 착륙 당시의 비행기 속도보다 수십 배나 빨라 오히려 오키노에라부공항의 비행기보다 충돌 가능성이 훨씬 높다”고 지적했다.


“만일 계획대로 해마다 황새를 예산지역에 방사하게 되면 황새들이 이 군용 훈련기를 미리 피해 멀리 달아나지 않는 이상 충돌 사고는 불가피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그렇게 되면 황새의 사망은 물론 전투기 자체의 피해도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되고 심지어  인명 피해로 이어질 경우 한반도 황새복원사업의 일대전환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측은 “이미 지난해 9월3일 황새 8마리를 방사하기 전에 이 같은 사고를 예상하고 예산군이 충남 해미미군기지에 공문을 보내 훈련장소 변경을 요청한 바 있다. 그러나 그러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미군 측에서는 아직 아무 반응 없이 예당저수지 상공에서 훈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다시 강력한 대책 마련을 요구해야 하는 시점이다”고 했다.


연구원 측은 황새전문가들의 말을 빌어 이번 황새(K0008)의 사망원인이 버드스트라이크(BS)에 의한 것이 아닐 수도 있음을 조심스럽게 내비쳤다.


연구원은 “일부 황새전문가들이 이번 K0008의 죽음이 버드스트라이크로 인한 사망이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일본 오키노에라부공항이 매우 한적한 공항으로 BS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낮은데다 만일 BS로 인해 죽었다면 자신들도 피해자이기 때문에 공항에서 서둘러 흔적을 남기지 않고 사체를 소각처리 할 리 없다”고 주장했다.


연구원은 “결국 이번 K0008의 사망원인은 한국 정부(문화재청)가 나서야만 정확히 밝혀질 수 있다”며 “이는 향후 한반도 황새복원사업 성공과 맥을 함께하는 중대한 사안이다”고 강조했다.


한국교원대 황새생태연구원은 지난해 12월18일 “일본 요미우리 신문 사토시 마츠다(S. Matsuda) 기자로부터 한국 황새가 일본 항공기와 충돌해 죽었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연구원은 당시 마츠다 기자가 오키노에라부공항 직원으로부터 이같은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들었다고 밝혔다.

공항 직원은 마츠다 기자에게 “(지난해) 11월26일 오전 9시25분 오키노에라부 공항을 이륙(가고시마 발) 중인 일본 국내선 항공기 JAC(Japan Air Commuter)기와 황새가 충돌해 죽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항공기는 아무런 충돌 흔적은 없었으나 황새가 활주로 옆 초지에 쓰러져 있었고 사체를 공항 직원이 발견해 곧바로 소각 처리했다.


공항 직원에 따르면 이 새는 커다란 흰 새였으며 날개 끝은 검었고 등엔 발신기가 부착돼 있었다. 또한 다리에는 식별을 위한 가락지(고리)가 있었다고 증언했다.


이로써 마츠다 기자는 이 새가 분명 ‘한국 황새 K0008’로 확신하고 SNS 메시지를 통해 한국교원대 황새생태연구원에 알려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