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이잡기 지혜

지금까지의 설명은 대부분 곤충의 ‘살아남기 전략’, 즉 이 지구상의 생태계에서 그들이 어떻게 살아남아 종(種)을 유지해 가고 있는가 라는 종 특유의 생존전략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곤충의 몸 구조 자체가 복합적인 전략무기라는 것에서부터, 뛰어난 위장술과 의태(擬態), 화려한 체색 뒤에 숨겨진 비장의 무기 등이 모두 그들의 생존전략과 관계된 특징들이요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그들의 탁월한 지혜와도 연관이 있는 요소들이다.

 

비록 인간(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인간이기주의)에 의해,  ‘벌레’라는 하찮은 존재로 비하돼 이 땅 위에 존재해 오고 있지만 그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방법을 터득하고 발전시켜 숭고한 대내림의 소임을 계속해 오고 있는 것이다.

 

혹자는 사고(思考)가 없는 미물이 무슨 지혜가 있겠느냐고 반문할 수 있겠지만 그들이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좀 더 깊이 이해하면 할수록 거기에는 분명 자연계에 내재된 특별한 지혜가 깃들어 있음을 실감케 한다. 아니 어떤 것은 오히려 인간의 그것을 능가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오묘하고 신비한 것도 있다.

 

다음에 설명하는 곤충들의 특별한 ‘먹이잡이 방식’도 그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좋은 예이다.

 

먼저 기막힌 모래함정을 만들어 먹이감을 낚아채는 ‘개미귀신’을 보자. 개미귀신이란 명주잠자리의 애벌레를 일컫는 말인데 그들의 주요 먹이감인 개미를 ‘귀신이 곡할 정도의 교묘한 방법으로 잡아먹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개미귀신이 사는 장소는 습도가 낮은 모래밭으로, 애벌레 스스로 깔때기 모양의 함정을 판 후 그곳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개미 등을 잡아먹고 사는 독특한 곤충이다. 특히 개미귀신은 자연물인 모래가 조그만 진동에도 쉽게 허물어지는 특성을 이용해 먹이를 잡아먹는다는 점에서 지혜가 남다른 명석한(?) 곤충이다.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미귀신이 파 놓은 모래함정은 미세한 모래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아주 작은 개미라 할지라도 일단 그곳에 빠지기만 하면 제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좀처럼 빠져나올 수 없는 ‘죽음의 계곡’이다. 허우적거릴수록 자꾸만 모래가 허물어지는 데다 깔때기 가장 밑 부근의 모래 밑에 숨어있던 개미귀신이 몸부림치는 먹이감을 향해 모래를 흩뿌리는, 소위 양동작전을 쓰기 때문에 결국은 잡아먹히고 말게 된다.

 

개미귀신은 함정을 만드는 재주도 좋지만 그곳에 먹이감이 빠져 허우적거리는 것을 진동을 통해 잽싸게 알아차리는 예리한 감지력도 겸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걸려든 먹이감을 재빨리 기절시켜 체액을 빨아먹는 강한 입 구조도 갖고 있다.

 

개미귀신이 먹이감을 잡는 장면을 관찰하기 위해 가느다란 풀잎으로 모래함정 안을 살살 건드리면 재미난 현상이 일어난다. 즉, 풀잎의 미세한 진동을 감지한 개미귀신은 처음엔 죽은 듯 가만히 기다렸다가 풀잎(진동)이 어느 정도 함정 밑바닥에 다다랐다 싶으면 이내 모래를 흩뿌리며 나타나 갈고리 모양의 이빨로 공격한다.

 

이때 개미귀신이 나타나는 방향과 속도는 매우 정확한데, 더욱 놀랄 일은 한 두 번 속은 개미귀신은 풀잎의 진동이 가짜라는 것을 금새 알아차리고 더 이상 공격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처럼 영리한(?) 곤충을 그 누가 미물이라고 하겠는가.

 

‘개미귀신과 모래함정’

명주잠자리의 애벌레인 개미귀신은 잘 허물어지는 모래의 성질을 이용할 줄 아는 ‘지혜로운 곤충’으로서 자신이 파놓은 모래함정에 개미가 빠져 허우적거리면 잽싸게 공격해 체액을 빨아먹는다./자연닷컴

 

곤충 가운데에는 자신의 보호색을 이용해 풀잎 등 자연물의 뒤에 교묘히 몸을 숨기고 있다가 먹이감이 다가오면 잽싸게 달려들어 잡아먹는 무리들도 있다. 보호색은 천적의 눈을 속이는 데도 유용하지만 반대로 그들의 먹이감을 속이는 데에도 유용한 것이다.

 

곤충 세계의 무법자로 알려진 사마귀는 자신의 몸색깔과 비슷한 풀잎 뒤에 숨어있다가 지나가는 먹이감을 재빨리 낚아채곤 하는데 사마귀는 특히 먹이감을 홀리기 위해 자신의 몸을 좌우로 흔드는 곤충으로도 유명하다.

 

‘간 큰 잠자리’

곤충계의 무법자로 잘 알려진 사마귀는 자신의 보호색을 이용하거나 몸을 좌우로 흔들어 먹이감을 유인하는 습성이 있다. 사진은 죽은 듯 가만히 있는 사마귀를 휴식처로 착각해 등 뒤에 내려앉은 위험천만한 잠자리 모습./자연닷컴

 

일부 곤충들은 자신의 유충을 위해 먹이감을 사냥하는 것들도 있다.

 

실례로 나나니벌이란 곤충은 산란기가 되면 나방 애벌레를 독침으로 마비시킨 후 자신의 집으로 물고와 그곳에 알을 낳아두는데 이는 얼마 후 태어날 자신의 애벌레가 그것을 먹고  자라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다.

 

나나니벌의 이 같은 ‘큰 뜻’을 잘못 이해한 옛 어른들은 나나니벌이 다른 곤충의 애벌레를 자신과 닮게 하는 신통력이 있다고 믿어 이름도 ‘나나니벌’이라 붙인 것이다. 그들이 보기엔  굴로 들어가는 나나니벌이 분명 다른 종류의 애벌레를 물고 들어갔는데 나중엔 그 애벌레 가 나나니벌이 되어 나오기에 그렇게 믿었던 것이다.

 

실제 나나니벌이 다른 벌레의 애벌레를 물고 들어간 구멍에 귀를 대고 소리를 들어보면 나나니벌이 내는 소리가 마치 “나 닮아라 나 닮아라” 하는 소리로 들릴 때가 있다.

 

조롱박벌이란 곤충도 배짱이와 같은 먹이감을 잡은 후 집으로 물고가 그곳에 알을 낳는 습성이 있는데 이 또한 자신의 유충을 위한 모성애의 지혜이다.

 

이밖에 나무좀류의 어떤 종은 자신의 유충을 위해 나무구멍 안에 균을 배양하는 믿지 못할  곤충도 있다.

 

곤충 세계에는 이처럼 인간이 잣대로 지어낸 소위 ‘지혜’라는 말이 아니면 도저히 설명 못할 그들만의 독특한 생활 양식을 나타내는 무리들이 무수히 존재한다.

'우리주변의 곤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곤충의 생태달력과 생태시계  (0) 2020.09.02
(6) 곤충의 공생과 기생  (0) 2020.09.02
(3) 위장술과 의태  (0) 2020.09.01
(1)서론  (0) 2020.09.01
(4)숨겨진 생존전략  (0) 2020.09.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