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에서 사라졌던 한국 고유어종 어름치가 돌아왔습니다.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를 중심으로 22년 동안 어름치 복원사업을 추진해온 결과입니다.
어름치는 종 자체는 천연기념물 259호, 어름치의 옛 서식지인 금강 상류는 천연기념물 238호입니다.
천연기념물로 2중 보호를 해왔지만 1983년 이후 금강에서는 절멸된 것으로 학계는 추정해 왔습니다.
이후 중앙내수면연구소가 1999년 처음으로 어름치 치어를 예비 방류한 것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22년 동안 어름치 복원사업을 펼쳐오고 있습니다.
환경부, 국립수산과학원, 문화재청, 순천향대학교, (사)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등 여러 기관·단체가 협력하고 일부 기업체에서도 동참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복원사업의 성공이 거의 눈앞에 다가옴으로써 금강 상류는 '국내 멸종위기어종 복원사업의 메카'로 평가받을 전망입니다.
현재의 복원 상황과 함께 그간의 복원사업 과정, 복원사업에 매진해온 주역들을 소개합니다.
동영상 보러가기
'자연생태 다큐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이는 왜 맨손으로는 쉽게 뽑아지지 않을까요 (0) | 2021.12.23 |
---|---|
송이 묵밭을 갔더니 송이가 줄줄이 '대박! 대박!' (0) | 2021.12.23 |
참나무 벌레혹 안에서 날개돋이 중인 꼬리좀벌류 첫 공개 (0) | 2021.12.23 |
야생버섯, 이것만 알면 독버섯은 피한다---식용버섯과 독버섯 구별법 (0) | 2021.12.23 |
화석식물 은행나무(1)...2억년을 살고도 '미완성의 나무' (0) | 202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