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한 달 이상 지속…과수 병해충, 대추낙과 피해 우려
보은군, 장마 기간 길어짐에 따른 ‘과원 관리 당부’ 나서

침수된 과수원 모습./아시아뉴스통신DB


장마 기간이 길어지면서 충북도내 과수농가들이 비상이 걸렸다. 

강수에 따른 직접적인 피해도 우려되지만 각종 병해충 발생과 생리장해 등에 따른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7월 25일 보은군농업기술센터(소장 홍은표)는 지난달 중순에 시작한 장마가 한 달 이상 길어져 과수 병해충 발생 증가 및 생리장해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과원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농가에 당부하고 나섰다.

보은군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과수는 각종 병해충 방제를 위해 2일 이상 연속으로 비가 오거나 강수량이 25mm이상일 경우 추가적인 약제 살포를 검토하고 비가 갠 틈을 이용해 살균제와 살충제를 살포해야 하며, 엽소현상 등 생리장해 감소를 위해 물 빠짐이 잘 되도록 배수로 정비를 해 줘야 한다.

대추는 일조부족으로 착과불량 및 낙과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착과량 감소를 막기 위해 총채벌레, 노린재, 탄저병 등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장마가 지난 이후에도 집중호우와 태풍 발생에 대비해 경사지 또는 새로 조성한 과원은 사전에 짚 또는 비닐 피복으로 토양 유실을 방지해야 하며 과원의 철선지주를 미리 점검해 선의 당김 상태를 확인해 고정해 주고 나무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주에 묶어 주는 등 사전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피해 발생시 찢어진 가지는 잘라낸 후 적용약제를 발라 주고 낙과된 과실과 유입된 흙을 제거해 과원 내 청결 유지로 병해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한다.

또 7월 하순 이후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등 돌발해충이 성충이 돼  과수원으로 날아올 수 있으므로 수시 예찰을 통해 과원 내 발생 시 방제를 하고 방제 시에는 인접 산지까지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최기식 특화작목팀장은 “기상상황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만큼 기상예보에 귀 기울이며 철저한 사전대비와 피해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통해 장마철 호우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시아뉴스통신=김성식 기자]


koomlin@hanmail.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