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낚시와 요즘 낚시

 

옛 사람들은 낚시를 어떻게 했을까. 우선 낚싯줄은 무엇으로 만들었을까 궁금하다. 18세기 후반 조선 학계에 영향을 끼친 일본의 화한삼재도회에는 "참외덩굴을 햇볕에 말리면 철선처럼 질겨서 끊기 어려우므로 낚싯줄로 쓰는데 어가(漁家)에서 가장 귀히 여긴다"고 기록돼 있다. 화한삼재도회가 중국의 삼재도회를 본떠 지은 것이기에 당시 일본산이었건 중국산이었건 오늘날의 참외덩굴과 얼마만큼 달랐을지는 몰라도 그것을 낚싯줄로 썼다는 게 쉽게 이해되질 않는다. 아마도 참외덩굴의 섬유질 부분을 실처럼 꼬아 사용한 게 아닌가 싶다.
또 같은 책에는 중국 광동서 생산되는 천잠사(天蠶絲)를 낚싯줄로 썼다는 기록도 보인다. 천잠사는 산누에고치에서 뽑은 명주실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가 쓴 난호어목지에는 삼이나 칡 껍질로 만든 실을 이용해 오늘날에는 사라진 오리낚시(鴨釣)를 했다고 소개돼 있다.
다음엔 찌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화한삼재도회에는 "갈대 혹은 기장 줄기를 1~2촌 정도 잘라 썼다"고 전하며 중국에서는 새깃털을 썼다는 기록이 보인다. 조선 후기 문신 남구만은 시문집 약천집에서 "낚시할 때 무릇 낚싯줄에 삼대(짚대공이란 설도 있음)를 매다는 이유는 그것이 뜨고 가라앉는 것을 보고 물고기가 먹이를 삼키거나 뱉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라고 썼다. 남구만은 또 "그것이 움직이기만 하고 잠기지 않은 것은 물고기가 미끼를 완전히 삼키지 않은 것이어서 이 때 당기면 너무 빠른 것이고 삼켰다 다시 토하는 것을 천천히 당기면 이미 늦은 것이다. 그러므로 잠길락 말락할 때 당기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낚싯바늘. 서유구는 전어지에서 "낚시는 쇠갈고리를 달아서 물고기를 잡는 도구로서, 쇠갈고리 즉 낚싯바늘(鉤:구)에는 거꾸로 된 가시(미늘 혹은 구거:鉤距)를 만들어 쓴다"고 설명하고, 난호어목지에서는 "무쇠 혹은 바늘을 두드려 낚싯바늘을 만든다"고 설명한 것으로 보아 당시의 낚싯바늘은 가는 철과 바늘을 갈고리처럼 구부린 다음 닭의 뒷 발톱(距)처럼 생긴 미늘을 만들어 썼던 것으로 생각된다.
미끼는 무엇을 썼을까. 서유구는 난호어목지에 먹이를 던져 물고기 모으는 방법(投餌聚魚法)을 소개하면서 "깻묵과 술지게미는 모두 냄새를 많이 풍기는 물고기 미끼이다. 깻묵과 술지게미를 두 손으로 두드려 덩어리를 만들고 황토진흙으로 얇게 싸서 햇볕에 말린 다음 배를 타고 물고기가 노는 곳에 던져 넣는다. 그러면 물고기들이 냄새를 맡고 모여든다. 그런 뒤에 그 곳에 낚싯대를 드리우면 만에 하나라도 실수하는 법이 없다."고 썼다.
서유구는 또 같은 책에서 오늘날의 여울낚시격인 유조법(流釣法)을 소개하면서 "지렁이나 물가 돌밑의 청충(靑蟲:수서곤충의 유충)을 미끼로 써서 얕은 여울에 낚시를 던져 넣고는 연 날리듯 줄을 풀거나 당기면 물고기가 잡힌다"고 설명했다.
낚시에 관한 옛기록을 살피다 보면 오늘날의 주낚처럼 예전에도 일타백피식 싹쓸이 낚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난호어목지에 소개된 만등조법(萬燈釣法)이 그것이다. 기다란 낚싯줄에 수백 개의 바늘을 매달고 미끼를 꽂아 바다나 포구같은 곳에 가로질러 놓았다가 이튿날 아침 거두는 방식이다. 걸려든 물고기 모습이 만등을 달아 놓은 것 같다고 해서 이름 붙여졌단다.
강태공이 봤다면 혀를 찰 일이지만 기록으로 남겨질 만큼 성행했던 것으로 보아 예전 사람들도 물고기를 많이 잡고 싶은 욕심은 요즘 사람 못지 않았나 보다.
모든 낚시도구가 현대화된 오늘날 국내 낚시계에는 잡는 것보다 풀어주는 게 미덕이라는 바람이 불고 있다. 모처럼만에 부는 멋진 바람이다.

'뱁새의 생태풍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뎅아 풍뎅아 빙빙 돌아라!  (0) 2011.12.18
매미 소리  (0) 2011.12.18
서유구의 한과 실학정신  (0) 2011.12.18
미호종개의 처량한 신세  (0) 2011.07.25
자연이 자연에게 무시당하는 시대  (0) 2011.07.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