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 잡던 시절의 작은 소망을 생각하며

 

 

나 어릴때 작은 소망은/ 계곡에 숨어있는 개구리 잡아 노랗게 구워서/ 다리는 뚝 떼어 소금찍어 내가 먹고/ 검은 알은 엄마 드리고/ 콧노래를 부르며 노는 것이었다네/ 나 어릴때 작은 소망은/ 진달래 먹고 찔레 꺾어먹으며/ 냇가에 나가 버들피리 꺾어불며/ 가재와 미꾸라지 잡아 고무신에 담고/ 다슬기 잡으며 노는 것이었다네….
강순병시인의 '작은 소망'이란 시의 일부다.

 

그렇다.

1960~70년대만 해도 이 땅의 코흘리개 아이들은 무시로 들과 산 찾아 개구리 잡고 꽃과 열매 따 먹으며 놀았다. 그게 생활이요 삶이었다. 지금이야 먹을거리가 지천하고 놀거리도 많지만 그 때만 해도 자연이 곧 주전부리 창고요 놀이터였다.

우선 봄이 되면 너도나도 산을 찾았다. 칡뿌리 때문이었다. 굵직한 알칡을 토막내 주머니에 잔뜩 넣고는 턱이 얼얼하도록 씹고 다녔다.

개구리잡기도 성행했다. 장순병시인은 계곡에 사는 산개구리 잡아 구워먹는 게 작은 소망이었다고 했지만 그 시절 흔히 잡아먹던 개구리는 논과 개울가에 살던 참개구리였다. 지금은 참개구리든 산개구리든 함부로 잡아먹을 수 없지만 그 땐 물고기잡이처럼 예사로 여겼다.
진달래와 찔레순,삘기(띠의 어린순),아까시꽃,감꽃도 빼놓을 수 없는 추억의 주전부리였다. 또한 꿀맛이 일품인 원추리와 꿀풀, 한번 손 댔다 하면 입주위가 새까맣도록 따먹던 버찌와 오디, 손가락에 가시 찔리는 것도 잊은 채 정신없이 따먹던 산딸기와 멍석딸기, 도토리 익을 무렵이면 누렇게 익어 알이 빠지던 개암, 늦서리 내려야 쭈글쭈글 익던 고욤도 잊지못할 계절의 별미였다.

모내기철이면 으레 써레질하는 논으로 달려가 올미 주워먹고 여름이면 저수지에 들어가 마름 따다 삶아먹는게 일이었다. 또한 동네앞 논둑에선 동무들과 쭈그리고 앉아 껌풀(떡쑥) 뜯어 한입 물고는 "껌이 되라" 주문하며 오물오물 씹던 빛바랜 추억도 있다.
뿐만 아니다. 소나무 속껍질인 송기를 먹는다고 어린 가지 꺾어 겉껍질 벗긴 다음 앞니에 대고 하모니카 불듯 좌우로 빨고 다녔으며 무의 꽃대인 장아리를 먹기 위해 무밭을 기웃거리고 아까시나무 새순을 잘라 입에 물고다니기도 했다.

심지어 이런 일도 있었다. 보리와 밀에 생긴 깜부기병을 무슨 귀한 먹을거리인 양 보는 대로 입에 털어넣고는 볼에 묻은 깜부기가루가 우스워 깔깔대기까지 했다. 또 가을이면 벼메뚜기 말고도 풀무치,방아깨비 잡아 구워먹고 벌집 따다가 애벌레를 볶아먹어도 누구 하나 뭐라 하지 않던 게 그 시절이다.

 

40~50년 전의 일을 알지 못하는 세대들은 웬 뜬금없는 얘기냐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농작물 외에는 웬만한 건 대부분 자연에서 구했던 그 시절엔 늘 먹고 겪었던 실제 상황이다. 세월이 바뀌고 먹을거리,놀거리가 풍부해진 오늘날 굳이 그 옛날의 먹을거리,놀거리로 되돌아가자는 얘기가 아니다. 다만 그 때 그 시절 어린이들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며 그곳에서 먹을거리,놀거리를 스스로 찾아냄으로써 자연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즐겼음을 말하기 위함이다.
돈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고 맛있는 음식과 놀이기구를 즐길 수 있는 요즘 어린이들. 하지만 개구리를 보면 외계동물 만난 것처럼 자지러지고 산에 가면 산딸기를 보고도, 들에 가면 오디를 보고도 무엇인지조차 모르는 그런 어린이들이 허다하기에 결코 남의 일 같지가 않아서 하는 말이다.

 

부모들이여, 요즘의 모광고처럼 학부모만 되려 하지 말고 하루만이라도 진정한 부모가 되어 자녀들과 함께 자연을 찾아보면 어떨까 싶다. 자연처럼 있는 그대로를 깨우쳐주는 것도 없쟎은가. 지금 산야엔 오디,산딸기같은 자연의 메뉴가 그득하다.(2010년 6월 15일)

아까시나무꽃 피는 계절의 단상

 

 

1601년 프랑스에 미국으로부터 블랙 로커스트(Black Locust)란 나무가 들어왔다.

들여온 사람은 Jean Robin과 그의 아들. 그후 100여년이 지나 이 나무는 저명한 식물학자 린네에 의해 로비니아 수도아카시아(Robinia pseudoacacia)란 학명이 붙여졌다. 로빈이 들여온 아카시아 비슷한 나무란 뜻이다. 열대수종 아카시아를 닮았지만 아카시아는 아니다란 의미도 있다.

그후 1875년 오스트리아 비엔나 세계박람회에 참가했던 일본인 쓰다가 수도아카시아 가로수를 보고 종자를 들여온 게 일본의 첫 도입 계기가 됐고 그것이 1878년 한 농업잡지에 니세아카시아란 일본이름과 明石屋樹란 한문이름으로 소개됐다. 일본어로 니세아카시아 즉 가짜아카시아라 부른 것은 종소명인 pseudoacacia를 그대로 번역한 때문이다. 문제는 아카시야노키(明石屋樹)란 일본식 한문명이 우리나라에 소개되면서 아까시나무란 모호한(?) 한국명을 낳고 나아가 아카시아란 그릇된 이름으로 부르는 빌미가 됐다는 점이다.

어쨋거나 아까시나무는 일본보다 16년 늦은 1891년 일본인에 의해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오게 됐는데 그 목적이 조경용이었다. 다름 아닌 사까키란 사람이 중국 상하이에서 묘목을 가져다 인천공원에 심은 것이다. 그뒤 1898년 일본출정철도감부가 인천 월미도에 조림한 것을 비롯해 1940년까지 무려 1억그루 가까이 심어졌다.

해방후에도 아까시나무는 계속 심어져 한때 인공조림수의 10%에 이를 만큼 사방·조림공사가 꾸준히 이뤄져 오다가 산림녹화가 어느 정도 마무리된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공식재가 중단됐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 3번째의 아까시나무 대국이 됐다.

그러나 아까시나무에 대한 국내 인식은 정반대다. 도입된지 100년 넘는 유일한 나무이자 우리나라 조림역사의 산증인인 대표수종이 되레 쓸모없는 나무로 푸대접 받는 신세다. 기껏해야 양봉가들의 밀원수 내지 땔나무 정도로만 인식될 뿐 가구용 고급목재나 건축용 목재, 동물사료용으로 널리 이용하면서 줄곧 식재면적을 넓히고 있는 다른 나라들과는 전혀 딴판이다. 원산지인 미국조차 새로운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우리 다음으로 넓은 식재면적을 갖고 있는 헝가리도 목재수요량의 80%를 아까시나무로 대체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우리나라서 아까시나무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은 데는 2가지 원인이 있다. 하나는 일제 강점기때 들여왔다는 부정적 시각이고 또 하나는 조상묘를 해치는 나쁜 나무란 인식이다. 일본인이 들여온 나무가 조상묘를 파고드는 것도 미워죽겠는데 뽑아도 뽑아도 계속 돋아나니 좋아할 리 만무란 얘기다.
그러나 그게 다가 아니다. 일제때 그들이 자체분석한 보고서를 보면 헝가리의 성공사례를 들어 아까시나무의 긍적적인 면이 부각돼 있다. 재질의 내구성이 좋아 농기구재로 그만이며 토양개량 효과가 있어 산림황폐화를 막는데도 효과적이라고 소개된 것이다. 수탈의 상징인 철도 침목을 만들고 우리 산야를 망치기 위해 들여왔다고 믿는 우리들로서는 한번쯤 곱새겨볼 만한 대목이다.

또 한가지 아쉬움은 민둥아까시나무에 대한 푸대접이다. 우리나라 산림청은 1960년대 세계 최초로 가시없는 민둥아까시나무를 개발하고도 가치를 이해 못해 활용은커녕 방치하고 있었는데 미국서는 이를 다량 번식해 귀중한 사료자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기막힌 일이다. 천안제일고 교정에 쓸쓸히 서있는 민둥아까시나무 원종들을 떠올릴 때마다 아까시나무 대국이면서 아직도 생태교란종 논란만 거듭하고 있는 우리 현실이 부끄러워 손톱밑이 가시 찔린 것처럼 아려온다. 아~까시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