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추진위원회 발족 5만 군민 역량 결집 나서
군, 지역 최대의 성장 동력 ‘절호의 기회’ 부각
[충북=아시아뉴스통신] 김성식기자기사입력 : 2019년 03월 29일 09시 58분
![]() |
<지난 27일 충북 영동군 내 42개 주요 민간 사회단체가 주축이 돼 영동군 양수발전소유치추진위원회가 구성돼 본격 유치활동에 나서고 있다.(사진제공=영동군청)> |
충북 도내 지자체로는 처음으로 영동군에 양수발전소 유치 운동이 본격 시작돼 귀추가 주목된다.
현재로선 지역의 반대 여론을 잠재우고 발전소 유치의 당위성을 내세우기 위한 유치추진위원회가 발족돼 이제 막 활동을 시작한 상태여서 앞으로의 행보에 군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9일 영동군(군수 박세복)은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 예비 후보지로 군이 선정돼 이 발전소가 지역 최대의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판단, 이의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양수발전소는 흐르는 물을 막아 전력을 생산하는 일반 수력발전소와 달리 전력수요가 낮은 시간대에 하부댐의 물을 상부댐으로 끌어올려 전력수요가 높은 시간대나 전력수요 급증 시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방식이다.
다른 발전원보다 가동과 정비 시간이 짧아 안정적 전력수급이 가능하고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주)은 8차 전력수급계획의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따른 신규 양수발전 2GW가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지난 2016년 7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환경적·기술적 검토를 거쳐 충북 영동군을 비롯해 경기 가평군, 강원 홍천군 등 7개 지역을 발전소 건설이 가능한 예비후보지로 선정했다.
현재 한수원에서는 오는 5월 말까지 신규 양수 건설 자율유치 공모를 시행 중이며 이 중 후보지 3곳이 올 상반기 확정된다.
영동군의 경우 설비용량 500MW 규모로 상촌면 고자리 일원이 상부지, 양강면 산막리 일원이 하부지로 거론되고 있다.
예정규모는 총낙차거리 453m, 유효저수용량 450만㎥, 수로터널 2484m로 추정되고 있다.
사업준비단계 37개월, 건설준비단계 29개월, 건설단계 77개월 등 공사기간만 모두 12년 정도가 소요되며 모두 8300여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공사비 중 70% 정도인 6000억원 정도가 지역 건설업체 및 장비, 인력 등에 투입돼 인구유입과 일자리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막대하다.
이에 영동군은 호기를 놓치지 않고 군민 공감을 바탕으로 전 행정력을 동원해 유치 활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 27일 관내 42개의 주요 민간 사회단체가 주축이 돼 영동군 양수발전소유치추진위원회(위원장 양무웅)를 구성하면서 본격 유치활동에 시동을 걸었다
주민의 수용성, 즉 군민의 유치의사가 양수발전소 선정에 결정적 기준이 되는 만큼 유치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사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며 군민의 자율적인 유치의사 조성에 집중할 방침이다.
다음달 5일에는 군민 대상 사업설명회를 열고 이후 오는 5월15일까지 약40일 동안 유치 당위성을 적극 홍보하며 범군민 유치서명운동을 계획하고 있다.
발전소 건설로 인해 재산권에 침해를 입는 주민들에게는 적절한 보상절차와 맞춤형 지원계획을 꼼꼼히 안내하며 소통을 계속해서 이어갈 계획이다.
이주민들에게는 손실보상 절차에 의한 적법한 보상이 이뤄지며 이주민들이 원할 경우 인근에 현대화된 주민복지시설과 함께 자연경관이 어우러진 이주단지를 조성해줄 방침이다.
특히 발전소 건설이 확정되면 승인고시일부터 발전소 가동기간까지 지역인재 육성, 사회복지사업, 지역문화행사 지원 등 약 458억원의 지역지원사업이 추진돼 발전소 주변 지역주민 모두에게 혜택이 고스란히 돌아가게 된다.
군 관계자는 “양수발전소가 유치되면 지역 인프라 확충,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많은 면에서 지역 최대 도약의 발판이 만들어 질 것”이라며 “100년에 한번 찾아올 지역발전의 절호의 기회인만큼 지역 전체가 힘을 모아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영동군은 군민들의 충분한 공감을 이끌어 낸 후 영동군의회의 발전소 유치 동의를 얻어 오는 5월 말 한수원으로 유치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자연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동군 양수발전소 유치 범군민결의대회…'영동읍이 들썩' (0) | 2019.12.22 |
---|---|
영동군민의 ‘충북 첫 양수발전소 유치’ 염원 갈수록 뜨겁다 (0) | 2019.12.22 |
영동군, ‘생태지도’ 바뀐다…밀원숲 조성 나서 (0) | 2019.12.22 |
[국감]괴산댐 수해, 국토부 최초 초동보고 비 그친 뒤에야…골든타임 놓쳐 (0) | 2019.12.22 |
[국감] 대청댐, 7개 규제 중첩…'세계 최대 중복규제' 제기 (0) | 2019.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