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년 새해, 호랑이에게 길을 묻다

 

1년전 우리는 소띠 해를 맞으면서 소의 몸집처럼 풍요롭고 황소걸음처럼 여유로운 한해가 되길 기원했다.

비록 글로벌 금융위기로 모든 분야가 암울했지만 지혜와 슬기를 모으면 빈집에 소 들어가듯 좋은 날이 오겠지 하는 기대감을 가졌다. 행여 힘들고 지치더라도 소의 충직함과 우직함을 본받아 묵묵히 참고 견뎌내면 잘 되는 집 큰소만 낳듯 행운이 찾아올 것이란 희망도 가졌다.

어디 그 뿐인가. 비록 상대방 뜻이 귀에 거슬리더라도 소가 닭 쳐다보듯 닭이 소 쳐다보듯 서로가 넓은 가슴으로 관용을 베풀고 배려하면 만사가 형통하리라 굳게 믿었다.

그리고 1년이 지나 기축년의 끝자락. 소배꼽 만큼 남은 2009년 한해를 되돌아 보니 무척이나 착잡하다. 아니 쇠똥에 미끄러져 개똥에 코방아 찧은 것처럼 찜찜하기까지 하다.
쇠고삐가 먼저 떠오른다. 이리 끌면 이리 가고 저리 끌면 저리 가도록 굴레와 코뚜레에 매여진 쇠고삐, 그 쇠고삐 끝에 국민이 매여 있었고 부단히도 끌려다닌 한해였다는 생각이 앞선다. 국민이 우매한 소인가. 묘하게도 워낭소리가 오버랩된다.
앞걸음질 보다는 뒷걸음질이 생각난다. 새해 첫날의 구름 탓이었을까. 일년내내 기대했던 찬란한 서광은 끝내 드러나지 않았다. 그렇다고 하늘을 탓할 수 있으랴.

다시 되돌아 보지만 참으로 힘들었던 한해였다. 가식적이라도 어디 한번 큰소리로 웃어본 적 있었는가. 지금 당장의 기쁨은 고사하고 어느 한가닥 희망이 있어 가슴속으로나마 쾌재를 불러본 적 있었는가. 나라는 나라대로,사회는 사회대로,경제는 경제대로,가정은 가정대로 한없이 움츠러든 느낌이었으니 한숨과 탄식이 절로 나왔다.

참으로 우울했던 한 해였다. 두 전직 대통령이 서거해 한 사람은 부엉이바위의 한을, 또 한 사람은 인동초의 한을 남겨 많은 이들의 안타까움을 샀다. 전국에 울려퍼진 조종(弔鐘)과 추모 물결은 2009년의 대표적인 잔영이다.             

또 안팎으로 얼마나 시끄렀웠는가. 북한 미사일발사,미네르바 사건,용산 참사,해커 공격,신종플루 창궐,임진강 방류사태,미디어법 충돌,대운하와 4대강 논란,세종시 논란,나영이 사건,연예계 인사 자살 등 말 그대로 다사다난했다.

이젠 앞을 보고 싶다.

2010년 범띠 해(庚寅年)를 맞아 진짜 희망을 갖고 싶다. 백수의 왕 호랑이처럼 당당하게 어깨 펴고 힘들었던 일,우울했던 일 모두 떨쳐내고 한바탕 웃으며 포효하고 싶다.
호랑이의 나라에서 호랑이 해를 맞은 만큼 나라의 위상이 다시 우뚝 서는 한해가 되길 염원한다. 세 사람만 우겨 대면 없는 호랑이도 만들어 낸다는 말이 있듯이 내년에는 제발 그런 추잡한 꼴들을 보지 않았으면 한다. 호랑이가 개 어르듯 꼼수 부려봤자 서로가 새벽 호랑이 된다는 것을 명심했으면 한다. 호랑이도 제 새끼는 안 잡아먹는다고 했지 않는가. 같은 국민끼리 으르렁거려 봐야 나라망신이요 꼴불견이다.
밝아오는 새해에는 모두가 진정으로 화합했으면 한다. 자는 호랑이에게 공연히 코침 주는 일도,또 거기에 맞서 선불 맞은 호랑이 날뛰듯 기고만장하는 일도 제발 없었으면 한다.

용 가는 데 구름 가고 범 가는 데 바람 간다고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고 상생할 길을 찾음으로써 모든 국가 구성원들이 산 만난 호랑이처럼, 아니 날개 얻은 호랑이처럼 한발짝에 두걸음을 뛰는 비약의 한해가 되길 간절히 기원한다.  
역술상 경인년의 화두는 "자기 이상만 고집 말고 현실을 망각하거나 독선을 드러내지 말라"다. 호랑이의 기세만 믿지 말란 경고다.
1년뒤 호랑이 그리려다 고양이도 못 그렸네 라며 한탄하는 일 없었으면 한다.

“부보 부보(Bubo bubo),  바보 바보?”

 
 야묘(夜猫)라 불리던 새가 있다. 수리부엉이다. 여기서 묘는 삵이다. 소리없이 접근해 쥐도 새도 모르게 멱을 따는 게 삵이니, 밤중에 나타나 졸지에 먹잇감을 채가는 삵이 곧 야묘다. 섬뜩하다.
수리부엉이는 달갑잖은 새로 인식돼 왔다. 기이한 얼굴에 부리부리한 눈, 도깨비뿔 같은 귀깃, 어린애 만한 몸집, 딱딱거리며 위협하는 큰 부리, 한 번 움켜쥐면 놓지 않는 발톱 등 생김새부터가 비호감이다. 울음소리도 쭈뼛하다.

 부엉이가 달갑잖은 존재로 인식케 된 데엔 어른들의 장난기 어린 으름장도 한몫했다. 시도때도 없이 우는 아이에겐 “저기 부엉이 온다”고 어르고 밤에 자주 싸돌아다니는 아이에겐 “부엉이한테 잡혀간다” 겁줌으로써 부엉이는 곧 두려움으로 각인됐다. 할아버지 무릎 베고 옛날 이야기 들을라치면 으레 배경음악처럼 낮게 깔린 부엉이 소리가 저멀리 들리는가 싶다가도 눈꺼풀이 천근만근 무거워질 때쯤이면 어느새 뒤꼍 느티나무로 옮겨와 기겁하게 한 것이 부엉이다.

 부엉이 소리가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음은 속설과 기록에도 나타난다. 우리말에 부엉이가 마을을 향해 울면 상을 당한다는 말은 그만큼 부엉이가 불길한 일을 몰고다닌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조선왕조실록엔 태조,세조 등 여러 임금이 궁궐 가까이서 부엉이가 울면 서둘러 거처를 옮기고 해괴제(解怪祭)를 지냈다 전한다. 해괴제는 부처에서 땀이 흐르는 일처럼 기괴한 일이 있을 때나 지내던 신풀이다.

 하지만 때론 부(富)를 가져오는 새로도 인식됐다. 속담에 부엉이가 새끼 3마리를 낳으면 대풍 든다는 말이 있다. 육식성인 부엉이가 3마리의 새끼를 키우기 위해선 수많은 들쥐를 잡아 날라야 하기에 생긴 말이다. 새끼 3마리를 키우려면 하룻밤에 수십 마리를 잡아야 한다.
 부엉이는 욕심도 많아 먹잇감을 보는 대로 잡아다 쌓아 놓는다. 해서 옛 어른들은 부엉이집 하나만 맡아도 횡재했다고 했다. 부엉이가 잡아오는 먹잇감엔 닭,꿩,토끼 심지어 어린 고라니까지 있어 그 중 일부만 슬쩍 갖다 먹어도 고기걱정은 안했단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살림이 늘어나는 것을 부엉이살림이라고 하는데 이 또한 부엉이의 습성을 빗댄 말이다.
 부엉이는 부부애가 강해 한번 짝 맺으면 평생 함께 살아가는 것은 물론 시시때때로 짝짓기하는 새로도 알려졌다. 다른 새와 달리 혹한의 1~2월에 산란해 번식기가 끝나도 오랜 기간 줄곧 사랑을 나누면서 금슬을 확인한다.

 부엉이는 높은 벼랑에 둥지를 튼다. 기자가 최근 확인한 10여개의 둥지 모두 탁 트인 수십 길 바위절벽에 있다. 천적 때문이기도 하지만 큰 몸집을 던져 쉽게 날고 또 밖에선 곧바로 날아들기 위한 지혜다.
 전국의 부엉바위,부엉고개,부엉골,부엉산은 부엉이가 살았거나 현재 살고 있는 곳이 많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투신한 김해 봉화산 부엉이바위도 그래서 붙여진 이름이다.

   인터넷상 자유백과사전인 위키백과엔 ‘…경사가 급해 등산객이 잘 다니지 않는 곳으로 알려졌다가 2009년 5월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이 올라 투신한 곳으로 알려지게 됐다“고 적혀 있다. 국민장의 ’노란‘ 처연함이 눈에 선하고 추모행렬이 아직 줄을 잇는데 백과사전엔 벌써 과거형으로 올라있다. 인생무상이다.

 일명 자살바위로도 불렸다는데, 어쨋거나 부엉이가 살던 부엉이바위서 전직 대통령이 부엉이처럼 몸을 던졌다. 삶과 죽음이 자연의 한 조각처럼 말이다.
 수리부엉이의 학명은 ’Bubo bubo‘다. 울음소리서 유래한 학명이 노 전 대통령의 별명인 바보를 연상케 함은 아이러니일까. 부디 자유롭게 날개 펼쳐 훨훨 날길 기원한다. 부보 부보, 바보 바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