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반 시 식물방역법 의거 과태료·손실보상 불이익
![]() |
충북 충주시가 과수 수확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과수화상병 의심 증상 발견 시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사진은 산척면 상산마을 과수화상병 매몰작업 모습.(사진제공=충주시청) |
충북 충주시가 과수 수확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의도적으로 화상병 의심 증상을 은폐하거나 또는 신고를 지연하는 사례 발생 우려에 대비, 과수화상병 의심 증상 발견 시 즉시 신고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29일 시에 따르면 충주시 과수화상병 피해 농가는 3304농가로 348개소 192.1㏊가 확진돼 매몰됐으며, 지난 13일 충주시 산척면 2건의 과수화상병 의심 신고 및 확진 이후 추가 발생은 없는 상태다.
또 긴급매몰은 지난 21일 산척면 1개소를 끝으로 348개소가 100% 매몰 처리됐다.
과수화상병은 국가관리 검역 병·해충으로 지정된 세균병으로 주로 사과나 배 등 장미과 식물에서 나타난다.
입, 꽃, 가지 및 줄기 등에 감염증상이 생기면 마치 불에 타서 화상을 입은 것처럼 붉은 갈색과 검은색으로 변해 점점 말라 가는 병이다.
따라서 발생 과원 내 전체 기주식물은 이동을 금지하고 폐기하며, 과수화상병 확진 후 해당 지자체 식물 방제관이 발생 과원 내 발생 주율을 조사해 5% 이상인 경우 과원 전체를 매몰해야 한다.
시는 과수화상병 추가 발생을 막기 위해 농가를 대상으로 집중 예찰 활동을 벌이는 한편, 홍보 전단 배부, 현수막 부착 등 적극적인 홍보활동도 펼치고 있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과수화상병 확산을 방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화상병 의심 증상 발견 시 즉시 농업기술센터로 신고해 주시길 당부드린다”며 “이를 위반 시에는 식물방역법, 시행령 등에 의해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충주시는 농촌진흥청과 함께 과수화상병 현장 방제기술 개발 시험연구를 추진 중이며, 농업기술센터에서는 과수화상병 매몰지 대체작목 육성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321885@daum.net
'자연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 밥상머리 올라온 '학교 돌봄교실'…"총파업으로 이어져서야" (0) | 2020.10.02 |
---|---|
청주서 코로나19 81번째 확진자 발생 (0) | 2020.10.01 |
추석 앞두고 ‘고향에서 온 편지’ 영상 ‘뭉클’ (0) | 2020.09.30 |
청주시, 대청댐 문의수역 남조류 예의주시 (0) | 2020.09.29 |
한국디카시硏, 제3회 오장환디카시신인문학상에 민수경씨의 ‘합장合掌’ 선정 (0) | 202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