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민 스스로 절종 막는 일 앞장서야"

미호종개 바라보는 시각변화 시급
생물종 다양성 보전차원 대책마련

글 사진 김성식 생태 환경전문기자


   
 
     
 

미호종개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 물고기다. 다른 물고기들도 종 특유의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미호종개는 특히 많은 것을 일깨우고 되돌아보게 하는 물고기다.

한반도가 대륙에서 분리되고 한 때 붙어있던 한강과 금강이 각기 떨어져 나가 독립된 수계를 형성한 이후 생겨난 '유일한 금강 고유종'이란 점에서 멀게는 고황하시대 이후 우리나라의 지질 변천사와 하천 형성과정을 되돌아보게 하는 소중한 물고기요, 가깝게는 이 물고기의 존재가 알려진 최근 20여년간의 자연환경 변화를 피부로 느끼게 해주는 대표적인 증표이기 때문이다.

미호종개는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학자들 사이에선 참종개로 알려져 왔을 뿐만 아니라 서식지 주변 사람들에겐 그저 기름챙이의 한 종류로만 인식됐을 뿐이다. 그러던 것이 1984년 '한국산 기름종개속 어류의 1신종 코비티스 초이(Cobitis choii)'로 한국동물학회지에 발표되면서 학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그로부터 21년 뒤인 2005년 2월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급으로 지정한 데 이어 그해 3월엔 문화재청이 천연기념물 454호로 지정하면서 그 존재와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코비티스 초이'는 훗날 '익수키미아 초이'로 개명됨)

하나의 민물고기가 멸종위기종이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예는 금강수계의 미호종개와 낙동강 수계의 꼬치동자개 두 종뿐이다. 그만큼 생물자원 혹은 문화재적 가치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물고기이며, 학술적으로도 그 어느 물고기보다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가치를 뒷받침해주는 것이 바로 이 물고기가 갖는 고유성과 희소성이다. 다시 말해 전세계에서 한반도, 그것도 남한의 금강수계 중 극히 제한된 수역에만 사는 '한국 특산종'이란 점에서 그 고유성이 높게 인정되고 있으며, 서식·분포지가 현재 5∼6곳밖에 되지 않고 개체수도 2만마리를 넘지않는다는 점에서 높은 희소성까지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호종개는 현재 벼랑끝에 내몰린 '지극히 불안한 삶'을 살고 있다.

미호종개가 처음 채집된 미호천 팔결교 지점의 경우 지난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족대질 한 번에 6∼7마리는 쉽게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 지금은 전문가들이 며칠 훑고 다녀도 '얼굴'보기가 여간 어려워진게 아니다. 취재팀은 이번 취재기간 동안(사전 취재기간까지 포함해 총 18개월간) 수십 차례에 걸쳐 국내에서 내로라 하는 전문가들을 동원해 팔결교 지점을 이잡듯 뒤졌지만 겨우 한 마리의 미호종개만 확인했을 뿐이다.

다른 서식지에서는 개체수만 더 확인됐을 뿐 절종으로 치닫는 '위기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취재팀은 매번 현지 조사에 나설 때마다 "이번에는 좀 더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겠지" 하면서 실낱같은 희망을 저버리지 않았다. 그러나 결과는 허탈했다. 아니 허탈했다기 보다는 절망의 연속이었다.

사실 이러한 극한 상황은 10여년 전부터 예견된 것이었다. 미호종개의 첫 발견자이자 신종 발표자의 한 사람인 손영목 박사(전 서원대교수,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회장)는 1990년대 초 인터뷰를 통해 "이대로 가다간 얼마안가 절종위기를 맞을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그로부터 10여년이 지난 오늘, '너무도 정확히' 미호종개는 칠흑같은 어둠속을 헤매면서 절종 직전에 와 있다. "설마" 하던 것이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가는 곳마다 그 곱던 모래사장은 골재채취로 인해 다 없어지고, 흐르는 물은 치사량을 운운할 정도로 날로 악화하고 있으니, 어찌보면 이 같은 결과는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문제는 앞날이다. 미호종개를 절종의 늪으로부터 구해내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것이다.

세계는 이미 생물 종을 확보하기 위한 소리없는 전쟁을 치르고 있다. 생물 종 다양성 보전이 이 시대의 화두가 된 지 오래이며, 생물 종 자체가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는 세상이다. 그런 만큼 미호종개를 바라보는 눈도 이젠 시대흐름을 따라 바뀌어야 하며 또 그것을 지켜내는 일도 생물 종 다양성 보전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

그 첫 걸음은 우리 스스로의 책임감과 의무감으로부터 우러나와야 한다. 지금까지 절종의 나락으로 떨어지게 한 책임이 우리에게 있으며, 그것을 지켜내야할 의무 또한 우리에게 있음을 통감해야 한다.

   
 
     
 


'한국의 자존심 익수키미아 초이' 시리즈를 기획하면서 한 가지 가슴에 담았던 작은 희망은, 미호종개란 작은 생명과 뿌리를 함께 해 온 이 지역 주민들만이라도 미호종개가 처한 현실을 올바로 인식하고 그것을 보호·보전하는 일에 조그만 관심을 보였으면 하는 것이었다. 그러한 바람은 시리즈를 마무리한 지금도 여전히 갖고 있다.

생물자원의 진정한 가치와 소중함을 생명공동체인 지역민 스스로 인식하고 보호·보전하는 일에 동참할 때 그것을 지키는 일은 보다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것이다. 지자체 역시 같은 인식이 필요하다.

다시 강조하건대 지금 이 순간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지역민과 지자체의 관심과 노력이다.

지구상에서 단 한 마리의 표본만, 그것도 우리나라가 아닌 미국 땅에, '전설 속 박제'처럼 남아있는 수원 서호의 서호납줄갱이를 생각하면서 미호종개가 제2의 서호납줄갱이가 되지 않고 대표적인 충청인의 깃대종으로 살아남길 진정으로 기대한다. 충청인의 자존심을 대변하는 미호종개는 곧 한국인의 자존심을 나타내는 중요 생물종이기 때문이다. <끝>

   
 
  산란전
   
 
  산란전  
 
   
 
  산란전  
 
 
 
   
 
  산란  
 
   
 
  산란  
 
   
 
  ▲ 2세포기(50분)  
 
   
 
  ▲ 26근절기(20시간10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