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왕봉 남쪽 봉우리서 '새 발원지' 찾아내
상환암 위 바위동굴서도 제2 발원샘 발견
삼타수(三陀水) 새롭게 해석해야 할 듯

 

속리산 천왕봉은 동으로는 낙동강, 남으로는 금강, 북으로는 남한강 수계를 나누는 삼파수 지역이다.

 

이곳 천왕봉서 물줄기가 세 갈래로 나뉜다는 것은 곧 천왕봉 자락이 낙동강과 금강, 남한강의 발원지 역할을 하고 있다는 말과 같다.

 

실제로도 하늘에서 떨어진 빗방울은 이곳 천왕봉 지역의 마루금을 경계로 각기 세 갈래로 흘러내려 낙동강, 금강, 남한강의 시작점이 되고 있다. 넓은 의미로 보면 이처럼 물흐름이 시작되는 천왕봉 지역의 각 마루금이 세 강의 발원지인 셈이다.

 

그러나 학술적 개념의 발원지는 '하구 또는 합수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샘물 형태의 시작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남한강의 한 지류인 달래강은 남한강과 합쳐지는 충주 탄금대 부근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샘물이 진정한 발원지라 할 수 있다.

 

■발원지 탐사

 

그동안 학계서는 남한강 지류인 달래강 발원지를 속리산 상고암 샘물(약수)로 여겨 왔다. 상고암은 속리산 천왕봉 북쪽 비로봉 아래의 천년고찰로 오래 전부터 극락전 옆 바위틈에서 솟는 석간수 샘물을 식수로 이용해 왔는데 이 샘물이 남한강의 주요 발원지이자 달래강의 발원지로 인식돼 왔다.


하지만  '달래강의 숨결' 취재팀이 1월부터 최근까지 실시한 총 6차례의 탐사결과 달래강의 발원지는 기존 학설과 달리 천왕봉 바로 아래의 봉수대터 샘물이란 사실이 밝혀졌다. 이번 탐사결과 상고암 샘물은 해발 약 940m에 위치한 반면 새로 찾아진 천왕봉 샘물은 해발 약 1,020m에 있어 '하구 또는 합수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샘물 형태의 시작점'이란 발원지 요건을 보다 더 충족시키고 있다.


더욱이 천왕봉 샘물은 과거 봉수대가 있던 곳으로 전해오는 천왕봉 남쪽 봉우리 아래에 있어 봉수꾼들이 식수로 사용하는 등 역사성이 있는 데다 거대한 바위틈서 물이 솟기 때문에 갈수기에도 마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삼각형 모습의 이 샘물은 한 쪽 면의 길이가 1m 이상으로 바위 밑에 있는 샘 치고는 제법 크고 형태도 뚜렷하다. 탐사당시 이 샘물엔 등산객이 갖다놓은 것으로 보이는 낡은 바가지가 놓여있었으나 인근 등산로가 폐쇄된 이후 사용치 않아 샘안에는 낙엽이 많이 가라앉아 있었다.

 

천왕봉과 새로 찾아낸 달래강 발원지
본보 기획취재팀이 전문가들과 동행 탐사한 결과 달래강의 발원지는 기존 학설과는 달리 천왕봉 바로 아래의 봉수대터 샘물이란 사실이 밝혀졌다. 이 샘물이 남한강 합류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샘물이다. 


취재팀이 상환암과 천왕봉을 잇는 등산로변(비로봉 남쪽사면의 바위굴)에서 찾아낸 굿당터 샘물도 상고암 약수보다 높은 곳(약 960m)에 있고 솟는 물의 양 또한 갈수기인데도 작은 도랑을 이룰 만큼 풍부해 이곳이 제2 발원지로서 중요한 수원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동행 탐사한 박경수씨(71·한국자연공원협회 이사)는 "그동안 상고암 샘물이 달래강의 제1 발원지로 알려져 온 것은 상고암 자체가 속리산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고찰인 데다 이곳 샘물이 예부터 맛 좋기로 소문난 유명세 때문일 것"이라며 "하지만 해발 고도로 보나 계곡의 거리로 보나 천왕봉 밑의 봉수대터 샘물을 제1 발원지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역시 동행탐사자인 김기억씨(향토사학자)는 "그동안 학계가 인정해 온 상고암 약수는 탐사결과 제3 발원지 정도로 봐야 옳을 것 같다"며 "여러 요건으로 보아 천왕봉 봉수대터 샘물을 제1 발원지, 그 다음 상환암 위쪽 굿당터 샘물을 제2 발원지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또 "솟아나는 물의 양으로 보면 상환암 위쪽 굿당터 샘물이 달래강의 주요 수원으로서 가장 뚜렷한 시작점"이라고 말했다.

 

제2 발원지 '굿당터 샘물'
역시 이번에 새롭게 찾아진 상환암 위 굿당터 샘물은 상고암 약수보다 높은 곳에 있고 솟는 물 또한 풍부해 제2 발원지로서 중요한 수원 역할을 하고 있다. 탐사 당시 4월 중순인 데도 동굴내에 얼음이 남아 있다.

 

■발원지와 삼타수(三陀水)의 관계


취재팀은 발원지를 탐사하는 동안 속리산내 주민들로부터 "속리산에는 예부터 삼타(三陀) 약수가 있었다"는 중요한 정보를 얻었다. 이는 옛 문헌에 나오는 속리산 삼타수가 지금까지의 해석과는 다른 의미일 수도 있다는 최초의 귀중한 정보다. 다만 삼타 약수가 정확히 어떤 약수를 지칭하는 지에 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아 아쉬울 뿐이다.


우원명 속리산관광협의회장(61)은 "예전 어른들로부터 천왕봉 남쪽 봉우리의 샘물(취재팀이 찾아낸 샘물과 동일)을 상탕(上湯), 팔각정 위쪽 돼지바위 부근의 샘물을 중탕(中湯), 남산 정상부의 샘물을 하탕(下湯)이라 하여 삼타 약수로 부르는 것을 들었다"고 증언했다. 이에 반해 박경수씨(한국자연공원협회 이사)는 "소천왕봉 약수와 경업대 약수, 남산 약수를 속리산 3대 약수 혹은 삼타 약수로 부른다"고 말했다.


어쨋거나 이들 증언은 용재총화의 속리산 삼타수를 정확히 이해하는데 귀중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즉, 조선 중종때 성현이 지은 용재총화 권3에 '기우자 이행이란 사람이 물맛을 잘 구별할 줄 알았는데 그는 충주의 달천수를 제일로 삼고 한강의 우중수(牛重水)를 두번째로, 속리산의 삼타수(三陀水)를 세번째로 꼽았다"는 대목이 보이는데, 과연 이것이 오늘날 학계의 해석처럼 '물길을 세 갈래로 나눈다'는 뜻의 삼파수(三波水·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던져준다.


왜냐면 그렇게 풀이할 경우 삼타수의 범주에 속리산서 각기 갈라져 내리는 달래강물과 낙동강물, 금강물이 모두 포함돼 그 중 어느 물을 지칭하는지가 더욱 불분명해질 뿐 아니라, 기우자 이행이 과연 이들 세 강물을 구분하지 않고 한 물줄기로 보아 다른 강과 물맛을 비교했을까도 의문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리산 삼타수는 주민들의 증언처럼 속리산 내의 세 곳 약수를 지칭하든지, 아니면 세 강의 발원이 되는 샘물 중 어느 하나일 가능성이 크다. 특히 이행이 비교한 세 곳의 물이 모두 '한강수계'란 점을 감안하면 남한강 지류인 달래강의 발원지내 샘물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삼타수의 타(陀) 자가 흔히 불교서 사용하는 용어란 점에서 옛날 속리산에 있던 어느 세 곳 사찰의 약수를 지칭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더욱이 달래강 발원지로 알려져 온 상고암 약수는 지금도 전국적으로 물맛 좋기로 이름난 데다 샘물 왼쪽 바위에 팔공덕수(八功德水)란 글귀가 새겨있어 이것이 중국의 차(茶) 고전인 서역기의 '팔덕(八德-좋은 물의 기준인 여덟가지 덕, 즉 가볍고 맑고 차고 부드럽고 맛있고 냄새없고 마시기에 알맞고 탈이 없어야 한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나아가 삼타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관해서도 전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기존 발원지 상고암 약수
달래강 발원지로서 그동안 학계가 인정해 온 상고암 약수는 바위에 새겨진 '팔공덕수' 글귀처럼 특유의 단맛과 부드러운 맛을 지니고 있어 중국 문헌의 팔덕(八德) 및 용재총화의 삼타수(三陀水)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고암 주지 성중스님이 약수의 유래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3> 속리산 삼파수는 천왕봉이다
------달래강의 숨결
 
   
 
   
속리산의 마루금 문장대서 천왕봉 직전까지 이어지는 속리산 연봉들은 모두 낙동강 수계와 남한강 수계를 나누는 '이파수(二波水)' 마루금(분수계)이다. 사진에서 보아 천왕봉 직전까지의 각 봉우리를 잇는 마루금 뒷편(동쪽 사면)으로 떨어지는 빗방울은 낙동강 줄기가 되고 앞쪽 사면(법주사 방면)으로 떨어지는 빗방울은 남한강 줄기가 된다. 비로봉 전망대서 파노라마 기법으로 촬영한 사진이기 때문에 각 봉우리의 높이는 실제와 다르게 보인다.

남한강·낙동강·금강 나누는 국내 물뿌리의 '으뜸'

속리산을 삼타수(三陀水) 혹은 삼파수(三波水)라 한다. 조선 중종 20년(1525년)에 간행된 용재총화에는 삼타수, 5년 뒤인 중종 25년(1530년)에 나온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삼파수로 기록돼 있다.

이들 문헌의 삼타수 혹은 삼파수가 정확히 어떤 물을 일컫는 지에 대해서는 설명돼 있지 않아 알 길이 없으나 현대학자들은 대체적으로 '세 갈래로 흘러내리는 물'로 해석하고 있다.

그렇다면 세 갈래로 흘러내리는 물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천왕봉의 삼파수비 천왕봉 정상에 서있는 비석에는 삼타수 대신 삼파수로 적혀있다

이는 곧 물줄기가 세 갈래로 나뉘어진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으니, 바로 남한강과 낙동강, 금강이 이곳서 갈려져 나간다는 것을 뜻하리라.

물줄기를 나눈다는 것은 한편으론 물줄기가 시작된다는 의미와 같다.

따라서 속리산은 산 정상으로 떨어진 빗방울을 남한강과 낙동강, 금강 등 세 갈래의 물줄기로 나누는 동시에 이들 세 강의 발원지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한 말로 해석된다.

그러면 삼파수(혹은 삼타수, 이하 편의상 삼파수로 칭함)의 정확한 지점은 어디일까. 옛 문헌은 문장대(해발 1054m)를 꼽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속리산 문장대의 물은 세 갈래로 나뉘어 반공(半空)으로 떨어지는데 한 줄기는 동쪽으로 흘러 낙동강이 되고 한 줄기는 남쪽으로 흘러 금강이 되며 또 한 줄기는 서쪽으로 흘러 달천이 됐다가 금천, 즉 남한강으로 들어간다'고 적혀 있다. 다른 문헌들도 비슷한 기록을 남기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들 기록은 사실과 다르다. 다시 말해 삼파수 지역은 천왕봉(해발 1057.7m) 산자락이다. 문장대 산자락은 단지 한강과 낙동강 등 두 갈래의 물줄기만 나눌 뿐이다.

따라서 문장대 산자락은 엄격히 말해 이파수(二波水)다. 문장대 외에도 청법대,신선대,입석대,비로봉 등 문장대서 천왕봉 직전까지 이어지는 속리산 연봉들은 모두 낙동강과 남한강만을 나누는 이파수의 분수계다.

그러나 요즘에 와서는 문장대 산자락의 이파수 기능마저도 부정하려는 경향이 있다.

우리 나라 땅 이름에 밝은 이형석씨는 한국의 산하란 책에서 '문장대 물은 동서남북 모두 법주사로 흘러 달래강(남한강)이 된다'고 적시하고 있다.

허나 이 주장은 문장대 자체, 정확히 말하면 현재 큰 바위로 이뤄진 문장대 정상만을 놓고 본 견해로서, 실제 취재팀이 답사한 바로는 문장대가 솟아있는 산 능선 자체는 분명 낙동강과 남한강을 나누고 있다.

다시 강조 하건대 속리산의 삼파수 지역은 유일하게 천왕봉이다. 즉, 동쪽으로는 낙동강을, 서쪽으로는 남한강을, 남쪽으로는 금강을 발원한다.

학자들은 본래 낙동강과 남한강, 금강은 하나의 물줄기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던 것이 천왕봉을 비롯한 속리산 연봉들이 지각변동으로 새롭게 생겨나면서 서로 분리돼 다른 물줄기가 됐다는 것이다.

이를 입증하는 것이 약 20년전에 밝혀진 '종개의 분포'다.

과거에는 종개라는 물고기가 한강과 금강 이북에서만 발견되는 '북방계 어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지난 1990년도에 있었던 속리산종합학술조사에서 돌연 남방계 수계인 속리산 동쪽 낙동강 최상류에서도 이 물고기가 채집됨으로써 지각변동 이전에는 이들 세 물줄기가 서로 연결돼 있었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우리 나라에 물줄기를 나누는 분수령(分水嶺) 혹은 분수계(分水界)는 많지만 삼파수로 불리는 곳은 오로지 속리산(천왕봉) 뿐이다.

이는 바로 이 지역이 우리 민족에게 생명의 젖줄을 제공하는 가장 '으뜸의 물뿌리'임을 의미한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천왕봉의 이름을 얼마전까지 부르던 천황봉으로 되살려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천황'이란 의미를 굳이 일제의 잔재로만 볼 게 아니라 삼파수의 중요성에 더 무게를 둬야 한다는 것이다.

물의 뿌리, 즉 강의 발원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선 물줄기가 시작되는 물의 시원(始源)이자 물이 흐름을 일으키는 머리(물머리)란 점에서 여느 지역 이상의 숭고한 의미를 지닌다.

강의 시작은 인류 역사의 시작이자 문화의 시작이란 말이 있다. 역사는 강의 흐름과 더불어 이어져 왔고 문화의 태동과 발전도 강과 함께 해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세 강줄기의 뿌리인 속리산 삼파수는 한반도 중부권 역사를 태동시키고 문화를 발전시킨 모태라 할 수 있다.

생명의 젖줄이자 역사의 터전인 강, 또 그 강의 뿌리를 세 개씩이나 보듬고 있는 속리산 천왕봉. 그 삼파수 지역을 잘 지켜나가고 그가 갖는 중요성을 다시금 되새기는 일도 우리 역사, 우리의 뿌리를 올바로 알고 지켜나가는 하나의 중요한 방편일 것이다.

   

 

천왕봉서 바라본 낙동강 수계와 금강 수계

속리산 최고봉인 천왕봉에 오르면 삼파수의 물줄기가 한 눈에 들어온다. 사진 정 중앙으로 길게 뻗은 마루금(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왼쪽(장각계곡)으로는 낙동강 수계를, 오른쪽(대목골, 만수계곡)으로는 금강 수계를 이룬다. 맨 오른쪽 저수지가 보은 삼가저수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