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무지개송어
15~18도 수온서 활동, 평균 수명은 3~4년
성장속도 빨라 2년이면 30~40㎝까지 자라
◆분류학적 의의
무지개송어는 원산지가 북미 태평양 연안인 연어목 연엇과의 민물어류로, 학명은 'Oncorhynchus mykiss'이다.
국내엔 1965년 두 경로를 통해 도입됐다는 설이 있다. 그 중 하나는 그해 1월 강원도가 미 캘리포니아 국립양어장에서 수정란(숫자는 미상)을 들여다 파로호에서 시험양식을 시도했다는 설과 또 하나는 '정석조'란 사람이 미 캘리포니아 국립양어장에서 수정란 20만립을 들여와 부화에 성공, 최초로 양식하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
무지개송어란 이름은 영명인 'rainbow trout'를 직역한 것이며, 산란기에 몸빛이 무지갯빛의 혼인색을 띤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무지개송어란 이름 대신에 일부에선 '석조(汐潮) 송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앞서 말한 두번째 도입 경로, 즉 정석조란 사람이 최초 도입했다해서 그 사람의 이름이 붙게 됐다고 한다.
몸길이는 최대 80~100㎝까지 자라며 치어 때 '팔마크(parr mark:어릴 때 있던 무늬가 자라면서 사라지는 것)'가 있는 게 특징이다.
◆습성 및 생활사
15~18도의 수온에서 잘 성장하는 냉수성 어종으로 본래 육식성이기 때문에 자연상태에서는 수생곤충, 조개류, 작은 물고기를 즐겨 먹는다.
국내에 도입된 종은 일생 동안 민물에서만 살도록 고정된 종이기 때문에 양식지에서 이탈했거나 방류된 개체라도 바다와 하천을 오가지 않고 주로 하천 상류나 계곡 호수에 서식한다.
우리나라에 본래 서식하고 있던 같은 연엇과의 '송어(학명:Oncorhynchus masou)'는 바다와 하천을 오가는 회유성이란 점에서 무지개송어와 비교된다.
또 송어와 같은 종(학명이 같음)이나 일생 동안 민물에 갇혀 사는 육봉형(陸封型)인 '산천어'는 비록 바다를 오가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무지개송어와 비슷하나 몸집이 20∼30㎝밖에 자라지 않고 무늬가 송어의 어린 개체형(팔마크)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산란은 일반적으로 봄, 가을 두번 이뤄진다. 무지개송어의 수명은 보통 3∼4년이나 최고 6∼8년까지 산다. 다른 물고기에 비해 성장이 빨라 부화 후 1년 만에 18∼20㎝, 2년이 지나면 30∼40㎝가량 자란다.
◆일반적인 인식 및 확산 정도
우리나라에서 '송어'라고 하면 대부분이 무지개송어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국내산 토착 송어가 일반인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까닭도 있지만, 양식산 무지개송어의 주 소비처인 횟집 등에서 '무지개'란 말을 빼고 그냥 '송어회'나 '송어매운탕'으로 통용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엄연히 무지개송어와 국내 토착 송어는 학명이 각기 다른 별개의 종이기 때문에 구별해서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지개송어가 국내 자연수역에 이식 또는 확산한 가장 큰 동기는 양식어가의 관리 소홀로 양어장을 이탈해 번져 나간 경우가 많다. 최근엔 유료 낚시터의 자원조성용으로 무지개송어가 곧잘 방류되고 있고 또 종교적인 방류에 의해서도 간혹 무지개송어가 방류되고 있어 분포지는 더욱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자연번식이 되지 않는 특성(자연산란 및 수정이 된다 해도 발안(發眼)과 부화가 되지 않음) 때문에 큰 숫자로 불어나진 않는 상태이며, 주로 강 상류지역에 큰 개체들이 서식하면서 토착어종을 잡아먹거나 먹이경쟁을 통해 간섭을 주는 등 생태계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
또한 토착 송어류와의 유전적 교란도 예상돼 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나. 은어
세력권 형성하는 회유성 어종으로 주로 돌에 붙은 조류 먹어
대청호서 한때 자연번식 이뤄졌으나 이후 다시 사라진 상태
◆분류학적 의의
본래 우리나라 전국 수계에 분포하던 종이나 수질오염과 댐 건설 등 서식환경 변화로 지금은 섬진강 등 일부 수계에만 서식하는 '귀한 종'이 됐다.
따라서 일부 지자체와 단체에서는 최근 이 종을 복원하기 위해 인공 부화한 치어를 옛 서식지에 집단 방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대청호에도 최근 은어 치어를 방류한 바 있는데 지난 겨울 '처음'으로 자연번식이 이뤄져 치어가 생산되었음을 필자는 확인한 바 있다.
이처럼 은어는 최근 들어 계획적인 방류사업의 대상 어종으로 점차 자리잡아 가고 있음에 따라 이식어종에 포함시켜 다루기로 했다.
서유구의 전어지(佃漁志)에 '은어는 주둥이 턱뼈가 은(銀)처럼 희므로 은구어(銀口魚)라 하는데 등뼈 사이에 지방분이 뭉쳐 있어 맛이 담백하고 비린내가 나지 않으며, 살아 있을 때는 오이 향이 나므로 별미다'라고 소개돼 있다. 영명인 'Sweet smelt' 또는 'Sweet fish'나 중국명인 '향어(香魚)' 모두 '오이 향과 같은 은은한 향이 나는 물고기'란 뜻에서 붙여졌다.
은어의 분류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연어목 은엇과, 혹은 청어목 은엇과, 바다빙어목 바다빙엇과로 나누는 경우가 있다.
학명은 'Plecoglossus altivelis'로 몸 크기는 보통 20㎝ 정도이나 때로는 30㎝ 이상 되는 것도 있다.
몸은 빙어처럼 날씬하고 옆으로 납작하다. 체색은 등쪽이 푸른 황록색이고 배쪽은 선명한 백색이다. 그러나 어린 개체는 내장이 훤히 들여다보일 정도로 빙어보다 더 맑고 투명한 것이 특징이다.
◆습성 및 생활사
돌에 붙은 부착조류를 주식으로 하지만 장마철엔 수서곤충을 먹기도 한다. 9∼10월 산란기에 갓 부화한 어린 개체는 바다로 내려가 연안에서 겨울을 난 후 이듬해 3∼4월 다시 하천으로 올라와 성장하는 회유성 어류이다.
은어의 가장 큰 습성은 세력권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즉, 강으로 거슬러 올라와 물이 맑은 하천 중류나 상류에 도달하면 제각기 세력권을 형성하고 정착하게 되는데 1마리당 세력권 범위는 보통 1㎡ 내외이며 이 안에 다른 개체나 물고기가 침입하면 적극 공격한다. 은어 낚시는 이 세력권을 이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인식 및 확산 정도
섬진강 등 일부 서식지 외에는 은어가 잘 생산되지 않아 귀한 물고기 대접을 받고 있다.
특히 은어는 성질이 급해 잡히자마자 죽기 때문에 멀리 운반하기도 어려워 서식지 이외의 사람들은 살아 있는 은어를 보는 것마저 힘들다.
'금강의 은어'도 예전엔 꽤나 유명했으나 본래의 서식종은 자취를 감춘 지 오래이고 최근 대청호 상류에 방류한 치어가 자라나 지난 겨울 처음으로 산란 및 부화되는 등 정착단계(육봉화)에 들어서 있다.
한때는 금강 상류 보청천에서는 대청호에서 자란 은어가 올라와 청산.청성지역 주민들이 투망 등을 이용해 앞다퉈 포획한 적이 있다.
국내 옛 서식지에의 복원사업이 금강수계 이외에서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어 분포·서식지는 점차 느는 추세이나 그로 인한 생태계 영향 등에 관한 전문적인 모니터링은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 어류이식 8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중생태계 진단 (19)긴급분석: 잡종붕어의 실체② (0) | 2020.09.23 |
---|---|
수중생태계 진단 (18)긴급분석: 잡종붕어의 실체① (0) | 2020.09.23 |
수중생태계진단 (16)어종별 특성-이스라엘 잉어(향어) (0) | 2020.09.23 |
수중생태계진단 (15)어종별 특성-백련어 (0) | 2020.09.23 |
수중생태계진단 (14)어종별 특성-초어 (0) | 2020.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