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과 낙엽

 

가을에서 겨울로 가는 길목, 어딜 가나 단풍이요 낙엽이다. 기온이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늦가을의 대표적 현상이다. 매년 이맘때면 으레 치러지는 대자연의 통과의례이기에, 사람들은 그저 아름답다거나 쓸쓸하다거나 하는 표현쯤으로 넘겨버리기 일쑤이나 실은 오묘한 것이 이들 현상이다.
가을은 모든 생명체에 있어 참으로 바쁜 계절이다. 한평생 한 자리에 머물며 사는 나무들마저 저렇게 온갖 수식어(빛깔)를 동원해 울긋불긋 속내를 내비쳐가면서 계절의 문턱을 숨가쁘게 넘어가고 있잖은가. 비가 내린 뒤의 가을 행보는 더욱 빨라졌다. 마치 중국의 변검(變瞼)을 보는 듯하다. 이 모습인가 싶으면 어느덧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요란하지만 그렇다고 시끄럽진 않다. 정중동이다. 고요 속의 움직임, 그러나 어떤 움직임보다 더 위대하다. 생명유지를 위해 몸 일부를 기꺼이 떨쳐내는 숭고함마저 깃들어 있다. 한편으론 장엄하다.
자연이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모습, 그 과정에 단풍과 낙엽이 있다. 단풍이 그 시작을 알리는 빛깔이라면 낙엽은 움직임으로 나타나는 결과다. 비록 불리는 이름은 하나같이 단풍과 낙엽이지만, 그들은 숱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자연이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모습이 나무마다 제각각 다르다는 얘기다.
그것은 나무들의 정체성과도 관련 있다. 아니 단풍과 낙엽처럼 나무들의 정체성을 확실히 드러내주는 것도 없다. 한여름엔 한결같이 초록빛을 띠고 있다가도 늦가을만 되면 서로 다른 빛깔로 "나 여기 있소"라고 소리치듯 제 존재를 드러내는 것이 단풍과 낙엽이다. 비록 단풍이 들지 않고 낙엽도 별로 떨어뜨리지 않는 상록의 나무들이라 할지라도 그런 모습 자체가 그 나무의 본질이듯이, 낙엽을 떨구는 나무들도 각기 다르게 단풍빛을 띠고 낙엽을 떨치는 자체가 그들의 본질인 것이다.
자연으로 돌아가는 과정이 노란 빛깔인 나무가 있다. 고로쇠나무, 계수나무, 느릅나무, 물푸레나무, 배롱나무, 생강나무, 은행나무, 자작나무, 튤립나무, 피나무, 호두나무 등이다. 마가목, 복자기, 붉나무, 산딸나무, 신나무, 옻나무, 화살나무 등은 붉은 빛으로 한해 가을을 마무리 한다. 우리나라의 터줏대감격인 참나무류는 종에 따라 단풍이 노란 색과 붉은 색 혹은 갈색이 뒤섞인 빛깔을 띠며 느티나무도 노란 빛과 붉은 빛을 띠는 것이 따로 있다.
단풍 중에는 또 어느 색이라고 딱히 표현 못 할 정도로 매우 오묘한 빛을 띠기도 한다. 감나무 중에 어떤 것은 붉은 듯 노랗고 어떤 것은 노란 듯 붉은가 하면 또 어떤 것은 초록빛이 덜 바랜 황갈색 단풍이 드는 경우가 그 예다.
낙엽도 그렇다. 땅을 향해 떨어지는 모습이 비슷해 보이지만 종마다 특징이 있다. 흔히 낙엽송이라 불리는 일본잎갈나무는 자잘한 노란 잎이 가랑비 내리듯 차분히 떨어지고 은행나무 이파리는 이리 빙글 저리 빙글 팔자걸음으로 떨어진다. 낙하하는 속도 또한 다르다. 어떤 것은 쫓기듯 단숨에 곤두박질 치는 게 있는가 하면 어떤 것은 미련이 남아 있는 양 더디게 떨어진다. 소리도 다르다. 가만히 귀 귀울여 보면 어린 애가 까치발 딛듯 사뿐사뿐 내려앉는 것도 있고 후두둑 후두둑 싸락눈 소릴 내는 낙엽도 있다. 어디론가 나뒹굴다가도 결국은 지난 일년의 무게와 두께 만큼 쌓인 채 속절없이 썩어갈 신세이지만 '나는 나'라는 정체성만은 끝까지 잃지 않고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낙엽이다.
'10월의 마지막 밤'이 지나면서 이 가을도 얼마 남지 않았다. 늦은 단풍이건 빛바랜 낙엽이건 그저 보고 밟으며 가을정취를 느껴보는 것도 괜찮을 성 싶다. 사랑하는 가족과 연인끼리라면 더욱 더 좋고.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뛰는 멧돼지, 설설 기는 대책  (0) 2011.12.18
쉬리와 붕어  (0) 2011.12.18
생명과 추억이 사라진 가을들판  (0) 2011.12.18
2011년 가을스케치(직박구리 대란)  (0) 2011.12.18
메뚜기잡이 추억  (0) 2011.1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