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금강홍수통제소 찾아 ‘강력 항의’
영동·옥천·금산·무주지역 피해주민 300여명 “자연재해 아닌 인재” 주장

19일 용담댐 피해지역주민대책위원회가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와 금강홍수통제소를 찾아 이번 수해는 자연재난이 아닌 인재라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이번에 피해 입은 사과 등 농작물과 쓰레기 더미 등을 동원해 울분을 토하며 자신들의 확고한 의지를 밝혔다.(사진제공=영동군청)


금강 상류 용담댐의 홍수 수위조절로 피해를 입은 영동·옥천·금산·무주군민 300여명이 항의집회를 가졌다.
 
특히 이들은 이번에 피해 입은 농작물과 쓰레기 더미 등을 동원해 울분을 토하며 자신들의 확고한 의지를 밝혔다.
 
19일 용담댐 피해지역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임구호)는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와 금강홍수통제소를 찾아 이번 수해는 자연재난이 아닌 인재라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영동군은 한국수자원공사 용담지사에서 용담댐 방류량을 초당 2900톤으로 늘리면서 금강변의 양산면, 양강면, 심천면 일원의 농경지 169ha와 주택 55채가 침수됐다.

이들 피해지역에는 이달 6일부터 8일까지 고작 평균 53mm에 불과한 강우량을 보였을 뿐이란 게 피해지역 주민들의 주장이다.
 
집회에 참가한 주민들은 피해 입은 농작물과 쓰레기 더미 등을 청사 마당에 버리며 피해 주민들의 울분과 그 희생의 대가에 진지하게 경청하고 피해에 대한 보상과 재발방지대책을 요구했다.
 
용담댐 방류 피해에 대한 보상은 도 경계를 뛰어넘어 지자체와 주민이 공동 대응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18일에는 영동군청 대회의실에서 영동·옥천·금산·무주군수와 군의장이 범대책추진위원회(위원장 박세복 영동군수) 출범식을 갖고 용담댐 홍수조절 실패에 따른 입장문을 발표했다.
 

[아시아뉴스통신=김성식 기자]


koomlin@hanmail.net

12일 35명의 보은군청 직원, 양산면 수해현장서 복구활동
인접 지자체 주민의 아픔 보듬어 돈독한 정 더욱 도탑게 해

12일 충북 보은군 공무원들이 집중호우와 용담댐 방류로 수해를 입은 영동군 양산면을 찾아 수해복구 봉사활동을 하며 구슬땀을 흘히고 있다.(사진제공=보은군청)


충북 보은군 공무원들이 영동군의 수해복구 현장을 찾아 힘을 보탬으로써 이웃 지자체 간의 돈독한 정을 더욱 도탑게 했다.
 
12일 보은군 공무원들은 이번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영동군 양산면을 찾아 수해복구 봉사활동을 하며 구슬땀을 흘렸다.
 
이날 보은군 공무원 35명은 양산면 일대에서 침수가옥의 가재도구 정리를 비롯해 침수 농경지 토사 제거 및 정리 등 복구활동을 펼치며 실의에 빠진 수재민에게 위로를 건넸다.
 
이날 봉사활동은 코로나19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손 소독가 발열 체크, 마스크 착용 등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며 이뤄졌다.
 
정상혁 보은군수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수해복구를 위한 자원봉사 인력 동원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보은군과 인접한 영동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봉사활동을 추진하게 됐다”며 “이번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영동군민들이 하루 빨리 아픔을 딛고 일어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시아뉴스통신=김성식 기자]


koomlin@hanmail.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