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추천자 4명 중 2명만 위원에 포함시키고 2명은 배제
범대위측 “도저히 납득 안 돼…2명도 필히 포함시켜야”  주장

18일 박세복 위원장(충북 영동군수)을 비롯한 ‘용담댐 방류 피해에 따른 4군 범대책위원회 위원들이 환경부를 항의 방문해 4개 지역(영동군.옥천군.금산군.무주군) 주민들의 뜻이 담긴 서명부를 전달하고 용담댐 방류 피해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제공=영동군청)


용담댐 방류 피해 지역 4개군 범대책위원회(위원장 박세복 영동군수.이하 4개군 범대위)가 환경부의 댐관리조사위원회 구성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9일 4개군 범대위에 따르면 환경부는 전날 정석환 대진대학교 교수(수자원학회 부회장)을 위원장으로 한 23인의 댐관리조사위원회를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이날은 4개군 범대위 위원인 영동·옥천·무주·금산군 군수 및 군의장이 환경부를 항의 방문한 날이다.
 
4개군 범대위는 조명래 환경부 장관에게 댐관리조사위원회 선정시 각 지자체에서 추천하는 사람이 위원으로 포함돼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강력하게 요구했다.
 
하지만 4개군 범대위 추천자 4명 중 2명만이 댐관리조사위원회에 포함됐다.
 
이에 4개군 범대위는 당초 추천한 인원이 배제될 경우 추천한 인원 2명도 댐
관리조사위원회에 참여시키지 않겠다는 입장을 환경부에 전달했다.
 
박세복 범대위 위원장은 “환경부가 조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피해지역 지자체에서 추천한 인원을 배제한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위원에서 탈락된 2명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지자체 댐관리조사위원회 추천 시 배제 기준 등은 제시하지 않았다.

[아시아뉴스통신=김성식 기자]


koomlin@hanmail.net

조명래 장관에게 4개 지역 주민 뜻 담긴 서명부 전달
항구적 피해 예방책 마련 등 근본적인 문제 해결 촉구

18일 박세복 위원장(충북 영동군수)을 비롯한 ‘용담댐 방류 피해에 따른 4군 범대책위원회 위원들(왼쪽)이 환경부를 항의 방문해 4개 지역(영동군.옥천군.금산군.무주군) 주민들의 뜻이 담긴 서명부를 전달하고 용담댐 방류 피해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제공=영동군청)


박세복 위원장(영동군수)을 비롯한 ‘용담댐 방류 피해에 따른 4군 범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 위원들이 18일 환경부를 항의 방문했다.
 
박 위원장과 4개 지역(충북 영동·옥천군, 충남 금산군,전북 무주군) 군수와 군의장으로 이뤄진 범대위 위원들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환경부를 방문해 조명래 환경부 장관에게 4개 지역 주민들의 뜻이 담긴 서명부를 전달하며 용담댐 방류 피해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일행은 수해를 입은 주민들이 여전히 고통과 어려움 속에 생활하고 있어 제도적 지원과 정당한 피해보상을 요구하기 위해 이날 환경부를 찾았다.
 
박 위원장은 지난 12일 옥천·금산·무주군수와 함께 한국수자원공사를 항의 방문했으나 이렇다 할 답변이 없어 조명래 장관을 만나 범대위 입장을 재차 전달하며 강하게 항의했다.
 
범대위는 ▶댐 방류로 인한 피해보상 및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 ▶피해주민 생존권 보장을 위한 先보상 後정산 ▶상류 유입량과 일기예보에 자동 연동하는 방류 시스템 구축 ▶용담댐∼대청댐 영향지역 상생발전협의회 구성 ▶댐 관리 조사위원회 총리실 산하로 격상 ▶댐 관리 조사위원회 구성에 피해지역 추천 전문가 모두 포함 등을 강력히 요구했다.

지역주민들의 생활안정, 정당한 권리와 주민 기본권 보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안들이다.
 
환경부는 댐 부실 운영·관리 문제가 나오자 지난달 14일 댐관리조사위원회를 통해 원인을 밝히겠다고 했으나 구성이 계속 늦어지고 있어 피해주민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박세복 범대위 위원장은 “4개 지역 군민들의 바람과 수해로 힘들어하는 이재민들의 목소리를 관련부처에 전했다”며 “피해지역 주민의 실질적 권리구제와 지역 재건 기반 구축, 항구적인 피해 예방책 마련 등 근본적인 문제가 해소될 수 있도록 4개군과 공동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박 위원장은 “댐관리조사위원회의 정확한 조사와 빠른 보상촉구, 그리고 위원 선정 시 각 지자체가 추천하는 사람이 위원으로 꼭 포함되도록 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4개 군은 정확한 진상조사와 피해 주민들의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소송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아시아뉴스통신=김성식 기자]


koomlin@hanmail.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