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의 의사소통
곤충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자신들의 의사를 표하고 상대방이 표하는 의사를 받아들일까.
곤충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자세히 관찰하다 보면 그들도 분명 그들 나름의 특정한 의사 소통체계를 가지고 각종 생명현상을 유지해 나가고 있음을 확신하게 된다.
늦더위가 기승을 부릴 무렵 숲속이 떠나갈 정도로 울어제치던 매미들이 어느 한 순간 울음을 멈췄다가 다시 한두 마리가 울음소리를 내기 시작하면 일제히 따라 우는 것도 ‘위험 상황’과 ‘위험 해제’를 알리는 그들 나름의 의사소통 신호가 있기 때문이며, 가을의 전령사 귀뚜라미도 자신들만의 신호체계에 따라 울음소리를 냈다, 그쳤다를 반복하며 짝짓기를 한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개미들도 땅위를 돌아다닐 때 맘 내키는 대로 아무 데나 돌아다니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그들 나름의 일정한 신호체계에 의해 그려진(?) 도로망을 따라 질서정연하게 이동하고 있으며, 허공을 나는 꿀벌도 동료들로부터 전달받은 꽃(꿀)의 위치를 향해 날갯짓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곤충들은 대부분 ‘특별한 행동’을 하거나 ‘페로몬’이란 물질, 혹은 ‘소리’나 ‘빛’ 따위를 발산해 동족 간에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곤충들의 의사소통은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방에게 자신 또는 먹이의 위치를 알리는 신호일 수도 있고 상호간의 구애표시가 될 수도 있으며 위험을 알리는 긴급신호가 될 수도 있다.
곤충의 의사소통 물질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페로몬(pheromon)’이란 것이 있다. 페로몬은 곤충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화학물질로서 많은 곤충들이 이 화학물질을 몸밖으로 발산해 같은 종의 다른 개체와 의사를 주고 받는다.
페로몬의 종류로는 성페로몬과 경보페로몬, 길잡이페로몬, 집합페로몬, 밀도조절페로몬, 계급분화페로몬 등이 있다.
이중 성(性)페로몬은 곤충의 암수가 서로를 식별하고 짝짓기를 하게 하는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 성페로몬을 발산하는 곤충의 예로 누에나방을 들 수 있는데 암컷이 먼저 배끝에 있는 노란 주머니 모양의 향기샘에서 누에나방 특유의 페로몬을 뿜어내면 수컷은 빗처럼 생긴 더듬이로 이를 감지하고 찾아와 짝짓기 행동을 한다.
성페로몬의 ‘위력’이 얼마나 센가는 곤충들이 짝짓기 하는 시기에 어렵잖게 확인할 수 있는데, 실례로 암컷은 한 마리인데 수컷은 여러 마리가 동시에 달려들어 죽기 살기로 짝짓기를 하려는 것을 보면 가히 혀가 차질 정도다.
'암컷은 한 마리인데? '
곤충의 암컷이 발산하는 성페로몬은 유인력이 매우 커 동시에 여러 마리의 수컷을 불러들여 짝짓기 행위를 하기도 한다. 사진은 한 마리의 암컷과 두 마리의 수컷이 동시에 작짓기 행위를 하고 있는 사마귀의 모습./자연닷컴
페로몬이 비교적 잘 발달된 곤충은 개미와 꿀벌 같이 집단생활을 하는 사회성곤충이다. 사회성 곤충은 자신의 집에 적이 쳐들어오면 경보페로몬을 즉시 발산해 종족에게 위험을 알리며 먹이를 구하러 나가거나 이동할 때는 길잡이페로몬을 땅에 뿌려 동료들로 하여금 이를 감지해 따라오도록 한다.
곤충 중에는 또 독특한 울음소리를 냄으로써 자신의 세력권을 나타내거나 동료들에게 특정 의사를 표하는 것들도 있다. 여치, 매미, 귀뚜라미 등이 좋은 예로서 여치는 앞날개를 겹쳐 서로 비벼대면서 찌르륵 찌르륵 울어대고 매미는 배부분의 발음근을 오므렸다 폈다 함으로써 일단 발진막에 조그만 소리를 발생시킨 후 다시 공명실을 통해 큰 소리를 내고 있으며, 귀뚜라미는 뒷다리에 있는 돌기를 날개에 스쳐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들 곤충의 소리는 짝짓기 할 때는 배우자를 찾는 구애의 신호로, 천적이 나타났을 때는 종족을 보호하려는 위험 신호체계로 활용된다.
곤충 가운데에는 또 반딧불이처럼 제 스스로 빛을 발산해 의사를 표하는 것도 있다. 반딧불이의 빛은 루시페린이란 발광물질과 루시페라아제라는 발광효소가 작용해 만들어지는데 루시페라아제가 들어 있는 특수세포에 산소가 공급되면 아데노신삼인산이 생기고, 이것과 루시페라아제가 결합하면 불안정한 물질로 바뀌게 돼 이것이 안정한 물질로 변하면서 빛을 발하게 된다고 한다.
반딧불이가 내는 빛의 밝기와 빛을 내는 시간, 즉 발광시간은 반딧불이의 종에 따라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한 장소에 여러 종의 반딧불이가 모여 있어도 같은 종끼리는 동료가 보내는 신호를 쉽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반딧불이들은 약 3룩스 안팎의 빛을 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딧불이는 자신들이 내는 빛을 통해 서로 배우자의 신호를 감지하는데 수컷이 먼저 일정 간격을 두고 빛을 발하면 이를 감지한 암컷이 약 2초 후에 빛을 발광, 구애에 응답한다.
'우리주변의 곤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곤충의 생태달력과 생태시계 (0) | 2020.09.02 |
---|---|
(6) 곤충의 공생과 기생 (0) | 2020.09.02 |
(5)먹이잡이 지혜 (0) | 2020.09.01 |
(3) 위장술과 의태 (0) | 2020.09.01 |
(1)서론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