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왕봉 남쪽 봉우리서 '새 발원지' 찾아내
상환암 위 바위동굴서도 제2 발원샘 발견
삼타수(三陀水) 새롭게 해석해야 할 듯

 

속리산 천왕봉은 동으로는 낙동강, 남으로는 금강, 북으로는 남한강 수계를 나누는 삼파수 지역이다.

 

이곳 천왕봉서 물줄기가 세 갈래로 나뉜다는 것은 곧 천왕봉 자락이 낙동강과 금강, 남한강의 발원지 역할을 하고 있다는 말과 같다.

 

실제로도 하늘에서 떨어진 빗방울은 이곳 천왕봉 지역의 마루금을 경계로 각기 세 갈래로 흘러내려 낙동강, 금강, 남한강의 시작점이 되고 있다. 넓은 의미로 보면 이처럼 물흐름이 시작되는 천왕봉 지역의 각 마루금이 세 강의 발원지인 셈이다.

 

그러나 학술적 개념의 발원지는 '하구 또는 합수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샘물 형태의 시작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남한강의 한 지류인 달래강은 남한강과 합쳐지는 충주 탄금대 부근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샘물이 진정한 발원지라 할 수 있다.

 

■발원지 탐사

 

그동안 학계서는 남한강 지류인 달래강 발원지를 속리산 상고암 샘물(약수)로 여겨 왔다. 상고암은 속리산 천왕봉 북쪽 비로봉 아래의 천년고찰로 오래 전부터 극락전 옆 바위틈에서 솟는 석간수 샘물을 식수로 이용해 왔는데 이 샘물이 남한강의 주요 발원지이자 달래강의 발원지로 인식돼 왔다.


하지만  '달래강의 숨결' 취재팀이 1월부터 최근까지 실시한 총 6차례의 탐사결과 달래강의 발원지는 기존 학설과 달리 천왕봉 바로 아래의 봉수대터 샘물이란 사실이 밝혀졌다. 이번 탐사결과 상고암 샘물은 해발 약 940m에 위치한 반면 새로 찾아진 천왕봉 샘물은 해발 약 1,020m에 있어 '하구 또는 합수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샘물 형태의 시작점'이란 발원지 요건을 보다 더 충족시키고 있다.


더욱이 천왕봉 샘물은 과거 봉수대가 있던 곳으로 전해오는 천왕봉 남쪽 봉우리 아래에 있어 봉수꾼들이 식수로 사용하는 등 역사성이 있는 데다 거대한 바위틈서 물이 솟기 때문에 갈수기에도 마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삼각형 모습의 이 샘물은 한 쪽 면의 길이가 1m 이상으로 바위 밑에 있는 샘 치고는 제법 크고 형태도 뚜렷하다. 탐사당시 이 샘물엔 등산객이 갖다놓은 것으로 보이는 낡은 바가지가 놓여있었으나 인근 등산로가 폐쇄된 이후 사용치 않아 샘안에는 낙엽이 많이 가라앉아 있었다.

 

천왕봉과 새로 찾아낸 달래강 발원지
본보 기획취재팀이 전문가들과 동행 탐사한 결과 달래강의 발원지는 기존 학설과는 달리 천왕봉 바로 아래의 봉수대터 샘물이란 사실이 밝혀졌다. 이 샘물이 남한강 합류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샘물이다. 


취재팀이 상환암과 천왕봉을 잇는 등산로변(비로봉 남쪽사면의 바위굴)에서 찾아낸 굿당터 샘물도 상고암 약수보다 높은 곳(약 960m)에 있고 솟는 물의 양 또한 갈수기인데도 작은 도랑을 이룰 만큼 풍부해 이곳이 제2 발원지로서 중요한 수원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동행 탐사한 박경수씨(71·한국자연공원협회 이사)는 "그동안 상고암 샘물이 달래강의 제1 발원지로 알려져 온 것은 상고암 자체가 속리산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고찰인 데다 이곳 샘물이 예부터 맛 좋기로 소문난 유명세 때문일 것"이라며 "하지만 해발 고도로 보나 계곡의 거리로 보나 천왕봉 밑의 봉수대터 샘물을 제1 발원지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역시 동행탐사자인 김기억씨(향토사학자)는 "그동안 학계가 인정해 온 상고암 약수는 탐사결과 제3 발원지 정도로 봐야 옳을 것 같다"며 "여러 요건으로 보아 천왕봉 봉수대터 샘물을 제1 발원지, 그 다음 상환암 위쪽 굿당터 샘물을 제2 발원지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또 "솟아나는 물의 양으로 보면 상환암 위쪽 굿당터 샘물이 달래강의 주요 수원으로서 가장 뚜렷한 시작점"이라고 말했다.

 

제2 발원지 '굿당터 샘물'
역시 이번에 새롭게 찾아진 상환암 위 굿당터 샘물은 상고암 약수보다 높은 곳에 있고 솟는 물 또한 풍부해 제2 발원지로서 중요한 수원 역할을 하고 있다. 탐사 당시 4월 중순인 데도 동굴내에 얼음이 남아 있다.

 

■발원지와 삼타수(三陀水)의 관계


취재팀은 발원지를 탐사하는 동안 속리산내 주민들로부터 "속리산에는 예부터 삼타(三陀) 약수가 있었다"는 중요한 정보를 얻었다. 이는 옛 문헌에 나오는 속리산 삼타수가 지금까지의 해석과는 다른 의미일 수도 있다는 최초의 귀중한 정보다. 다만 삼타 약수가 정확히 어떤 약수를 지칭하는 지에 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아 아쉬울 뿐이다.


우원명 속리산관광협의회장(61)은 "예전 어른들로부터 천왕봉 남쪽 봉우리의 샘물(취재팀이 찾아낸 샘물과 동일)을 상탕(上湯), 팔각정 위쪽 돼지바위 부근의 샘물을 중탕(中湯), 남산 정상부의 샘물을 하탕(下湯)이라 하여 삼타 약수로 부르는 것을 들었다"고 증언했다. 이에 반해 박경수씨(한국자연공원협회 이사)는 "소천왕봉 약수와 경업대 약수, 남산 약수를 속리산 3대 약수 혹은 삼타 약수로 부른다"고 말했다.


어쨋거나 이들 증언은 용재총화의 속리산 삼타수를 정확히 이해하는데 귀중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즉, 조선 중종때 성현이 지은 용재총화 권3에 '기우자 이행이란 사람이 물맛을 잘 구별할 줄 알았는데 그는 충주의 달천수를 제일로 삼고 한강의 우중수(牛重水)를 두번째로, 속리산의 삼타수(三陀水)를 세번째로 꼽았다"는 대목이 보이는데, 과연 이것이 오늘날 학계의 해석처럼 '물길을 세 갈래로 나눈다'는 뜻의 삼파수(三波水·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던져준다.


왜냐면 그렇게 풀이할 경우 삼타수의 범주에 속리산서 각기 갈라져 내리는 달래강물과 낙동강물, 금강물이 모두 포함돼 그 중 어느 물을 지칭하는지가 더욱 불분명해질 뿐 아니라, 기우자 이행이 과연 이들 세 강물을 구분하지 않고 한 물줄기로 보아 다른 강과 물맛을 비교했을까도 의문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리산 삼타수는 주민들의 증언처럼 속리산 내의 세 곳 약수를 지칭하든지, 아니면 세 강의 발원이 되는 샘물 중 어느 하나일 가능성이 크다. 특히 이행이 비교한 세 곳의 물이 모두 '한강수계'란 점을 감안하면 남한강 지류인 달래강의 발원지내 샘물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삼타수의 타(陀) 자가 흔히 불교서 사용하는 용어란 점에서 옛날 속리산에 있던 어느 세 곳 사찰의 약수를 지칭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더욱이 달래강 발원지로 알려져 온 상고암 약수는 지금도 전국적으로 물맛 좋기로 이름난 데다 샘물 왼쪽 바위에 팔공덕수(八功德水)란 글귀가 새겨있어 이것이 중국의 차(茶) 고전인 서역기의 '팔덕(八德-좋은 물의 기준인 여덟가지 덕, 즉 가볍고 맑고 차고 부드럽고 맛있고 냄새없고 마시기에 알맞고 탈이 없어야 한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나아가 삼타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관해서도 전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기존 발원지 상고암 약수
달래강 발원지로서 그동안 학계가 인정해 온 상고암 약수는 바위에 새겨진 '팔공덕수' 글귀처럼 특유의 단맛과 부드러운 맛을 지니고 있어 중국 문헌의 팔덕(八德) 및 용재총화의 삼타수(三陀水)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고암 주지 성중스님이 약수의 유래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도도한 물흐름 달래강
  달래강 3백리 물길은 유독 계곡이 많아선지 더욱더 도도히 흐른다. 그 도도한 물흐름은 이 고장 특유의 문화와 전통을 탄생시킨 '역사의 터전'이자 주민들의 삶과 생을 이어준 '생명의 요람'이다. 125km 물굽이에 대한 심층 탐사를 통해 달래강의 어제와 오늘을 재조명하고 참다운 가치를 발굴해냄으로써 내일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대장정을 시작한다.(사진은 옥화5경인 금봉서 바라본 달래강 전경)  
 
숱한 설화와 사연 안고 도도한 물흐름

심층탐사 통해 참 가치 발굴 비전 제시

역사·생태·문화·개발·보전방안 재조명



◇ 삶의 젖줄, 역사의 터전

   
 
   
 
예부터 물맛이 달다하여 단내(달래,甘川) 혹은 수달이 많이 산다해서 수달내(달천,獺川), 덕을 입은 강이라하여 덕천(德川)으로 불리던 달래강. 속리산 천왕봉에서 물머리를 시작해 충주 탄금대 부근서 남한강과 하나 되기까지 총연장 125km를 남에서 북으로 굽이치며 흐르는 커다란 물줄기다.

조선초 성현의 <용재총화>에 '조선 제일의 물맛'으로 기록될 만큼 물맛 좋기로 유명했던 달래강은 지금도 주민들의 중요한 생명수이자 젖줄로서 숱한 설화와 사연을 안고 도도한 물흐름을 하고 있다.

3백리 물길로 이어지는 본류와 지류 곳곳에는 수려한 자연경관을 빚어 청풍명월의 멋을 한껏 더해놓고, 각 고을 마다엔 삶의 숨결을 불어넣어 이 고장 특유의 역사와 문화, 전통을 탄생시켜 놓았다. 이른바 중원문화의 한 뿌리이다.

백두대간과 한남금북정맥을 분수계로 하여 동으로는 낙동강, 남·서로는 금강과 물굽이를 달리하는 달래강 유역은 속리산을 중심으로 화양계곡과 쌍곡계곡, 옥화9경, 수주팔봉, 수옥정폭포, 용추폭포 등 수많은 계곡과 명소를 아우르고 있다. 또 그 품안에는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로서 소중한 자연자원인 수달과 하늘다람쥐, 까막딱따구리, 미선나무, 망개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물줄기 주변엔 '국민 소나무' 정이품송을 비롯해 그 부인격인 정부인송, 용이 틀임하는 듯한 기괴한 모습의 용송(왕소나무) 등 이름난 소나무들이 천년 자태를 자랑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호서제일의 가람 법주사, 우암 송시열의 화양서원과 만동묘, 벽초 홍명희의 삶과 혼이 깃든 괴강변, 충무공 김시민장군의 위패가 봉안돼 있는 충민사, 우륵의 가야금 선율과 신립장군의 호국얼이 배 있는 탄금대 등이 지역민의 자긍심을 키우는 역사와 문화의 산실로 남아 있다.

또한 물 맑고 공기 좋아 곳곳이 청정지역인 달래강 유역에서는 예나 지금이나 수많은 특산물이 산출되고 있다. 봄·여름이면 산과 들에 온갖 나물들이 지천하고, 가을이면 송이,능이,싸리버섯 등 각종 버섯이 쏟아져 나온다. 인근 농경지에서 생산되는 인삼은 충북의 대표적인 농산물로서 한국 인삼농업의 역사를 다시 쓰는 주역으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고 사과, 복숭아, 고추, 절임배추, 논콩 역시 전국에 충북 농업을 알리는데 앞장서 온 효자 농산품이다.

달래강 물길은 곧 이 지역 주민들의 삶과 생을 이어준 요람이자 터전이요, 애환과 기쁨을 함께 해온 역사의 증인이자 동반자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달래강에도 변화를 재촉하는 시대의 거센 바람이 불고 있다. 다름 아닌 온천개발과 댐건설을 둘러싼 논란이 십수 년째 이어져 오고 있는 데다 최근엔 대운하 통과 예상지역으로 부각되면서 주민들을 또다시 찬반논란의 장으로 내몰고 있다. 지역의 위기냐, 발전의 계기냐를 놓고 주민들은 심한 갈등까지 빚고 있다.

이에 지역 환경 파수꾼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자 심혈을 기울여온 충청타임즈가 달래강 3백리 물길에 대한 심층취재를 통해 어제와 오늘을 재조명하고 참 가치를 발굴해냄으로써 내일을 향한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달래강의 설경
  달래강에 눈이 내렸다. 계곡과 바위, 물, 나무가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동양화를 그려 놓았다. 설경에 묻힌 달래강이 금새라도 숱한 전설을 통해낼 것 같다.  
 


◇ 달래강의 참모습 재조명

이번 기획취재에서는 △달래강의 현황(발원지 및 지리현황)을 비롯해 △역사(유래, 속리산 삼파수와의 관계) △문화(명승유적, 설화, 민속) △달래강 사람들 △특산물 △생태(식물상, 어류상, 조류상, 포유류상, 곤충류상, 양서파충류상 및 주요 동식물) △보전과 개발(관리·개발 실태와 보전방안) 등이 주요 내용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취재팀은 달래강의 사계(四季)를 담기 위해 이미 지난 1월부터 사전 취재에 들어가 문헌·자료 조사와 함께 주요 지역에 대한 예비 답사, 겨울철새 및 발원지 탐사 등을 실시한 바 있으며, 이어 오는 10월까지 달래강 물길 전 수역에 대한 현지 답사 및 탐사를 통해 달래강의 참모습을 심층 취재 보도한 후 11∼12월 중에는 보전방안 등 결론 도출을 위한 지상 토론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특히 역사 문화와 생태 분야는 각계 전문가들을 초빙해 동행 취재 및 탐사를 실시하고, 희귀종으로서 우리나라 주요 자연유산이자 천연기념물인 하늘다람쥐와 수달, 까막딱따구리 등에 대해서는 현장 잠복 취재및 촬영을 통해 상세한 서식현황과 생태를 밝힐 계획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