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30년 동안 한국의 자연생태계에서 두 개의 커다란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하나는 직박구리의 서식 개체수 급증이고, 또 다른 하나는 민물가마우지의 텃새화입니다. 

2000년대 초를 전후해 전국적으로 나타난 직박구리의 서식 개체수 급증은 급기야 국내 야생 조류의 우점 서열을 바꿔놨습니다.

 

직박구리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아지면서 출현빈도 1위와 2위였던 까치와 참새는 2, 3위로 순위가 밀려났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시작돼 아직도 진행 중인 민물가마우지의 텃새화 또한 국내 하천 및 호소 생태계의 양상을 뿌리째 흔들고 있습니다.

이들 두 사건으로 국내 조류 생태계에서 두드러지게 변한 새들 간의 먹이 경쟁 풍속도에 관해 집중 살펴봤습니다.

 

동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N5wnu_EATlY

 

금강에 사는 야생 민물고기 '눈불개(잉엇과, Squaliobarbus curriculus)'입니다.

사람들의 먹이주기에 익숙해져 마치 양어장의 물고기를 연상케 합니다.

 

동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6Ym_rZOPdEY

 

금강에서 월동 중인 겨울철새 황오리(학명: Tadorna ferruginea, 영명:Ruddy Shelduck)가 황홀한 군무를 펼칩니다.

오릿과 새 중 기러기 다음으로 몸집이 큰 황오리 수백 마리가 일제히 날아올라 군무를 펼치는 광경은 말 그대로 장관입니다.

 동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LvvDV1cxJCs

 

 

대청호 오백리길의 하이라이트 격인 4구간에는 두 종의 큰새 가족이 살고 있습니다.

하나는 일년 내내 볼 수 있는 거위 가족이고, 다른 하나는 겨울철새 큰고니(천연기념물 201호) 가족입니다. 

이들 두 큰새 가족은 언제부턴가 겨울이면 한 공간에 머물며 사람들의 시선을 끕니다.

이들이 더욱 관심을 끄는 이유는 조류인플루엔자(AI) 때문입니다.

겨울철이 되면 거의 해마다 전국적으로 AI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이들 두 새가족은 여전히 건강한 겨울나기를 해오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주변에 사는 다른 새 가족들도 모두 건강한 삶을 영위해 나가가고 있습니다.

이들이 건강하게 겨울을 보내고 있는 특별한 이유에 대해 집중 살펴봤습니다.

 동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cVL-psMKvA

 

 

바이러스 시대에 개인위생이 해답입니다

바야흐로 바이러스 창궐시대입니다.

인간 세계에서는 HIV, 일본 뇌염, B형간염, 홍역, 사스, 에볼라, 포진, 지카, 독감, 코로나바이러스 등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 동물세계에서는 레오, 파보, 아프리카돼지열병, 구제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등이 연례행사처럼 발생하고 있습니다.

지극히 심각한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것은 개인위생으로 표현되는 청결 유지입니다.

때마침, 이러한 시기에 한반도를 찾은 겨울철새 큰고니 가족 곁에서 열심히 목욕하는 까마귀들이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동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yaznkLlUD-w

 

 

과거 한반도에는 사자, 옛코끼리, 쌍코뿔이 등이 살았습니다.

또 한반도 고유종인 동굴곰이 금강유역에 살다가 멸종했습니다.

이 땅의 구석기인들은 사슴을 주로 사냥했으며 꽃을 좋아하고 고인류 최초로 얼굴조각품을 남겼습니다.

충북 청주 두루봉동굴 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이를 입증합니다.

그러나 한반도의 옛 자연환경과 구석기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두루봉동굴 유적지가 송두리째 사라졌습니다.

도대체 어찌된 일일까요.

 동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hUNVdzlBI2Q

 

 

공룡이 살던 먼 옛날에 출현해 멸종하지 않고 지금까지 살아오고 있는 은행나무는 특별한 나무입니다.

하지만 원시의 종자식물인 은행나무는 기존에 알려진 것과는 다른 번식 유형을 보이는 등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허점 내지 모순으로까지 비쳐지는 은행나무의 엉뚱한 면을 중점 다뤘습니다.

 

동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rflSJizk7rs

 

 

온몸이 흰빛을 띤 희귀조류 '흰색 흰뺨검둥오리'가 대청호에 나타났습니다.

자연생태365가 대청호오백리길 4구간에서 발견한 이 흰색 흰뺨검둥오리는 알비노(Albino)와는 다른 루시스틱(Leucistic) 개체입니다.

이 흰색 흰뺨검둥오리는 몸빛이 희다는 이유로 동종 오리들로부터 구박을 당하거나 따돌림을 당하는 것 같습니다.

먹이활동을 할 때를 제외하고는 무리와 잘 어울리지 않고 외롭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알비노와는 어떻게 다른지 실제 알비노 동물과 루시스틱 동물의 사례를 들어 살펴봤습니다.

또 외롭게 생활하는 모습도 상세하게 다뤘습니다.

 

 

관광명소로 알려진 충북 괴산의 선유동구곡에는 조선시대 새겨진 조명정 충청도관찰사를 비롯한 여러 암각자가 있습니다.

또 구석기 동굴 유적으로 추정되는 충북 청주의 작은용굴에도 수많은 이름이 새겨진 암각자가 있습니다.

이들을 하나의 풍습으로 봐야 할까요, 아니면 자연을 훼손하는 낙서로 봐야 할까요.

우리 주변의 자연물에 새겨진 글씨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동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inacwXsxxDE

 

 

겨울의 문턱이 다가오면서 빠르게 변해가는 만추의 빛과 모습을 담았습니다.

충북 보은 속리산의 단풍명소 말티재를 비롯해 보은 삼년산성, 청주 문의문화재단지, 대청호, 상당산성, 백석정, 괴산 문광저수지 은행나뭇길의 늦가을 풍경을 기록했습니다.

한 계절의 끝은 또 다른 계절의 시작임을 실감하는 시기입니다.

 

동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HTyXcNSO1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