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의 똥 이야기(2)
똥 이야기는 사실 대놓고 하기엔 좀 그런 부분이 있다.
똥 자체가 야생동물의 것이든 사람의 것이든 그리 썩 내키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냄새도 그렇거니와 이미지 또한 더러운 것의 대명사로서 뇌리 깊숙이 각인돼 있는 까닭에 "똥" 하면 벌써 얼굴부터 찡그리기 일쑤다.
그러나 어쩌랴. 야생동물 얘기를 하자니 똥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고 그렇다고 똥 대신 다른 말을 쓰자니 딱히 대체할 말도 없으니 그저 똥이라고 할 수밖에.
혹자는 "배설물이란 점잖은 말이 있는데…"라고 할 지 모른다. 하나 그건 몰라서 하는 얘기다.
배설물이란 생물체가 신진대사를 통해 몸밖으로 배설하는 물질, 즉 똥과 오줌, 땀 따위를 총칭한다.
그러니 어찌 똥 이야기를 하는데 오줌과 땀 등을 총칭하는 말을 쓰겠는가.
"그러면 변(便)도 있고 분(糞)도 있는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변과 분은 사람에게나 어울리는 말이지 야생동물에겐 잘 어울리지 않는 말이다.
야생동물의 변? 야생동물의 분? 더 이상하지 않은가.
뜻 자체도 변은 똥과 오줌을 의미하기 때문에 앞서 말한 배설물에 가깝다.
분 역시 똥을 뜻하긴 하나 본래 의미(米+異 = 쌀의 다른 모양 즉 쌀이 변해서 된 것)로 볼 때 야생동물보단 사람에게 더 잘 어울리는 말이다.
축분이란 말이 있긴 하나 여기서의 축은 가축이다.
또 공룡의 똥화석을 굳이 분(糞)화석이라 부르는 사람이 있는데 그게 맞는지는 독자 판단에 맡긴다.
어쨋거나 똥은 똥이고 똥처럼 정직한 것도 없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똥은 먹은 그대로의 표출이다.
이와 관련해 재미있는 어원 풀이가 있다. 한 전문의사가 펴낸 책에 "똥의 어원은 동(銅)이 아닐까"라는 기발한 내용이다.
그는 "옛날엔 동(銅)이 거울로 사용됐다. 구리 거울을 닦고 문질러 헝클어진 머리카락과 옷매무새를 다듬었다. 마찬가지로 똥은 우리 몸 속을 비춘다. 대장암이나 염증성 장질환 같은 것들을 똥으로 살필 수 있다"며 "몸 속을 비추는 거울 같은 똥을 동(銅)과 비슷한 발음인 똥으로 부르기 시작한 건 아닐까"라고 풀이했다.
똥은 먹은 대로 눈다. 야생동물 또한 그렇다.
풀을 먹으면 풀 먹은 똥을, 짐승을 잡아먹으면 짐승 잡아먹은 똥을 눈다.
심마니들이 자주 쓰는 말 중에 천종(天種)이니 지종(地種)이니 하는 말이 있다. 천종은 말 그대로 하늘에서 씨앗이 떨어져 난 산삼을 뜻하고 지종은 땅에서 나고 자란 산삼을 말한다.
이 천종과 지종이란 말 속엔 야생동물의 역할, 특히 야생동물의 똥이 자연에게 베푸는 심오한 기능이 함축돼 있다.
천종 산삼은 야생동물 중 하늘을 나는 새를 통해, 지종 산삼은 네발 가진 들짐승을 통해 씨앗의 발아과정을 거친다.
삼 씨앗은 껍질이 워낙 두껍고 단단해 그냥 땅에 떨어지면 여간해 발아하지 않지만, 이를 새와 들짐승이 먹으면 장내 소화과정을 거치는 동안 껍질이 위액에 어느 정도 녹아 잘 발아할 수 있는 상태가 돼 똥으로 배출된다.
똥은 정직하기에 삼딸(열매)을 먹은 새와 동물들은 반드시 어딘가엔 삼씨가 든 똥을 누기 마련이고, 그렇게 되면 그 똥에서 삼씨가 발아해 천종과 지종이 되는 것이다.
이때 삼 씨앗이 똥에서 분리되면 어떻게 될까. 발아율에 변화가 온다. 이미 소화과정을 거치면서 껍질이 깎인 상태이기 때문에 씨앗이 똥 속에 들어있건 똥과 분리되건 발아율에 차이가 날까 하겠지만 그게 아니다.
큰 차이를 보인다. 똥 속에 든 상태에서 발아할 때가 훨씬 더 높다. 그러기에 씨앗과 똥이 분리되기 쉬운 새 똥에서 난 천종이 더 귀하게 여겨지는 것이다.
똥이 그냥 똥이 아니란 사실은 여기서도 입증된다.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전히 황소바람 가득한 우리 농촌 (0) | 2012.01.13 |
---|---|
용이 여의주를 얻는 한 해가 되길 (0) | 2012.01.13 |
야생동물의 똥 이야기(1) (0) | 2011.12.18 |
첫눈과 마지막눈 (0) | 2011.12.18 |
고라니의 통곡 (0) | 201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