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을 드니 어릴 적 버릇이 되살아나는가

 

장난감총이 귀하던 시절 얘기다. 그 시절엔 대부분의 아이들이 수제총을 갖고 놀았다.

수제총이래 봤자 새총 아니면 딱총이었지만 그 시절 어린 아이들에겐 그보다 더한 장난감이 없었고 놀이 또한 전쟁놀이나 새총놀이 이상 가는 게 없었다.

그러다 보니 어린 아이가 있는 집은 늘 고무줄이 남아나질 않았다. 새총과 딱총의 중요한 소재가 고무줄이었기 때문이다. 요즘이야 흔하고 흔한 게 고무줄이지만 그 시절엔 꺼먹 고무줄이든 노란 고무줄이든 무조건 삭아 끊어질 때까지 썼을 만큼 흔칠 않았다. 오죽하면 팬티 고무줄을 잇고 또 이어서 나중엔 굵기도 다르고 색깔마저 형형색색이 됐겠는가.

당시 부모들은 장에 가면 으레 리어카장수한테 들러 고무줄 사는 게 일거리였다. 하지만 사다 놓으면 뭣하랴. '아는 도둑놈'이 그냥 놔둘리 만무였다.
새총과 딱총 때문에 남아나지 않았던 건 고무줄만이 아니었다. Y자로 생긴 나뭇가지와 가죽, 송판, 심지어 쇠로 된 우산대까지 동이 날 지경이었다. Y자형 나뭇가지와 가죽은 새총을, 송판과 우산대는 딱총을 만드는 데 필요했다.


그런데 문제는 그토록 부모 속을 뒤집어 놓으면서까지 애써 만든 총으로 잘만 놀면 되는데 엉뚱하게도 일을 저지르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아무 데나 겨루고 쐈다가 애먼 아이 울리는 건 예사고 남의 장독대까지 깨부수기 일쑤였으니 부모들에겐 그야말로 '웬수'가 따로 없었다.
어쩌다가 건전(?)하게 논다는 게 고작 가을걷이 끝난 들판에다 대고 새총알을 누가 더 멀리 쏴대느냐 시합하거나 동네앞 나무 전신주에 표적을 그려놓고 누가 먼저 맞히는가 시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또한 위험천만했다. 총알 때문이었다. 가을철에 도토리를 새총알로 쏠 땐 비교적 작고 가벼워 큰 문제가 없었으나 돌멩이로 쏠 땐 근처를 지나는 사람이나 가축들에게 크나큰 위험요인이었다.
딱총 역시도 화약만 터트리는 단순한 형태에서 벗어나 나중엔 자전거 바퀴의 밸브어댑터를 장착해 그 안에 초와 화약을 함께 다져넣은 다음 못으로 공이를 만들어 쏘는, 당시로선 엄청난 화력(비록 소리만 컸지만)의 총이 만들어지면서 걸핏하면 남의 애 고막이나 손상시키는 말썽의 원흉이 됐다.


세월이 바뀌어 이제 나무로 만든 딱총은 볼 수 없게 됐지만, 그것이 진화한 장난감총의 모양과 성능은 실제 살상용에 버금갈 정도로 눈부시게 발전했다. 새총 역시 엉뚱한 방향으로 진화해 지금은 농성장에서 쇠구슬을 날리는 무시무시한 무기로 변한 것을 보면 가슴이 아리다 못해 쓰리다. 


장난감총이라도 역시 총은 총인가 보다. 그러니까 시대 불문하고 더욱 정교하고 더욱 강한 성능을 갖도록 진화하는 것 아니겠는가. 더욱 희한한 것은 아이들이나 어른들이나 손에 총만 들면 뜬금없는 생각과 행동을 한다는 점이다. 먼옛날 수렵·채집 시대에 각인된 유전인자가 오늘날까지 대내림해 온 까닭은 아닌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며칠 전엔 충북의 한 순환수렵장 지역에서 얼굴이 화끈거리는 현수막을 보았다. '통신케이블에 제발 총을 쏘지 마세요. 신고하여 포상금 받자'
현수막을 나붙게 만든 장본인은 다름 아닌 수렵인들이다. 되나가나 쏴대는 무분별한 총잡이들 때문에 참다못한 KT가 궁여지책으로 내 건 것이다. 부끄러운 일이다.


총을 드니 괜히 어릴 적 버릇이 되살아나는 것인지. 케이블 맞춰봤자 박수쳐 줄 사람 아무도 없고 피해만 끼치는 데도 막무가내다. 케이블에 앉은 새 때문이라고 핑계 대지만 그건 엽도를 몰라서 하는 얘기다. 손에 든 총이 새총도 딱총도 아니고 사냥총을 가진 엽사들이라면 적어도 엽도가 무엇인지는 알아야 하지 않을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