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금강홍수통제소 찾아 ‘강력 항의’
영동·옥천·금산·무주지역 피해주민 300여명 “자연재해 아닌 인재” 주장

19일 용담댐 피해지역주민대책위원회가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와 금강홍수통제소를 찾아 이번 수해는 자연재난이 아닌 인재라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이번에 피해 입은 사과 등 농작물과 쓰레기 더미 등을 동원해 울분을 토하며 자신들의 확고한 의지를 밝혔다.(사진제공=영동군청)


금강 상류 용담댐의 홍수 수위조절로 피해를 입은 영동·옥천·금산·무주군민 300여명이 항의집회를 가졌다.
 
특히 이들은 이번에 피해 입은 농작물과 쓰레기 더미 등을 동원해 울분을 토하며 자신들의 확고한 의지를 밝혔다.
 
19일 용담댐 피해지역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임구호)는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와 금강홍수통제소를 찾아 이번 수해는 자연재난이 아닌 인재라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영동군은 한국수자원공사 용담지사에서 용담댐 방류량을 초당 2900톤으로 늘리면서 금강변의 양산면, 양강면, 심천면 일원의 농경지 169ha와 주택 55채가 침수됐다.

이들 피해지역에는 이달 6일부터 8일까지 고작 평균 53mm에 불과한 강우량을 보였을 뿐이란 게 피해지역 주민들의 주장이다.
 
집회에 참가한 주민들은 피해 입은 농작물과 쓰레기 더미 등을 청사 마당에 버리며 피해 주민들의 울분과 그 희생의 대가에 진지하게 경청하고 피해에 대한 보상과 재발방지대책을 요구했다.
 
용담댐 방류 피해에 대한 보상은 도 경계를 뛰어넘어 지자체와 주민이 공동 대응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18일에는 영동군청 대회의실에서 영동·옥천·금산·무주군수와 군의장이 범대책추진위원회(위원장 박세복 영동군수) 출범식을 갖고 용담댐 홍수조절 실패에 따른 입장문을 발표했다.
 

[아시아뉴스통신=김성식 기자]


koomlin@hanmail.net

박세복 영동군수, 피해현장 찾은 환경부 차관.수공 관계자에게 고충 토로
19일 4개 군지역 피해주민들, 수공 금강유역본부 등서 항의 집회 열 계획

15일 박세복 충북 영동군수(맨 오른쪽)가 영동군 양산면 수해현장을 찾은 홍정기 환경부 차관(맨 왼쪽)에게 “용담댐 방류 조절 실패로 하류지역인 영동군 주민들이 소중한 삶의 터전을 잃었다”며 “조속한 피해보상과 재발 방지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사진제공=영동군청)


충북 영동군이 용담댐 방류 피해는 홍수 조절 실패에 의한 명백한 인재(人災)라고 주장했다.
 
15일 영동군에 따르면 이날 홍정기 환경부 차관을 비롯해 금강유역환경청 오영민 금강유역국장, 이호상 금강홍수통제소장이 영동군 양산면 수해 현장을 찾았다.
 
이 자리에서 박세복 영동군수는 “용담댐 방류 조절 실패로 하류지역인 영동군 주민들이 소중한 삶의 터전을 잃었다”며 “조속한 피해보상과 재발 방지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8일 한국수자원공사 용담지사에서 용담댐 방류량을 초당 2900톤으로 늘리면서 영동군에서는 농경지 169ha와 주택 55채가 침수됐다.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영동군 내 피해지역 강수량은 53mm에 불과했다.
 
피해 주민들은 용담댐의 안일한 대비 태세와 물관리 부재에서 발생한 인재라고 주장하고 있다.
 
박 군수는“댐 방류는 재해와 재난으로 규정하지 않아 피해에 대한 보상 근거가 없다”며 “댐 방류로 인한 피해 보상을 위한 법적·제도적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12일 영동·옥천·금산·무주 단체장은 한국수자원공사를 찾아 피해보상과 재발방지 대책을 요구했다.
 
오는 18일에는 피해지역 4개 군이 범대책추진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19일에는 4개 군 피해주민들이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와 금강홍수통제소를 찾아 항의 집회를 열 예정이다.
 

[아시아뉴스통신=김성식 기자]


koomlin@hanmail.net

+ Recent posts