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퀴즈 문제입니다. 참고하세요.

 

151>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개로 1938년 일본인 모리가 자기네의 아끼다 견과 비슷한 개가 한국에도 있음을 알고 조선총독부에 건의해 천연기념물 53호로 지정한 토종개의 이름은 (    )

 

152> 우리나라 경북지역, 특히 경주지역의 토종개로 현재 천연기념물 368호로 지정돼 보호를 받고 있으며 통일신라때 김유신장군이 군견으로 이용했다는 개의 이름은(      )

 

153> 북한의 함경남도 지역에서 주로 길러져 내려온 개로 성품이 용맹하고 인내력이 강해 예부터 호랑이와 같은 맹수사냥에 이용됐던 토종개의 이름은(    )

 

154> 제주도 특산으로 겉으로 보아서는 진돗개와 흡사하나 이마가 넓고 툭 튀어나온 것이 특징인 이 개의 이름은(     )

 

155> 개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해 옳게 설명하지 못한 것은

1)개는 후각이 매우 발달해 이틀전쯤에 지나간 짐승의 흔적도 알아낼 수 있다

2)개는 청각이 발달해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거리의 4~16배나 먼 곳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3)개는 시각도 발달해 사람처럼 모든 색깔을 식별할 수 있다

4)개는 집을 찾아오는 귀가능력도 뛰어나다


156> 환경지표생물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하등식물은

1)버섯 2)이끼 3)고사리 4)쇠뜨기

 

157> 이끼류가 환경지표생물로 이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1)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공기오염, 특히 이산화황에 대한 내성이 극히 적기 때문

2)수질오염에 특히 약하기 때문

3)농약성분에 특히 약하기 때문

4)추위에 특히 약하기 때문

 

158>이끼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올바른 것은

1)여느 식물과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갖고 있으며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번갈아 가며 한다

2)뿌리와 줄기, 잎이 뚜렷이 구분된다

3)유성생식만 한다

4)무성생식만 한다

 

159> 이끼류가 일반 식물과 구별되는 가장 큰 차이점은

1)유성생식을 전혀 못한다

2)줄기와 뿌리, 잎의 구분이 뚜려하지 않고 그 역할도 세분화되지 않았다

3)생명력이 약하다

4)환경오염에 무척 강하다


160> 매미의 애벌레로서 땅속이나 썩은 나무 혹은 낙엽더미 등지에 사는 생물의 이름은 □□□ 

 

161> 예부터 토룡(土龍)이라 하여 몸의 보신재로 이용되기도 하였으며 땅을 기름지게 하는 땅속생물은□□□ 

 

162> 벼를 갉아먹기 때문에 일종의 해충으로 취급받고 있으며 예전엔 이것을 잡아 볶아먹기도 했던 곤충의 이름은 □□□ 

 

163> 소나무의 가장 큰 해충으로 예전엔 무척 흔했으나 요즘은 보기 드물어진 이 나방의 애벌레 이름은 □□□

 

164> 우리나라의 속담속에 <이것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말이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위생해충의 이름은 □□

 

 날씨 기상과 관련된 OX 퀴즈)


165> 우리나라의 이십사절기 가운데 백로(白露)는 날씨가 추워져 이슬이 하얗게 된다는 뜻이다( )

 

166> 옛날 우리 조상들은 이날이 되면 단풍놀이를 즐기며 시를 읊고 가무를 즐겼다고 전한다. 여기서의 이 날은 음력 9월9일을 뜻하는데 한자로 중추절이라 한다( )

 

167> 매년 제비가 돌아오기 시작하는 시기는 음력 3월 3일, 즉 삼짇날을 전후한 시기이다( )

 

168> 우리나라에서는 비구름이 서쪽으로부터 들어오기 시작한다( )

 

169> 안개는 구름 낀 날보다 맑은 날 아침에 더 자주 내린다( )

 

170> 옛날 조상들은 그해 겨울에 눈이 많이 오면 풍년이 든다고 했는데, 이는 눈으로 인한 보온효과 및 겨울가뭄과 관련이 있다( )

 

171> 최근들어 여름철에 폭우가 자주 쏟아지고 있는데 이는 지구온난화와 관계가 있다( )

 

172> 일반적으로 바닷가의 기온이 내륙보다 높은 것은 해류의 영향 때문이다( )

 

173> 무지개는 해가 없어도 뜰 수 있다( )

 

174> 태풍은 우리나라에만 불어온다( )

 

175> 태풍은 열대성 고기압이다( )

 

176> 광화학 스모그는 바람이 없고 햇빛이 강한 조건에서 더 잘 일어난다( )

 

물과 관련된 OX 퀴즈)

 

177> 우리나라의 물 부족 현상은 비가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내리는 데에도 관련이 있다( )

 

178> 오늘날 물은 무한자원에 속한다( )

 

179> 물이 끓기 시작하는 온도를 빙점이라고 한다( )

 

180> 이 지구상의 동식물은 70~80%가 물로 구성돼 있다( )

 

181> 사람의 몸에서 물이 12%만 부족해도 사망할 수 있다( )

 

182> 사람이 혼수상태에 이르는 것은 체내에 물이 5% 이상 부족할 때이다( )

 

183> 우리나라는 아직 물부족 국가에 속하지 않는다( )

 

184> 인류문명의 발상지는 모두 물가에 자리하고 있다( )

 

185> 지구상의 물은 바다보다 땅위에 더 많이 존재하고 있다( )

 

186> 바다 가운데 물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곳은 대서양이다( )

 

187> 바닷물의 무게는 지구 전체 무게의 약 7%에 해당된다( )

 

188>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는 아시아주에 있는 카스피해인데 그 면적이 무려 남한 면적의 약 4.5배에 이른다( )

 

189> 한반도에서 가장 큰 자연 호수는 북한 함남에 있는 광포이다( )

 

190> 한반도에서 가장 큰 자연호수는 백두산 천지에 있는 천지이다( )-앞 문제와 별도로 이용할 것

 

191>우리나라의 5대강을 크기별(유역면적)로 나열하면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영산강이다( )

 

192> 우리나라에는 땅위의 지표수보다 땅밑의 지하수가 더 많이 존재한다( )

 

193> 우리나라의 상수도(수돗물)보급률은 현재 80%를 넘어서고 있다( )

 

194> 우리나라의 수돗물은 현재 지하수 보다 지표수가 더 많이 이용된다( )

 

195> 수돗물을 다시 처리하여 재활용하는 것을 중수도라 한다( )

 

196> 우리나라의 생수 가격은 현재 휘발유보다 더 싸다( )

 

197> 최근 건설되는 우리나라의 인공댐은 대부분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

 

198> 댐을 건설하는 것보다 각 가정에서 물을 절약하는 편이 훨씬 경제적이다( )

 

199> 전 세계인구의 40% 이상이 현재 물 부족을 겪고 있다( )

 

200> 전 세계적으로 물 사정은 앞으로 좋아질 전망이다( )

 

201> 매년 3월 22일은 세계 물의 날인데 이는 지난 1992년 제 47차 유엔총회에서 지정선포하였다( )

 

202> 우리나라는 본래 7월 1일이 물의 날이었으나 95년의 대가뭄을 계기로 세계 물의 날인 3월 22일에 맞춰 물과 관련된 각종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

 

203> 김제에 벽골제를 축조한 시대는 통일신라시대이다( )

 

204> 측우기를 발명한 시기는 조선 세종때이다( )

 

205> 우리나라에서 인공댐을 처음으로 축조한 시기는 해방 이후이다( )

 

206> <물은 만물의 근원>이라고 역설한 사람은 그리스의 탈레스이다( )

 

단답식 문제

 

207> 민물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을 보유하고 있는 것은( )

1)지하수 2)호수나 늪 3)강 4)빙산, 빙하

 

208> 5대륙 가운데 물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지역은( )

1)아시아주 2)북미주 3)아프리카주 4)오세아니아주

 

209> 물과 관련된 다음 설명 중 적절치 못한 것은( )

1)지구상의 물은 수증기 얼음 안개 구름 눈 비 등으로 모습을 바꾸면서 끊임없이 순환한다

2)물은 지구가 탄생할 때부터 생성되기 시작해 오늘에 이른다

3)빗물은 한번 증발되면 다시는 땅위로 내려오지 않는다

4)빗물의 일부는당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가 된다

 

210> 다음은 각종 물질로 오염된 물을 되살리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나열한 것이다.

․된장국 한그릇-7천50배인 1천4백10리터

․소주  한병-1만5천배인 5천1백리터

․우유 한컵-1만5천배인 3천리터


그렇다면 라면국물 한 컵을 버리면 얼마 만큼의 물이 있어야 그 물을 되살릴 수 있을지 각자의 생각을 적어 보아라(        배인       리터)

 

211> 옛날 우리나라의 역사기록을 살펴보면 고구려 보장왕 때 평양에 붉은 눈이 내리는 등 심심찮게 붉은 눈이 내렸다는 기록이 있다. 학자들은 이를 중국으로부터 날아온 황토흙 입자 때문이었다고 설명 하는데 오늘날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만일 오늘날 겨울철에 붉은 눈이 내렸다면 가장 의심이 가는 징후는 황토흙 입자 외에 무엇의 영향일 것이이라고 생각하는가 (          ) 

 

<정답은 다른 카테고리 '생태 환경퀴즈 정답 (2)'에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