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자체가 ‘전략 무기’

지구상의 동물 가운데 분포범위가 가장 넓은 것이 곤충이다. 섭씨 영하 50도 이하까지 내려가는 극지역에서부터 섭씨 60도 이상까지 오르는 사막지역에 이르기까지, 또한 빛 한 점 비치지 않는 깊은 동굴 속까지 안 사는 곳이 없을 정도로 지극히 넓은 분포범위를 갖고 있는 것이 곧 곤충이다.

 

곤충이 이처럼 넓은 분포범위를 갖게 된 것은 한 마디로 말해 그들의 뛰어난 환경적응력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곤충은 놀라울 만큼의 뛰어난 환경적응력을 바탕으로 지구 어느 곳에든 삶의 뿌리를 내리고 대내림을 이어나가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 곤충의 뛰어난 환경적응력은 과연 무엇으로부터 나오는 것일까.

 

이에 대한 해답은 우선 곤충 자체의 신비로운 신체 구조적 특징에서 찾을 수 있다.

 

그들은 아주 오랜 세월에 걸친 진화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몸의 구조를 바꾸고 발달시켜 자연생태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최적의 체형을 갖추게 됐다. 이 지구상의 생태계를 적자생존의 법칙이 지배하는 하나의 전장(戰場)에 비유하자면, 곤충의 몸은 그 자체가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최적의  ‘전략적 병기(兵器)’로 발전돼 온 것이다.

◇사진 설명 ‘당랑권’의 원조

곤충의 몸은 먹이를 잡는 데 매우 용이하도록 발달 돼 있는데 특히 사마귀는 갈고리 모양의 강한 앞다리를 이용해 먹이감을 잡거나 천적의 공격을 방어한다. 사진은 천적을 향해 공격자세를 취하고 있는 왕사마귀의 모습./자연닷컴  

 

전략적 병기에는 적을 공격하기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것도 있지만 그와 반대로 적의 공격을 피해 재빨리 숨거나, 혹은 달아나거나, 혹은 눈에 쉽게 띄지 않게 교묘한 위장술을 갖게 된 것 등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그럼에도 곤충은 때론 하찮은 미물(微物)로 표현되기도 한다. 하지만 강조하건대 이는 인간의 오만과 무지가 낳은 커다란 착각이요, 인간 이기주의의 편협한 잣대가 가져온 편견이라 할 수 있다.

 

자연생태계의 실상을 들여다보면 실로 곤충 같은 위대한 생명이 또 어디 있을까 하는 놀라움마저 들기 때문이다.

 

아주 쉬운 예로 모기와 파리를 보자. 모기는 비록 몸집은 작지만 어두컴컴한 곳에서도 사람과 같은 온혈동물들의 위치를 잘도 찾아내 여지없이 피를 빤다. 파리 또한 그 누가 가리켜 주지 않아도 먹이감이 있는 곳을 잘도 찾아내고 또 그들을 잡을라 치면 어느 샌가 눈치 채고 잽싸게 날아가 버린다.

 

인간의 재주가 제 아무리 좋다한들 이들의 감지력을 따라갈 만한 레이더를 아직 개발해 내지 못했잖은가.

 

곤충들은 뛰어난 감지력과 함께 시각과 청각 등 다른 감각기관도 매우 발달돼 있다. 특히 대다수의 곤충들은 겹눈과 홑눈으로 된 2중구조의 눈으로 물체의 움직임과 동작을 감지하며, 종(種)에 따라서는 사람이 볼 수 없는 자외선까지도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곤충의 청각기관은 대부분 배 또는 다리에 붙어 있으나 상당수가 몸에 나 있는 털의 진동을 통해서도 소리를 듣고 공기의 흐름까지 감지해낸다.

 

또한 곤충 가운데에는 천적인 박쥐의 초음파까지도 감지할 수 있는 청각기관을 갖고 있는 것이 있다. 밤나방의 무리가 이에 속하는데 이들은 여러 개의 청각실을 갖고 있어 그 안에 있는 신경조직을 통해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한다. 더욱 신기한 것은 이들 밤나방류는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하면 즉시 날개를 몸에 붙이고 땅에 떨어지거나 박쥐에 대한 방어행동으로 뒷다리 끝의 키틴질 막을 진동시켜 방해전파를 발사함으로써 자신의 몸을 보호한다고 하니 이보다 더한 ‘전략무기’가 어디에 있겠는가.

 

 

◇사진 설명 '곤충의 청각기관'

곤충의 청각기관은 대부분 배 또는 다리에 붙어있으나 몸에 난 털의 진동을 통해서도 소리를 듣고 공기의 흐름까지 예민하게 감지한다.

◇사진설명 '정보 안테나'

곤충의 더듬이는 소리와 빛, 온도, 습도 등 각종 환경 정보를 인지하는 중요한 안테나 역할을 하는데 특히 배우자가 발산하는 성페로몬의 냄새를 맡는 기능도 한다./자연닷컴

 

곤충들은 또 머리에 달린 더듬이로는 냄새와 촉감, 온도, 습도, 바람의 속도까지 포착해낸다.

 

곤충들은 이러한 종합적인 샌서 시스템을 통해 자신에게 닥쳐오는 위험을 재빨리 알아차리거나 배우자 혹은 먹이감을 찾아내 삶을 영위하고 있다.

 

곤충은 또 발달된 날개구조를 갖고 있다. 곤충의 날개는 그들이 사방으로 날아다니며 천적으로부터 도망치거나 먹이를 구하는데 매우 편리함을 부여하고 있다. 이 지구상에서 날개를 가진 동물이 곤충과 새, 박쥐 뿐이란 사실을 감안할 때 이들은 분명 타 동물과의 생존경쟁에서 훨씬 더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발생학적으로 곤충의 날개는 등쪽의 피부가 변해 만들어진 반면 새와 박쥐의 날개는 앞다리가 변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서로 다를 뿐이다.

 

곤충의 몸은 먹이를 잡는 데에도 매우 용이하도록 발달돼 있다. 곤충 세계의 무법자로 잘 알려진 ‘파리매’는 바늘 형태의 입과 강한 다리, 날렵하고 튼튼한 날개 등 사냥하기에 좋은 신체적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사마귀’와 ‘물장군’은 갈고리 모양의 앞다리를 이용해 먹이감을 움켜잡아 먹는다.

 

곤충의 입은 각각의 먹이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화가 이뤄져 왔는데 이 또한 생존전략과 관련이 있다. 유형을 보면 메뚜기처럼 씹는 형에서부터 나비와 같이 말려있는 긴 관을 뻗어 빠는 형, 빈대처럼 주사침을 찔러 빠는 형, 파리처럼 핥는 형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발달돼 있다. 다양한 입 형태의 분화는 곧 곤충이 종에 따라 각기 다른 먹이를 섭취할 수 있게끔 적응 또는 진화돼 있음을 입증해 주고 있다. 

 

더보기
글의 나머지 부분을 쓰시면 됩니다.

'우리주변의 곤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곤충의 공생과 기생  (0) 2020.09.02
(5)먹이잡이 지혜  (0) 2020.09.01
(3) 위장술과 의태  (0) 2020.09.01
(1)서론  (0) 2020.09.01
(4)숨겨진 생존전략  (0) 2020.09.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