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군서 방사한 황새 '행운'이 지난달 31일 미호천으로 이동
황새생태연구원 측의 현장 조사에서는 확인하지 못해 '아쉬움'
황새생태연구원 측의 현장 조사에서는 확인하지 못해 '아쉬움'
![]() |
<충남 예산황새바을에서 방사한 A09의 이동 경로(3월31일~4월 1일)(사진제공=한국교원대학교)> |
충남 예산군 예산황새마을에서 방사한 황새 한 마리가 처음으로 '한반도 황새복원 프로젝트의 메카' 충북 청주를 찾아 관계자들이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총장 류희찬) 황새생태연구원은 연구원이 위탁관리하고 있는 충남 예산황새마을에서 지난 2015년부터 40여마리의 황새를 방사했으며 이 가운데 한 마리가 지난달 31일 전북 새만금 지역에서 금강 수계인 청주 미호천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이 황새는 지난 2017년 9월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에서 방사한 2016년생 암컷 A09(행운)이다.
![]() |
<전남 해남에서 촬영된 황새 A09의 모습.(사진제공=오영상씨)> |
연구원 측은 1일 오전 7시 미호천 내 모래섬에서 A09가 머문 것을 GPS발신기의 송신정보로 확인했으나 현장조사(황새생태연구원 정진문 박사)에서는 모습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충북 청주는 황새복원의 태동지인 한국교원대학교가 위치한 곳으로 지난 2014년 예산군에 황새 60마리를 기증한 후 방사된 황새가 청주시에 도래한 것은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다.
![]() |
<전남 해남에서 촬영된 황새 A09의 모습.(사진제공=한해광씨)> |
한국교원대 황새생태연구원 남영숙 원장은 “군산 새만금 지역에서 생활하던 황새가 청주 미호천을 방문한 것은 번식시기를 맞아 내륙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에 도래한 지역은 미호천 수변과 넓은 농경지가 어우러져 있어 황새가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조건”이라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황새의 서식가능지역을 현장모니터링과 GIS 모델링으로 평가해 황새의 추가 방사거점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한반도 황새 복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교원대 청람황새공원, (가칭)황새생태과학관으로 거듭난다 (0) | 2019.12.22 |
---|---|
'황새복원 메카' 청주 한국교원대에 '예산 방사 황새' 찾아와 (0) | 2019.12.22 |
국제적 멸종위기종 '황새' 44마리 국내서 '활동 중' (0) | 2019.12.22 |
한국교원대 추진 황새복원 프로젝트 ‘좋은 결실’ (0) | 2019.12.22 |
세계적 희귀조 '황새', 1월 현재 남한에 21마리 관찰 (0) | 2019.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